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 수장 관세 협상…“관세 유예 연장 방안 논의”
입력 2025.07.06 (11:33)
수정 2025.07.06 (1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8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둔 가운데,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시각으로 어제(5일) 오후 워싱턴DC에서 여한구 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여 본부장은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측 입장과 한미 간 상호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에 대한 한국 측 비전을 제시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또 최종 합의에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 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도 전했습니다.
한·미 양측은 또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양측은 또 한국의 이재명 정부 출범 뒤 한 달 동안 ‘선의(in good faith)’에 기반한 협상을 이어 나가고 있다는 점과 상호 입장 차이를 더 좁힐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양측이 모두 윈윈하는 호혜적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그동안 양국이 쌓아온 견고한 협력 모멘텀을 유지하고, 우호적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국익에 기반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시각으로 어제(5일) 오후 워싱턴DC에서 여한구 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여 본부장은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측 입장과 한미 간 상호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에 대한 한국 측 비전을 제시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또 최종 합의에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 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도 전했습니다.
한·미 양측은 또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양측은 또 한국의 이재명 정부 출범 뒤 한 달 동안 ‘선의(in good faith)’에 기반한 협상을 이어 나가고 있다는 점과 상호 입장 차이를 더 좁힐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양측이 모두 윈윈하는 호혜적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그동안 양국이 쌓아온 견고한 협력 모멘텀을 유지하고, 우호적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국익에 기반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통상 수장 관세 협상…“관세 유예 연장 방안 논의”
-
- 입력 2025-07-06 11:33:09
- 수정2025-07-06 12:01:53

오는 8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둔 가운데,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시각으로 어제(5일) 오후 워싱턴DC에서 여한구 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여 본부장은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측 입장과 한미 간 상호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에 대한 한국 측 비전을 제시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또 최종 합의에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 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도 전했습니다.
한·미 양측은 또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양측은 또 한국의 이재명 정부 출범 뒤 한 달 동안 ‘선의(in good faith)’에 기반한 협상을 이어 나가고 있다는 점과 상호 입장 차이를 더 좁힐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양측이 모두 윈윈하는 호혜적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그동안 양국이 쌓아온 견고한 협력 모멘텀을 유지하고, 우호적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국익에 기반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시각으로 어제(5일) 오후 워싱턴DC에서 여한구 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만나 관세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여 본부장은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측 입장과 한미 간 상호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에 대한 한국 측 비전을 제시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또 최종 합의에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 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도 전했습니다.
한·미 양측은 또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양측은 또 한국의 이재명 정부 출범 뒤 한 달 동안 ‘선의(in good faith)’에 기반한 협상을 이어 나가고 있다는 점과 상호 입장 차이를 더 좁힐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양측이 모두 윈윈하는 호혜적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그동안 양국이 쌓아온 견고한 협력 모멘텀을 유지하고, 우호적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국익에 기반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
김지숙 기자 vox@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