대구 취수원 “원점 재검토” 공식화…“장기 표류 우려”
입력 2025.07.04 (10:39)
수정 2025.07.04 (15: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이 원점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안동댐 이전을 국가사업으로 의결하기 직전, 새 정부가 사업 재검토를 공식화한 건데, 대구 물 문제가 다시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022년 등장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앞서 국가 물관리위원회가 의결한 구미 해평 이전안이 대구와 구미 간 갈등 격화로 무산되자 그 대안으로 제기됐습니다.
이후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는 안동댐 이전안을 국가사업으로 변경, 의결하기 위해 주민 간담회 등을 진행했고 최종 단계인 의결을 앞둔 상태입니다.
그런데 최근 환경부가 안동댐 이전안을 원점 재검토하겠다고 밝혀 무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수질, 비용 등의 이유로 안동댐 이전 반대 여론이 커지자 정부가 전면 재검토 입장을 처음 공식화한 겁니다.
[임미애/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떻게 풀어가실 건지 공식적인 입장을 좀 다시 한번 밝혀 주시겠습니까?"]
[금한승/환경부 차관/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다시 전면적으로 재검토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특히 환경부가 구미 해평, 안동댐 이전 외에도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을 시사하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의 향방은 더욱 점치기 어려워졌습니다.
환경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정해진 방향은 없다"면서 "찬반 대립이 첨예한 만큼 모든 대안을 정밀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돼 임기 중 해결되길 희망한다"다면서도, 의결을 눈앞에 두고 바뀐 환경부 기조에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구미시는 애초, 해평 취수 협정을 대구시가 파기한 거란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재협상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대구권 주민들의 30년 묵은 숙원 사업인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손바닥 뒤집듯 바뀌면서 시민들의 혼란과 사업 장기 표류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지현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이 원점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안동댐 이전을 국가사업으로 의결하기 직전, 새 정부가 사업 재검토를 공식화한 건데, 대구 물 문제가 다시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022년 등장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앞서 국가 물관리위원회가 의결한 구미 해평 이전안이 대구와 구미 간 갈등 격화로 무산되자 그 대안으로 제기됐습니다.
이후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는 안동댐 이전안을 국가사업으로 변경, 의결하기 위해 주민 간담회 등을 진행했고 최종 단계인 의결을 앞둔 상태입니다.
그런데 최근 환경부가 안동댐 이전안을 원점 재검토하겠다고 밝혀 무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수질, 비용 등의 이유로 안동댐 이전 반대 여론이 커지자 정부가 전면 재검토 입장을 처음 공식화한 겁니다.
[임미애/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떻게 풀어가실 건지 공식적인 입장을 좀 다시 한번 밝혀 주시겠습니까?"]
[금한승/환경부 차관/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다시 전면적으로 재검토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특히 환경부가 구미 해평, 안동댐 이전 외에도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을 시사하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의 향방은 더욱 점치기 어려워졌습니다.
환경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정해진 방향은 없다"면서 "찬반 대립이 첨예한 만큼 모든 대안을 정밀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돼 임기 중 해결되길 희망한다"다면서도, 의결을 눈앞에 두고 바뀐 환경부 기조에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구미시는 애초, 해평 취수 협정을 대구시가 파기한 거란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재협상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대구권 주민들의 30년 묵은 숙원 사업인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손바닥 뒤집듯 바뀌면서 시민들의 혼란과 사업 장기 표류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구 취수원 “원점 재검토” 공식화…“장기 표류 우려”
-
- 입력 2025-07-04 10:39:37
- 수정2025-07-04 15:27:40

[앵커]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이 원점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안동댐 이전을 국가사업으로 의결하기 직전, 새 정부가 사업 재검토를 공식화한 건데, 대구 물 문제가 다시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022년 등장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앞서 국가 물관리위원회가 의결한 구미 해평 이전안이 대구와 구미 간 갈등 격화로 무산되자 그 대안으로 제기됐습니다.
이후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는 안동댐 이전안을 국가사업으로 변경, 의결하기 위해 주민 간담회 등을 진행했고 최종 단계인 의결을 앞둔 상태입니다.
그런데 최근 환경부가 안동댐 이전안을 원점 재검토하겠다고 밝혀 무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수질, 비용 등의 이유로 안동댐 이전 반대 여론이 커지자 정부가 전면 재검토 입장을 처음 공식화한 겁니다.
[임미애/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떻게 풀어가실 건지 공식적인 입장을 좀 다시 한번 밝혀 주시겠습니까?"]
[금한승/환경부 차관/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다시 전면적으로 재검토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특히 환경부가 구미 해평, 안동댐 이전 외에도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을 시사하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의 향방은 더욱 점치기 어려워졌습니다.
환경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정해진 방향은 없다"면서 "찬반 대립이 첨예한 만큼 모든 대안을 정밀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돼 임기 중 해결되길 희망한다"다면서도, 의결을 눈앞에 두고 바뀐 환경부 기조에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구미시는 애초, 해평 취수 협정을 대구시가 파기한 거란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재협상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대구권 주민들의 30년 묵은 숙원 사업인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손바닥 뒤집듯 바뀌면서 시민들의 혼란과 사업 장기 표류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지현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이 원점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안동댐 이전을 국가사업으로 의결하기 직전, 새 정부가 사업 재검토를 공식화한 건데, 대구 물 문제가 다시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022년 등장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앞서 국가 물관리위원회가 의결한 구미 해평 이전안이 대구와 구미 간 갈등 격화로 무산되자 그 대안으로 제기됐습니다.
이후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는 안동댐 이전안을 국가사업으로 변경, 의결하기 위해 주민 간담회 등을 진행했고 최종 단계인 의결을 앞둔 상태입니다.
그런데 최근 환경부가 안동댐 이전안을 원점 재검토하겠다고 밝혀 무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수질, 비용 등의 이유로 안동댐 이전 반대 여론이 커지자 정부가 전면 재검토 입장을 처음 공식화한 겁니다.
[임미애/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떻게 풀어가실 건지 공식적인 입장을 좀 다시 한번 밝혀 주시겠습니까?"]
[금한승/환경부 차관/지난 1일/국회 예결위 정책질의 :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다시 전면적으로 재검토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특히 환경부가 구미 해평, 안동댐 이전 외에도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을 시사하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의 향방은 더욱 점치기 어려워졌습니다.
환경부는, KBS와의 통화에서 "정해진 방향은 없다"면서 "찬반 대립이 첨예한 만큼 모든 대안을 정밀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돼 임기 중 해결되길 희망한다"다면서도, 의결을 눈앞에 두고 바뀐 환경부 기조에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구미시는 애초, 해평 취수 협정을 대구시가 파기한 거란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재협상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대구권 주민들의 30년 묵은 숙원 사업인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손바닥 뒤집듯 바뀌면서 시민들의 혼란과 사업 장기 표류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지현
-
-
최보규 기자 bokgil@kbs.co.kr
최보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