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초유망주 메이저리그 직행 열풍 딜레마

입력 2025.07.28 (21:53) 수정 2025.07.28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우리나라 야구 유망주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무대로 직행하는 사례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는 성공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고교 초 유망주들의 메이저리그 직행 열풍과 딜레마를 박주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도 어김없이 한국 유망주들이 있는 곳엔 메이저리그 구단 관계자들이 일제히 몰렸습니다.

삼성의 거포 출신 박석민 전 두산 코치의 아들 북일고 박준현을 비롯해 장충고 문서준 등 최대어들을 관찰하기 위해섭니다.

일명 빅 포 가운데 광주일고 김성준은 일찌감치 텍사스와 120만 달러에 계약을 마쳤습니다.

김성준에 이어 문서준은 토론토와 협상 중으로 알려졌고 박준현 역시 미국 복수 구단의 러브콜을 받고 고민 중입니다.

[메이저리그 스카우트 :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김혜성과 김하성의 (가능성을) 봤기 때문에 한국 시장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할 필요성이 생겼고 어린 고교 선수들도 더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단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죠."]

1997년 두 명을 시작으로 미국 직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09년 가장 많은 8명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도 벌써 이현승과 김성준도 확정, 최근엔 아예 미국 대학으로 진출한 사례까지 나왔습니다.

그러나 성공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게 문제점으로 분석됩니다.

이학주와 배지환의 사례 역시 시사점이 많은 가운데 어린 선수들이 낯선 환경에서 적응하기 어려운 점 역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입니다.

[정윤진/덕수고 감독 : "몇 년 전에 한 친구가 졸업하면서 미국에 갔는데 저는 굉장히 만류했습니다. (하나씩 지도해주는 한국과 달리) 미국은 (정해진) 훈련 시간만 끝나고 나면 전혀 코칭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 해야 하거든요."]

장현석과 심준석 역시 미국에서 미래가 불투명합니다.

전례 없는 미국의 대공습 속 한국의 드래프트 기반이 흔들리면서 유망주들의 미국행 열풍에 한국 야구가 깊은 딜레마에 빠졌습니다.

KBS 뉴스 박주미입니다.

촬영기자:이상구/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교 초유망주 메이저리그 직행 열풍 딜레마
    • 입력 2025-07-28 21:53:38
    • 수정2025-07-28 22:25:56
    뉴스 9
[앵커]

최근 우리나라 야구 유망주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무대로 직행하는 사례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는 성공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고교 초 유망주들의 메이저리그 직행 열풍과 딜레마를 박주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도 어김없이 한국 유망주들이 있는 곳엔 메이저리그 구단 관계자들이 일제히 몰렸습니다.

삼성의 거포 출신 박석민 전 두산 코치의 아들 북일고 박준현을 비롯해 장충고 문서준 등 최대어들을 관찰하기 위해섭니다.

일명 빅 포 가운데 광주일고 김성준은 일찌감치 텍사스와 120만 달러에 계약을 마쳤습니다.

김성준에 이어 문서준은 토론토와 협상 중으로 알려졌고 박준현 역시 미국 복수 구단의 러브콜을 받고 고민 중입니다.

[메이저리그 스카우트 :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김혜성과 김하성의 (가능성을) 봤기 때문에 한국 시장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할 필요성이 생겼고 어린 고교 선수들도 더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단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죠."]

1997년 두 명을 시작으로 미국 직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09년 가장 많은 8명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도 벌써 이현승과 김성준도 확정, 최근엔 아예 미국 대학으로 진출한 사례까지 나왔습니다.

그러나 성공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게 문제점으로 분석됩니다.

이학주와 배지환의 사례 역시 시사점이 많은 가운데 어린 선수들이 낯선 환경에서 적응하기 어려운 점 역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입니다.

[정윤진/덕수고 감독 : "몇 년 전에 한 친구가 졸업하면서 미국에 갔는데 저는 굉장히 만류했습니다. (하나씩 지도해주는 한국과 달리) 미국은 (정해진) 훈련 시간만 끝나고 나면 전혀 코칭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 해야 하거든요."]

장현석과 심준석 역시 미국에서 미래가 불투명합니다.

전례 없는 미국의 대공습 속 한국의 드래프트 기반이 흔들리면서 유망주들의 미국행 열풍에 한국 야구가 깊은 딜레마에 빠졌습니다.

KBS 뉴스 박주미입니다.

촬영기자:이상구/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