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장관 내일 방미…미 러트닉 상무장관 만나 관세 논의
입력 2025.07.22 (21:49)
수정 2025.07.22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내일(23일) 대미 관세 협상 등 통상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한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혔습니다.
취임 이틀 만에 통상 수장으로서 미국 상호관세·품목관세 등 협의를 위해 첫 미국 방문길에 오르는 것입니다.
김 장관은 방미 기간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만나 자동차·철강 등 품목관세 인하 문제 등을 논의하는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장관 이번 방미에는 통상차관보도 동행합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늘(22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
지난달 본부장에 취임한 뒤 세 번째 미국 방문입니다.
본부장은 오는 25일 예정된 미국과의 '2+2 고위급 관세 협의'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한국 측 대표로 참석합니다.
이번 '2+2 통상협의'에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협상 테이블에 앉습니다.
통상 당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한으로 통보한 8월 1일 이전까지 우리나라에 예고한 25%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취임 이틀 만에 통상 수장으로서 미국 상호관세·품목관세 등 협의를 위해 첫 미국 방문길에 오르는 것입니다.
김 장관은 방미 기간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만나 자동차·철강 등 품목관세 인하 문제 등을 논의하는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장관 이번 방미에는 통상차관보도 동행합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늘(22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
지난달 본부장에 취임한 뒤 세 번째 미국 방문입니다.
본부장은 오는 25일 예정된 미국과의 '2+2 고위급 관세 협의'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한국 측 대표로 참석합니다.
이번 '2+2 통상협의'에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협상 테이블에 앉습니다.
통상 당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한으로 통보한 8월 1일 이전까지 우리나라에 예고한 25%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정관 산업장관 내일 방미…미 러트닉 상무장관 만나 관세 논의
-
- 입력 2025-07-22 21:49:19
- 수정2025-07-22 22:00:51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내일(23일) 대미 관세 협상 등 통상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한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혔습니다.
취임 이틀 만에 통상 수장으로서 미국 상호관세·품목관세 등 협의를 위해 첫 미국 방문길에 오르는 것입니다.
김 장관은 방미 기간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만나 자동차·철강 등 품목관세 인하 문제 등을 논의하는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장관 이번 방미에는 통상차관보도 동행합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늘(22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
지난달 본부장에 취임한 뒤 세 번째 미국 방문입니다.
본부장은 오는 25일 예정된 미국과의 '2+2 고위급 관세 협의'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한국 측 대표로 참석합니다.
이번 '2+2 통상협의'에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협상 테이블에 앉습니다.
통상 당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한으로 통보한 8월 1일 이전까지 우리나라에 예고한 25%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취임 이틀 만에 통상 수장으로서 미국 상호관세·품목관세 등 협의를 위해 첫 미국 방문길에 오르는 것입니다.
김 장관은 방미 기간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만나 자동차·철강 등 품목관세 인하 문제 등을 논의하는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장관 이번 방미에는 통상차관보도 동행합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늘(22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
지난달 본부장에 취임한 뒤 세 번째 미국 방문입니다.
본부장은 오는 25일 예정된 미국과의 '2+2 고위급 관세 협의'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한국 측 대표로 참석합니다.
이번 '2+2 통상협의'에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협상 테이블에 앉습니다.
통상 당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시한으로 통보한 8월 1일 이전까지 우리나라에 예고한 25%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수진 기자 nodance@kbs.co.kr
홍수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