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임기 내’ 전작권 전환”…‘평양 무인기’ 놓고 설전

입력 2025.07.15 (21:10) 수정 2025.07.15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소식 전해드립니다.

먼저,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현 정부 임기 안에 전시작전권을 갖고 오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임기 안에 하겠다는 건 개인 생각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여야가 평양 무인기 의혹을 놓고 공방을 벌이면서 청문회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조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64년 만의 문민 국방장관으로 내정된 안규백 후보자 청문회.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후보자 : "전작권 전환은 먼저 이재명 정부 이내의 전환을 목표로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야는 입장차를 보였고.

[윤상현/국회 국방위원/국민의힘 : "전작권 전환으로 끝나지 않는다. 주한미군 감축 등하고 같이 어울려진다."]

[박선원/국회 국방위원/더불어민주당 : "(전환하면) 주한미군 빠져나간다 온갖 소리 다 하고 있어요. 미군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대통령실은 전작권 환수가 대통령 공약이지만 '5년 내'라는 시한은 안 후보자 개인 의견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안 후보자도 말을 바꿨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후보자 : "기한을 정한 것이 아니라 전작권 전환에 대한 추진 의지를 제가 밝힌 내용입니다."]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을 놓고도 설전이 이어졌습니다.

[김병주/국회 국방위원/더불어민주당 : "이것은 명백히 외환죄나 이적죄가 될 수 있는 사항이고 또한 12.3 내란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사항이기…."]

[성일종/국회 국방위원장/국민의힘 : "우리가 그런 작전을 안 한다고 하면 북한은 우리는 어떻게 보겠습니까? 우리는 당하고 가만히 있어야 합니까?"]

고성이 오간 끝에 청문회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안 후보자가 방위병 복무를 정상보다 8달 더 했다는 기록에 대해 근무지 이탈이나 영창 입소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후보자 : "22개월이라는 것은 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그게 산입된 겁니다, 복무기간이. 착오가 있었던 거예요. 행정적 착오가 있었던 것이지요."]

안 후보자는 북한은 적이라고 강조하면서도 소통은 필요하며, 9.19 군사 합의 복원도 낮은 단계부터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 정부 ‘임기 내’ 전작권 전환”…‘평양 무인기’ 놓고 설전
    • 입력 2025-07-15 21:10:33
    • 수정2025-07-15 22:03:39
    뉴스 9
[앵커]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소식 전해드립니다.

먼저,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현 정부 임기 안에 전시작전권을 갖고 오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임기 안에 하겠다는 건 개인 생각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여야가 평양 무인기 의혹을 놓고 공방을 벌이면서 청문회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조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64년 만의 문민 국방장관으로 내정된 안규백 후보자 청문회.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후보자 : "전작권 전환은 먼저 이재명 정부 이내의 전환을 목표로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야는 입장차를 보였고.

[윤상현/국회 국방위원/국민의힘 : "전작권 전환으로 끝나지 않는다. 주한미군 감축 등하고 같이 어울려진다."]

[박선원/국회 국방위원/더불어민주당 : "(전환하면) 주한미군 빠져나간다 온갖 소리 다 하고 있어요. 미군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대통령실은 전작권 환수가 대통령 공약이지만 '5년 내'라는 시한은 안 후보자 개인 의견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안 후보자도 말을 바꿨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후보자 : "기한을 정한 것이 아니라 전작권 전환에 대한 추진 의지를 제가 밝힌 내용입니다."]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을 놓고도 설전이 이어졌습니다.

[김병주/국회 국방위원/더불어민주당 : "이것은 명백히 외환죄나 이적죄가 될 수 있는 사항이고 또한 12.3 내란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사항이기…."]

[성일종/국회 국방위원장/국민의힘 : "우리가 그런 작전을 안 한다고 하면 북한은 우리는 어떻게 보겠습니까? 우리는 당하고 가만히 있어야 합니까?"]

고성이 오간 끝에 청문회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안 후보자가 방위병 복무를 정상보다 8달 더 했다는 기록에 대해 근무지 이탈이나 영창 입소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후보자 : "22개월이라는 것은 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그게 산입된 겁니다, 복무기간이. 착오가 있었던 거예요. 행정적 착오가 있었던 것이지요."]

안 후보자는 북한은 적이라고 강조하면서도 소통은 필요하며, 9.19 군사 합의 복원도 낮은 단계부터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