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미국에 너무 적게 지불”
입력 2025.07.09 (12:32)
수정 2025.07.09 (1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방위비를 너무 적게 내고 있다며 수시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해 왔는데요.
이번에도 관세 얘기를 하다가 방위비를 또 꺼내 들었습니다.
무역과 안보를 연결해서 최대치를 얻겠단 의지로 해석됩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한국을 언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한국을 재건하고, 그곳에 머물렀지만, 그들은 군사 비용으로 아주 적은 금액만 지불합니다."]
한국이 많은 돈을 벌고 있다며 한국은 방위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가 주한 미군 방위비를 올리려 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도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집권 1기 때도 방위비 인상을 시도했지만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협정은 바이든 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1년에 타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한국의 분담금을 깎아줬다며 날을 세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예전에) 한국이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게 했었지만, 바이든이 들어와 그걸 취소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잘못된 수치를 내놨습니다.
2019년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한국에 요구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건 절반인 50억 달러였습니다.
트럼프는 주한 미군 규모가 4만 5천 명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 2만 8천 명 정도 주둔 중입니다.
트럼프는 한국 외에 독일 주둔 미군도 언급하며 그들에겐 큰 경제 발전이고, 우리에겐 큰 손실이라며 불공평하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막바지 통상 협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트럼프가 다시 방위비 문제를 들고나온 건,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이란 분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방위비를 너무 적게 내고 있다며 수시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해 왔는데요.
이번에도 관세 얘기를 하다가 방위비를 또 꺼내 들었습니다.
무역과 안보를 연결해서 최대치를 얻겠단 의지로 해석됩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한국을 언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한국을 재건하고, 그곳에 머물렀지만, 그들은 군사 비용으로 아주 적은 금액만 지불합니다."]
한국이 많은 돈을 벌고 있다며 한국은 방위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가 주한 미군 방위비를 올리려 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도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집권 1기 때도 방위비 인상을 시도했지만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협정은 바이든 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1년에 타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한국의 분담금을 깎아줬다며 날을 세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예전에) 한국이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게 했었지만, 바이든이 들어와 그걸 취소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잘못된 수치를 내놨습니다.
2019년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한국에 요구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건 절반인 50억 달러였습니다.
트럼프는 주한 미군 규모가 4만 5천 명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 2만 8천 명 정도 주둔 중입니다.
트럼프는 한국 외에 독일 주둔 미군도 언급하며 그들에겐 큰 경제 발전이고, 우리에겐 큰 손실이라며 불공평하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막바지 통상 협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트럼프가 다시 방위비 문제를 들고나온 건,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이란 분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미국에 너무 적게 지불”
-
- 입력 2025-07-09 12:32:46
- 수정2025-07-09 12:38:57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방위비를 너무 적게 내고 있다며 수시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해 왔는데요.
이번에도 관세 얘기를 하다가 방위비를 또 꺼내 들었습니다.
무역과 안보를 연결해서 최대치를 얻겠단 의지로 해석됩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한국을 언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한국을 재건하고, 그곳에 머물렀지만, 그들은 군사 비용으로 아주 적은 금액만 지불합니다."]
한국이 많은 돈을 벌고 있다며 한국은 방위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가 주한 미군 방위비를 올리려 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도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집권 1기 때도 방위비 인상을 시도했지만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협정은 바이든 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1년에 타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한국의 분담금을 깎아줬다며 날을 세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예전에) 한국이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게 했었지만, 바이든이 들어와 그걸 취소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잘못된 수치를 내놨습니다.
2019년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한국에 요구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건 절반인 50억 달러였습니다.
트럼프는 주한 미군 규모가 4만 5천 명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 2만 8천 명 정도 주둔 중입니다.
트럼프는 한국 외에 독일 주둔 미군도 언급하며 그들에겐 큰 경제 발전이고, 우리에겐 큰 손실이라며 불공평하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막바지 통상 협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트럼프가 다시 방위비 문제를 들고나온 건,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이란 분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방위비를 너무 적게 내고 있다며 수시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해 왔는데요.
이번에도 관세 얘기를 하다가 방위비를 또 꺼내 들었습니다.
무역과 안보를 연결해서 최대치를 얻겠단 의지로 해석됩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한국을 언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한국을 재건하고, 그곳에 머물렀지만, 그들은 군사 비용으로 아주 적은 금액만 지불합니다."]
한국이 많은 돈을 벌고 있다며 한국은 방위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가 주한 미군 방위비를 올리려 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도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집권 1기 때도 방위비 인상을 시도했지만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협정은 바이든 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1년에 타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한국의 분담금을 깎아줬다며 날을 세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예전에) 한국이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게 했었지만, 바이든이 들어와 그걸 취소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잘못된 수치를 내놨습니다.
2019년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한국에 요구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건 절반인 50억 달러였습니다.
트럼프는 주한 미군 규모가 4만 5천 명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 2만 8천 명 정도 주둔 중입니다.
트럼프는 한국 외에 독일 주둔 미군도 언급하며 그들에겐 큰 경제 발전이고, 우리에겐 큰 손실이라며 불공평하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막바지 통상 협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트럼프가 다시 방위비 문제를 들고나온 건,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이란 분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
김경수 기자 bada@kbs.co.kr
김경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