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공항 TF도 꾸리는데…‘공모’ 요구 논란
입력 2025.07.09 (09:10)
수정 2025.07.09 (09: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실 주도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속도를 내고 있죠.
그런데 유력 후보지인 무안군이 대통령실에 다시 '공모 방식'을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허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대통령 주재 광주 타운홀 미팅 이후 속도를 내는 듯했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
대통령실은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등 현황 파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25일 : "국가 단위에서 제가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정부에서 이걸 주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김산 무안군수가 지난 3일, 8일 만에 다시 대통령실을 찾았습니다.
특정 지역을 정해놓고 군공항 이전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며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례처럼 여러 후보지를 대상으로 하는 '공개 공모 방식'으로 전환해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사실상 원점 재검토를 요구한 겁니다.
또 '기부 대 양여' 방식이 아닌 전액 국가 재정을 투입하고, '국가 사업'으로 완전 전환해달라고도 요청했습니다.
[이혜향/무안군 미래성장과장 : "무안공항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무안을 타깃으로 하지 말고 대구·경북처럼 공모를 해달라. 대구 경북은 국방부에서 5개 시군을 가지고 1년간 숙의 논의를 했거든요 공개모집을."]
무안군을 이전 후보지로 보고 발표 시점까지 전망했던 광주시는 이미 정부로 공이 넘어간 데다 논란을 더 키울 수 있다며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도 여전히 무안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며 진위를 파악하고 나섰습니다.
[전남도 무안공항활성화추진단 관계자 : "저희도 조금 더 진위를 좀 파악하고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최초 국방부 건의 18년 만에 사실상 국정과제로 확정됐지만 무안군이 다시 공모를 요구하고 나선 만큼 이전 합의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영상편집:이우재
정부가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실 주도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속도를 내고 있죠.
그런데 유력 후보지인 무안군이 대통령실에 다시 '공모 방식'을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허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대통령 주재 광주 타운홀 미팅 이후 속도를 내는 듯했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
대통령실은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등 현황 파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25일 : "국가 단위에서 제가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정부에서 이걸 주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김산 무안군수가 지난 3일, 8일 만에 다시 대통령실을 찾았습니다.
특정 지역을 정해놓고 군공항 이전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며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례처럼 여러 후보지를 대상으로 하는 '공개 공모 방식'으로 전환해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사실상 원점 재검토를 요구한 겁니다.
또 '기부 대 양여' 방식이 아닌 전액 국가 재정을 투입하고, '국가 사업'으로 완전 전환해달라고도 요청했습니다.
[이혜향/무안군 미래성장과장 : "무안공항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무안을 타깃으로 하지 말고 대구·경북처럼 공모를 해달라. 대구 경북은 국방부에서 5개 시군을 가지고 1년간 숙의 논의를 했거든요 공개모집을."]
무안군을 이전 후보지로 보고 발표 시점까지 전망했던 광주시는 이미 정부로 공이 넘어간 데다 논란을 더 키울 수 있다며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도 여전히 무안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며 진위를 파악하고 나섰습니다.
[전남도 무안공항활성화추진단 관계자 : "저희도 조금 더 진위를 좀 파악하고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최초 국방부 건의 18년 만에 사실상 국정과제로 확정됐지만 무안군이 다시 공모를 요구하고 나선 만큼 이전 합의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영상편집:이우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공항 TF도 꾸리는데…‘공모’ 요구 논란
-
- 입력 2025-07-09 09:10:15
- 수정2025-07-09 09:29:42

[앵커]
정부가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실 주도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속도를 내고 있죠.
그런데 유력 후보지인 무안군이 대통령실에 다시 '공모 방식'을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허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대통령 주재 광주 타운홀 미팅 이후 속도를 내는 듯했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
대통령실은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등 현황 파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25일 : "국가 단위에서 제가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정부에서 이걸 주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김산 무안군수가 지난 3일, 8일 만에 다시 대통령실을 찾았습니다.
특정 지역을 정해놓고 군공항 이전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며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례처럼 여러 후보지를 대상으로 하는 '공개 공모 방식'으로 전환해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사실상 원점 재검토를 요구한 겁니다.
또 '기부 대 양여' 방식이 아닌 전액 국가 재정을 투입하고, '국가 사업'으로 완전 전환해달라고도 요청했습니다.
[이혜향/무안군 미래성장과장 : "무안공항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무안을 타깃으로 하지 말고 대구·경북처럼 공모를 해달라. 대구 경북은 국방부에서 5개 시군을 가지고 1년간 숙의 논의를 했거든요 공개모집을."]
무안군을 이전 후보지로 보고 발표 시점까지 전망했던 광주시는 이미 정부로 공이 넘어간 데다 논란을 더 키울 수 있다며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도 여전히 무안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며 진위를 파악하고 나섰습니다.
[전남도 무안공항활성화추진단 관계자 : "저희도 조금 더 진위를 좀 파악하고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최초 국방부 건의 18년 만에 사실상 국정과제로 확정됐지만 무안군이 다시 공모를 요구하고 나선 만큼 이전 합의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영상편집:이우재
정부가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실 주도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속도를 내고 있죠.
그런데 유력 후보지인 무안군이 대통령실에 다시 '공모 방식'을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허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대통령 주재 광주 타운홀 미팅 이후 속도를 내는 듯했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
대통령실은 전담팀 구성을 추진하며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등 현황 파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25일 : "국가 단위에서 제가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정부에서 이걸 주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김산 무안군수가 지난 3일, 8일 만에 다시 대통령실을 찾았습니다.
특정 지역을 정해놓고 군공항 이전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며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례처럼 여러 후보지를 대상으로 하는 '공개 공모 방식'으로 전환해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사실상 원점 재검토를 요구한 겁니다.
또 '기부 대 양여' 방식이 아닌 전액 국가 재정을 투입하고, '국가 사업'으로 완전 전환해달라고도 요청했습니다.
[이혜향/무안군 미래성장과장 : "무안공항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무안을 타깃으로 하지 말고 대구·경북처럼 공모를 해달라. 대구 경북은 국방부에서 5개 시군을 가지고 1년간 숙의 논의를 했거든요 공개모집을."]
무안군을 이전 후보지로 보고 발표 시점까지 전망했던 광주시는 이미 정부로 공이 넘어간 데다 논란을 더 키울 수 있다며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도 여전히 무안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며 진위를 파악하고 나섰습니다.
[전남도 무안공항활성화추진단 관계자 : "저희도 조금 더 진위를 좀 파악하고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최초 국방부 건의 18년 만에 사실상 국정과제로 확정됐지만 무안군이 다시 공모를 요구하고 나선 만큼 이전 합의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영상편집:이우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