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군 ‘NLL 근접비행’, 작년 상반기에도 있었다…“정상 작전 아니었다”
입력 2025.07.16 (07:04)
수정 2025.07.16 (10: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검 수사를 받고 있는 드론작전사령부가 지난해 상반기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무인기를 이례적으로 가까이 붙여 비행하는 작전을 최소 2차례 실시했다고 복수의 군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군은 12·3 비상계엄을 앞두고 지난해 하반기 공격용 아파치 헬기를 NLL에 가까이 보내 북한의 공격을 유도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데, 상반기에도 유사한 작전이 진행됐다는 주장입니다.

■ 지난해 상반기, '훈련용 무인기' 최소 2차례 NLL 근접비행
국회 국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이 군인들에게 확보한 진술에 따르면, 드론작전사령부는 지난해 3~5월 사이 최소 2차례 무인기(S-BAT)를 NLL 인근으로 날렸습니다.
당시 무인기는 서해 최북단 백령도 인근에서 이륙해 NLL 1마일(1.6km)까지 근접했다고, 군 관계자들은 밝혔습니다.
의원실에 따르면, 작전에 참여한 간부들은 "기존에는 하지 않았던 작전이었다"며 통상적인 정찰·감시훈련이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작전과 달리 지휘관들이 소수의 부대원들만 불러서 진행했다"며 "다들 이상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NLL 1마일 근처까지 가면 인근에 있는 중국 어선에게 식별될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 선박이 무인기 활동을 발견하고 북한 측에 알릴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지휘관들은 '북한 어떻게 하고 있나, 동향이 어떤가', '북한 레이더가 우리를 인식했나'라고 물었다"고 의원실에 설명했습니다.
무인기가 NLL에 지나치게 근접하자, 부대원들이 "위험한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고도 합니다.
작전에 투입된 S-BAT 무인기는 북한이 지난해 10월 평양에 침투했다고 발표한 무인기와 같은 기종이며, 레이더에 쉽게 포착돼 실전 투입용이 아닌 교육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부승찬 의원은 "2024년 10월 평양에 무인기를 보낸 드론사가, 그보다 9개월 앞선 3월부터 NLL 근접비행 같은 비정상 작전을 벌여온 정황이 드러난 것"이라며 "정권 차원의 '북풍 유도'가 치밀하게 준비돼왔다는 강력한 증거"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특검은 극소수 인력만 동원해 밀실에서 감행된 이러한 비정상 작전들을 '내란 예비·음모 및 일반이적죄'로 간주하고, 지시자와 배후 세력을 끝까지 추적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 계엄 직전까지 NLL 인근서 4차례 '아파치 위협비행'
앞서 민주당 추미애 의원실이 올해 3월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직전인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육군항공사령부 소속 아파치 헬기가 NLL 인근에서 위협 비행을 했습니다.
합참은 '정상 작전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조종사들은 "이례적으로 북한군 기지에서 2~3km인 곳까지 비행했다", "'적을 타격하라'는 교신을 누구나 도청할 수 있는 일반 통신망을 통해 했다"고 밝히는 등 '북풍 유도'로 의심된다고 추 의원은 주장했습니다.
내란 특검은 윤석열 정부가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해 북한의 공격을 유도했다는 외환 유치 혐의를 수사 중입니다.
특검은 현재 이같은 'NLL 근접 비행' 작전의 배경을 들여다보고 있으며, 작전에 참여한 군 관계자 일부의 진술을 확보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군 ‘NLL 근접비행’, 작년 상반기에도 있었다…“정상 작전 아니었다”
-
- 입력 2025-07-16 07:04:49
- 수정2025-07-16 10:25:08

특검 수사를 받고 있는 드론작전사령부가 지난해 상반기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무인기를 이례적으로 가까이 붙여 비행하는 작전을 최소 2차례 실시했다고 복수의 군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군은 12·3 비상계엄을 앞두고 지난해 하반기 공격용 아파치 헬기를 NLL에 가까이 보내 북한의 공격을 유도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데, 상반기에도 유사한 작전이 진행됐다는 주장입니다.

■ 지난해 상반기, '훈련용 무인기' 최소 2차례 NLL 근접비행
국회 국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이 군인들에게 확보한 진술에 따르면, 드론작전사령부는 지난해 3~5월 사이 최소 2차례 무인기(S-BAT)를 NLL 인근으로 날렸습니다.
당시 무인기는 서해 최북단 백령도 인근에서 이륙해 NLL 1마일(1.6km)까지 근접했다고, 군 관계자들은 밝혔습니다.
의원실에 따르면, 작전에 참여한 간부들은 "기존에는 하지 않았던 작전이었다"며 통상적인 정찰·감시훈련이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작전과 달리 지휘관들이 소수의 부대원들만 불러서 진행했다"며 "다들 이상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NLL 1마일 근처까지 가면 인근에 있는 중국 어선에게 식별될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 선박이 무인기 활동을 발견하고 북한 측에 알릴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지휘관들은 '북한 어떻게 하고 있나, 동향이 어떤가', '북한 레이더가 우리를 인식했나'라고 물었다"고 의원실에 설명했습니다.
무인기가 NLL에 지나치게 근접하자, 부대원들이 "위험한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고도 합니다.
작전에 투입된 S-BAT 무인기는 북한이 지난해 10월 평양에 침투했다고 발표한 무인기와 같은 기종이며, 레이더에 쉽게 포착돼 실전 투입용이 아닌 교육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부승찬 의원은 "2024년 10월 평양에 무인기를 보낸 드론사가, 그보다 9개월 앞선 3월부터 NLL 근접비행 같은 비정상 작전을 벌여온 정황이 드러난 것"이라며 "정권 차원의 '북풍 유도'가 치밀하게 준비돼왔다는 강력한 증거"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특검은 극소수 인력만 동원해 밀실에서 감행된 이러한 비정상 작전들을 '내란 예비·음모 및 일반이적죄'로 간주하고, 지시자와 배후 세력을 끝까지 추적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 계엄 직전까지 NLL 인근서 4차례 '아파치 위협비행'
앞서 민주당 추미애 의원실이 올해 3월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직전인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육군항공사령부 소속 아파치 헬기가 NLL 인근에서 위협 비행을 했습니다.
합참은 '정상 작전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조종사들은 "이례적으로 북한군 기지에서 2~3km인 곳까지 비행했다", "'적을 타격하라'는 교신을 누구나 도청할 수 있는 일반 통신망을 통해 했다"고 밝히는 등 '북풍 유도'로 의심된다고 추 의원은 주장했습니다.
내란 특검은 윤석열 정부가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해 북한의 공격을 유도했다는 외환 유치 혐의를 수사 중입니다.
특검은 현재 이같은 'NLL 근접 비행' 작전의 배경을 들여다보고 있으며, 작전에 참여한 군 관계자 일부의 진술을 확보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특검 수사’ 본격화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