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미국의 10% 상호관세·무비자 추진에 “대미 밀착외교 성과”

입력 2025.07.29 (05:50) 수정 2025.07.29 (05: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브로맨스'를 과시하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미국의 가장 낮은 상호관세율 부과와 무비자 여행 재개 추진 등을 외교 성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실은 현지시각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우리 정부는 관광·상용 목적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국민에 대해 무비자 혜택을 적용하는 미국의 비자면제프로그램(VWP) 관련 협정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미국과) 이를 위한 예비 절차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나 칠레 등과 마찬가지로 전자여행허가제(ESTA)를 통해 최대 90일간 미국을 무비자로 방문할 수 있게 되는 이 프로그램 적용은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아르헨티나 대통령실은 덧붙였습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실은 무비자 입국 협정 체결을 위한 첫 단추를 끼울 수 있게 된 게 "양국 정상 간 돈독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두드러진 인연" 덕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관련 협정을 위한 절차 개시 발표는 크리스티 놈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의 아르헨티나 방문에 맞춰 이뤄졌습니다.

놈 장관의 밀레이 대통령 예방에 맞춰 미 국토안보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밀레이 대통령 집권 하의 아르헨티나 정부는 미국의 돈독한 친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아르헨티나는 현재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낮은 비자 만료 후 체류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올해 첫 4개월 동안 미국 방문자 수 증가율(25%)은 상위 20개 국가 중 최고"라고 강조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트럼프'라는 별칭을 가진 극우 성향의 밀레이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쌍둥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AP통신은 "트럼프 재선 후 세계 정상 중 처음으로 마러라고를 방문했을 때 밀레이 대통령은 흥분한 학생처럼 뛰어다녔다"고 평가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전 세계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 전쟁에서도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관세율(10%)을 통보받은 것에 대해서도 과시하고 있습니다.

마누엘 아도르니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대변인은 유튜브로 생중계된 최근 기자회견에서 현지 취재진의 관련 질의에 "우리는 미국 정책이 자유무역에 대한 근본적 공격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믿으며, 외려 정반대라고 본다"며, 10% 관세율을 "우대 조처"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르헨티나, 미국의 10% 상호관세·무비자 추진에 “대미 밀착외교 성과”
    • 입력 2025-07-29 05:50:13
    • 수정2025-07-29 05:51:19
    국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브로맨스'를 과시하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미국의 가장 낮은 상호관세율 부과와 무비자 여행 재개 추진 등을 외교 성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실은 현지시각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우리 정부는 관광·상용 목적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국민에 대해 무비자 혜택을 적용하는 미국의 비자면제프로그램(VWP) 관련 협정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미국과) 이를 위한 예비 절차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나 칠레 등과 마찬가지로 전자여행허가제(ESTA)를 통해 최대 90일간 미국을 무비자로 방문할 수 있게 되는 이 프로그램 적용은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아르헨티나 대통령실은 덧붙였습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실은 무비자 입국 협정 체결을 위한 첫 단추를 끼울 수 있게 된 게 "양국 정상 간 돈독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두드러진 인연" 덕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관련 협정을 위한 절차 개시 발표는 크리스티 놈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의 아르헨티나 방문에 맞춰 이뤄졌습니다.

놈 장관의 밀레이 대통령 예방에 맞춰 미 국토안보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밀레이 대통령 집권 하의 아르헨티나 정부는 미국의 돈독한 친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아르헨티나는 현재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낮은 비자 만료 후 체류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올해 첫 4개월 동안 미국 방문자 수 증가율(25%)은 상위 20개 국가 중 최고"라고 강조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트럼프'라는 별칭을 가진 극우 성향의 밀레이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쌍둥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AP통신은 "트럼프 재선 후 세계 정상 중 처음으로 마러라고를 방문했을 때 밀레이 대통령은 흥분한 학생처럼 뛰어다녔다"고 평가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전 세계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 전쟁에서도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관세율(10%)을 통보받은 것에 대해서도 과시하고 있습니다.

마누엘 아도르니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대변인은 유튜브로 생중계된 최근 기자회견에서 현지 취재진의 관련 질의에 "우리는 미국 정책이 자유무역에 대한 근본적 공격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믿으며, 외려 정반대라고 본다"며, 10% 관세율을 "우대 조처"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