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논란 ‘종결’…익산시 “2027년 광역상수도 전역에 공급”

입력 2025.07.08 (21:46) 수정 2025.07.08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북에서 유일하게 농업용수를 정수해 일부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던 익산시가, 광역상수도를 전면 확대하기로 결단을 내렸습니다.

10년 넘게 이어진 찬반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수도 요금 인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완주에서 익산을 거쳐 군산까지 이어지는 농업용 대간선수로.

익산시는 이 물을 끌어와 정수한 뒤 생활용수를 30% 넘게 공급하는데, 수질 오염 등 안전성 논란이 일었습니다.

이 때문에 용담댐을 수원으로 하는 광역상수도 공급을 추진했지만, 반대 여론이 높아 10년 넘게 공회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익산시가 시내 전역에 광역상수도를 공급하기로 전격 결정했습니다.

[나은정/익산시 상하수도사업단장 : "2027년 1월부터 광역상수도 전면 전환에 따른 용수 공급을 본격 개시할 계획입니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노후한 기존 상수도 시설에 대한 안전·위생 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송수관로 연결 비용은 수자원공사가 모두 부담합니다.

180억 원을 들여 춘포 분기점부터 신흥, 금강정수장까지 전체 5.7km 구간에 관로를 설치하고 익산시가 신흥정수장 내부 관로를 연결하면 광역 급수 체계가 완성됩니다.

기존의 금강정수장은 폐쇄하되, 신흥정수장은 공업용수 생산을 위해 남겨두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수도 요금.

익산시는 4인 가구가 달마다 24톤의 물을 사용할 경우 3천3백 원가량 요금이 오를 것으로 추산합니다.

[이상민/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수도) 요금의 증가 요인이 어떤 부분인지 좀 더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일관된 입장으로 제기해 줘야 하고요. 특히 요금의 부담을 느낄 수 있는 세대에 대해서는 요금 부담을 경감할 대책도…."]

10년 넘는 논란 속에 첫발을 뗀 광역상수도 확대. 이제 충분한 시민 소통과 투명한 정보 공개가 과제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년 논란 ‘종결’…익산시 “2027년 광역상수도 전역에 공급”
    • 입력 2025-07-08 21:46:36
    • 수정2025-07-08 21:51:59
    뉴스9(전주)
[앵커]

전북에서 유일하게 농업용수를 정수해 일부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던 익산시가, 광역상수도를 전면 확대하기로 결단을 내렸습니다.

10년 넘게 이어진 찬반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수도 요금 인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완주에서 익산을 거쳐 군산까지 이어지는 농업용 대간선수로.

익산시는 이 물을 끌어와 정수한 뒤 생활용수를 30% 넘게 공급하는데, 수질 오염 등 안전성 논란이 일었습니다.

이 때문에 용담댐을 수원으로 하는 광역상수도 공급을 추진했지만, 반대 여론이 높아 10년 넘게 공회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익산시가 시내 전역에 광역상수도를 공급하기로 전격 결정했습니다.

[나은정/익산시 상하수도사업단장 : "2027년 1월부터 광역상수도 전면 전환에 따른 용수 공급을 본격 개시할 계획입니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노후한 기존 상수도 시설에 대한 안전·위생 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송수관로 연결 비용은 수자원공사가 모두 부담합니다.

180억 원을 들여 춘포 분기점부터 신흥, 금강정수장까지 전체 5.7km 구간에 관로를 설치하고 익산시가 신흥정수장 내부 관로를 연결하면 광역 급수 체계가 완성됩니다.

기존의 금강정수장은 폐쇄하되, 신흥정수장은 공업용수 생산을 위해 남겨두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수도 요금.

익산시는 4인 가구가 달마다 24톤의 물을 사용할 경우 3천3백 원가량 요금이 오를 것으로 추산합니다.

[이상민/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수도) 요금의 증가 요인이 어떤 부분인지 좀 더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일관된 입장으로 제기해 줘야 하고요. 특히 요금의 부담을 느낄 수 있는 세대에 대해서는 요금 부담을 경감할 대책도…."]

10년 넘는 논란 속에 첫발을 뗀 광역상수도 확대. 이제 충분한 시민 소통과 투명한 정보 공개가 과제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