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수온 높다는데…고수온에 멸치 급감

입력 2025.07.06 (07:12) 수정 2025.07.06 (07: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를 시작하겠습니다.

남해안에서 은빛 멸치잡이가 시작됐지만, 어획량이 확 줄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랐기 때문인데요.

올여름도 남해안 수온이 평년보다 높을거로 전망돼 멸치 어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여름철 멸치잡이가 한창인 경남 통영 앞바다입니다.

대형 그물을 매단 어선 두 척이 앞으로 나아가며 멸치를 거둬들입니다.

3개월 간의 금어기가 끝나고 여름 조업이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잡힌 멸치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최점수/멸치잡이 선단 선장 : "어획량 자체도 많이 줄었고, 집단적으로 (멸치가) 나는 데도 없고 여러 곳으로 분산이 되고…."]

온난화 영향으로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며 멸치가 자취를 감춘 겁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여름 남해 연안해역 표층 수온이 평년보다 1도 정도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전국 멸치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남해안 어장에는 치명적입니다.

[최필종/멸치권현망수협 조합장 : "해수온이 너무 급격하게 바뀌고 고온화되니까 치어가 급격한 변화에 적응을 못 해서 어획 자원이 아마 감소하고 있지 않나..."]

고수온으로 멸치 대신 해파리가 대거 잡히면서 조업 피해를 보기도 했습니다.

5년 전 만 7천여 톤에 달했던 남해안의 멸치 위판량은 지난해 만 톤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어획량이 줄면서 4년 전만 해도 4천7백 원대였던 멸치 단가도 두 배 넘게 뛰었습니다.

채산을 맞추지 못하다 보니 최근 5년 사이 어선 80여 척이 멸치잡이를 포기했습니다.

최근 14년간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3천472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기후 변화에 따라 연안 어업이 큰 타격을 입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어 어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여름 수온 높다는데…고수온에 멸치 급감
    • 입력 2025-07-06 07:12:59
    • 수정2025-07-06 07:22:32
    KBS 재난방송센터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를 시작하겠습니다.

남해안에서 은빛 멸치잡이가 시작됐지만, 어획량이 확 줄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랐기 때문인데요.

올여름도 남해안 수온이 평년보다 높을거로 전망돼 멸치 어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여름철 멸치잡이가 한창인 경남 통영 앞바다입니다.

대형 그물을 매단 어선 두 척이 앞으로 나아가며 멸치를 거둬들입니다.

3개월 간의 금어기가 끝나고 여름 조업이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잡힌 멸치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최점수/멸치잡이 선단 선장 : "어획량 자체도 많이 줄었고, 집단적으로 (멸치가) 나는 데도 없고 여러 곳으로 분산이 되고…."]

온난화 영향으로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며 멸치가 자취를 감춘 겁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여름 남해 연안해역 표층 수온이 평년보다 1도 정도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전국 멸치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남해안 어장에는 치명적입니다.

[최필종/멸치권현망수협 조합장 : "해수온이 너무 급격하게 바뀌고 고온화되니까 치어가 급격한 변화에 적응을 못 해서 어획 자원이 아마 감소하고 있지 않나..."]

고수온으로 멸치 대신 해파리가 대거 잡히면서 조업 피해를 보기도 했습니다.

5년 전 만 7천여 톤에 달했던 남해안의 멸치 위판량은 지난해 만 톤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어획량이 줄면서 4년 전만 해도 4천7백 원대였던 멸치 단가도 두 배 넘게 뛰었습니다.

채산을 맞추지 못하다 보니 최근 5년 사이 어선 80여 척이 멸치잡이를 포기했습니다.

최근 14년간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3천472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기후 변화에 따라 연안 어업이 큰 타격을 입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어 어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