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참사 2주기 추모 주간 시작…‘안전 사회’ 다짐 이어가

입력 2025.07.07 (21:35) 수정 2025.07.07 (2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30명의 사상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가 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충청북도는 오늘부터 2주기 당일까지 추모 주간을 운영하는데요.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안전한 사회를 다짐하는 움직임이 다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정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송 참사 추모 주간 첫날.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시민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 앞에 헌화합니다.

방명록엔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안전한 충북을 만들겠다'고 적었습니다.

유가족들이 요구한 도청 내 추모비와 참사 현장 추모 현판 설치에 대해서는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영환/충청북도지사 : "조금 부담이 되더라도 그분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다면 우리가 해야 되겠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취임 뒤 첫 현장 일정으로 오송 궁평2지하차도를 찾았습니다.

묵념으로 희생자를 기리고, "오송 참사는 경찰의 반성과 변화를 이끈 사건 중 하나"라면서 재난 대응 태세 확립을 지시했습니다.

또, 여름철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지하차도 사고에 철저한 대비를 강조했습니다.

생존자들과 유가족은 초록색 추모 리본을 팔에 새기고 거리로 나섰습니다.

이들은 세월호와 오송, 이태원, 무안공항 등 각종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관련 국정 조사와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협의회 대표 : "다시는 이러한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국민 여러분 모두가 오송 참사를 계속 관심 가져주시고 잊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후 유가족들은 충북을 찾은 행정안전부 관계자들을 만나 국가 차원의 참사 방지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이경구/오송 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 : "참사가 발생하고 나서도 제도적으로 어떻게 하란 매뉴얼이나 이런 부분들이 없지 않습니까. 좀 더 중앙 정부에서 관심을 가지고 제도를 보완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편, 충청북도는 2주기 당일까지 모든 공무원이 추모 리본을 달고, 주요 행사 시작 땐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도청 전광판에 2주기 추모를 안내하는 등 경건한 분위기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송 참사 2주기 추모 주간 시작…‘안전 사회’ 다짐 이어가
    • 입력 2025-07-07 21:35:04
    • 수정2025-07-07 21:41:57
    뉴스9(청주)
[앵커]

30명의 사상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가 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충청북도는 오늘부터 2주기 당일까지 추모 주간을 운영하는데요.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안전한 사회를 다짐하는 움직임이 다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정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송 참사 추모 주간 첫날.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시민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 앞에 헌화합니다.

방명록엔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안전한 충북을 만들겠다'고 적었습니다.

유가족들이 요구한 도청 내 추모비와 참사 현장 추모 현판 설치에 대해서는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영환/충청북도지사 : "조금 부담이 되더라도 그분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다면 우리가 해야 되겠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취임 뒤 첫 현장 일정으로 오송 궁평2지하차도를 찾았습니다.

묵념으로 희생자를 기리고, "오송 참사는 경찰의 반성과 변화를 이끈 사건 중 하나"라면서 재난 대응 태세 확립을 지시했습니다.

또, 여름철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지하차도 사고에 철저한 대비를 강조했습니다.

생존자들과 유가족은 초록색 추모 리본을 팔에 새기고 거리로 나섰습니다.

이들은 세월호와 오송, 이태원, 무안공항 등 각종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관련 국정 조사와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협의회 대표 : "다시는 이러한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국민 여러분 모두가 오송 참사를 계속 관심 가져주시고 잊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후 유가족들은 충북을 찾은 행정안전부 관계자들을 만나 국가 차원의 참사 방지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이경구/오송 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 : "참사가 발생하고 나서도 제도적으로 어떻게 하란 매뉴얼이나 이런 부분들이 없지 않습니까. 좀 더 중앙 정부에서 관심을 가지고 제도를 보완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편, 충청북도는 2주기 당일까지 모든 공무원이 추모 리본을 달고, 주요 행사 시작 땐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도청 전광판에 2주기 추모를 안내하는 등 경건한 분위기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