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벌적 과징금 ‘0건’…무늬만 패가망신법
입력 2025.07.30 (23:33)
수정 2025.07.30 (23: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가조작, 패가망신'.
다소 자극적인 이 표현을 정부가 부쩍 밀고 있습니다.
주가조작을 엄벌해야 주가도 더 오를 거란 겁니다.
이 일을 맡을 합동대응단이 오늘(30일) 출범했습니다.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탐지부터 고발까지 세 기관이 따로 처리하던 걸 하나로 간소화하겠다는 겁니다.
추석 전에 1호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방향도, 의지도, 반길 일이긴 하지만, 조직 하나 새로 만든다고 주가조작 패가망신이 쉽게 가능할까요.
여전히 빈틈이 적지 않은데요.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당이득 혐의 약 7천3백억 원 지금까지도 역대 최대 주가조작인 '라덕연 사태' 이후, 징벌적 과징금이 도입됩니다.
[박대출/당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2023년 5월 : "부당이득의 최고 2배를 환수하는 과징금 체제를 신설하는 내용의…."]
주가조작으로 1억을 벌면 2억을 토해내도록 강제하겠단 뜻으로, '주가조작 패가망신법'으로 불렸습니다.
이 패가망신법, 실효성이 있을까요.
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부터 이달까지 1년 7개월 동안, 증권선물위원회가 제재한 354건 중 과징금 부과는 0건.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잘 벼린 칼을 칼집에만 넣어둔 격입니다.
최근 KBS가 연속 보도한 기자 선행매매 혐의도 그중 하나입니다.
미리 주식을 사고 호재를 보도해 주가를 띄운 뒤 주식을 팔아 거액을 챙긴 수법.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기자와 가족 등 15명을 고발하면서도 과징금은 생략했습니다.
[박주근/리더스인덱스 대표 : "과징금은 형사법과 별개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빨리 오픈(공개)할 수 있고 2차·3차적인 자본시장에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금융위는 검찰과 '협의'가 돼야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했고, 검찰은 기소 여부를 정하기 전의 과징금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기업의 각종 불공정 행위에 과징금 4,227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모두 기소 전에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황종원/영상편집:여동용
'주가조작, 패가망신'.
다소 자극적인 이 표현을 정부가 부쩍 밀고 있습니다.
주가조작을 엄벌해야 주가도 더 오를 거란 겁니다.
이 일을 맡을 합동대응단이 오늘(30일) 출범했습니다.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탐지부터 고발까지 세 기관이 따로 처리하던 걸 하나로 간소화하겠다는 겁니다.
추석 전에 1호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방향도, 의지도, 반길 일이긴 하지만, 조직 하나 새로 만든다고 주가조작 패가망신이 쉽게 가능할까요.
여전히 빈틈이 적지 않은데요.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당이득 혐의 약 7천3백억 원 지금까지도 역대 최대 주가조작인 '라덕연 사태' 이후, 징벌적 과징금이 도입됩니다.
[박대출/당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2023년 5월 : "부당이득의 최고 2배를 환수하는 과징금 체제를 신설하는 내용의…."]
주가조작으로 1억을 벌면 2억을 토해내도록 강제하겠단 뜻으로, '주가조작 패가망신법'으로 불렸습니다.
이 패가망신법, 실효성이 있을까요.
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부터 이달까지 1년 7개월 동안, 증권선물위원회가 제재한 354건 중 과징금 부과는 0건.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잘 벼린 칼을 칼집에만 넣어둔 격입니다.
최근 KBS가 연속 보도한 기자 선행매매 혐의도 그중 하나입니다.
미리 주식을 사고 호재를 보도해 주가를 띄운 뒤 주식을 팔아 거액을 챙긴 수법.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기자와 가족 등 15명을 고발하면서도 과징금은 생략했습니다.
[박주근/리더스인덱스 대표 : "과징금은 형사법과 별개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빨리 오픈(공개)할 수 있고 2차·3차적인 자본시장에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금융위는 검찰과 '협의'가 돼야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했고, 검찰은 기소 여부를 정하기 전의 과징금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기업의 각종 불공정 행위에 과징금 4,227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모두 기소 전에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황종원/영상편집:여동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징벌적 과징금 ‘0건’…무늬만 패가망신법
-
- 입력 2025-07-30 23:33:50
- 수정2025-07-30 23:41:31

[앵커]
'주가조작, 패가망신'.
다소 자극적인 이 표현을 정부가 부쩍 밀고 있습니다.
주가조작을 엄벌해야 주가도 더 오를 거란 겁니다.
이 일을 맡을 합동대응단이 오늘(30일) 출범했습니다.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탐지부터 고발까지 세 기관이 따로 처리하던 걸 하나로 간소화하겠다는 겁니다.
추석 전에 1호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방향도, 의지도, 반길 일이긴 하지만, 조직 하나 새로 만든다고 주가조작 패가망신이 쉽게 가능할까요.
여전히 빈틈이 적지 않은데요.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당이득 혐의 약 7천3백억 원 지금까지도 역대 최대 주가조작인 '라덕연 사태' 이후, 징벌적 과징금이 도입됩니다.
[박대출/당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2023년 5월 : "부당이득의 최고 2배를 환수하는 과징금 체제를 신설하는 내용의…."]
주가조작으로 1억을 벌면 2억을 토해내도록 강제하겠단 뜻으로, '주가조작 패가망신법'으로 불렸습니다.
이 패가망신법, 실효성이 있을까요.
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부터 이달까지 1년 7개월 동안, 증권선물위원회가 제재한 354건 중 과징금 부과는 0건.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잘 벼린 칼을 칼집에만 넣어둔 격입니다.
최근 KBS가 연속 보도한 기자 선행매매 혐의도 그중 하나입니다.
미리 주식을 사고 호재를 보도해 주가를 띄운 뒤 주식을 팔아 거액을 챙긴 수법.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기자와 가족 등 15명을 고발하면서도 과징금은 생략했습니다.
[박주근/리더스인덱스 대표 : "과징금은 형사법과 별개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빨리 오픈(공개)할 수 있고 2차·3차적인 자본시장에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금융위는 검찰과 '협의'가 돼야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했고, 검찰은 기소 여부를 정하기 전의 과징금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기업의 각종 불공정 행위에 과징금 4,227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모두 기소 전에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황종원/영상편집:여동용
'주가조작, 패가망신'.
다소 자극적인 이 표현을 정부가 부쩍 밀고 있습니다.
주가조작을 엄벌해야 주가도 더 오를 거란 겁니다.
이 일을 맡을 합동대응단이 오늘(30일) 출범했습니다.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탐지부터 고발까지 세 기관이 따로 처리하던 걸 하나로 간소화하겠다는 겁니다.
추석 전에 1호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방향도, 의지도, 반길 일이긴 하지만, 조직 하나 새로 만든다고 주가조작 패가망신이 쉽게 가능할까요.
여전히 빈틈이 적지 않은데요.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당이득 혐의 약 7천3백억 원 지금까지도 역대 최대 주가조작인 '라덕연 사태' 이후, 징벌적 과징금이 도입됩니다.
[박대출/당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2023년 5월 : "부당이득의 최고 2배를 환수하는 과징금 체제를 신설하는 내용의…."]
주가조작으로 1억을 벌면 2억을 토해내도록 강제하겠단 뜻으로, '주가조작 패가망신법'으로 불렸습니다.
이 패가망신법, 실효성이 있을까요.
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부터 이달까지 1년 7개월 동안, 증권선물위원회가 제재한 354건 중 과징금 부과는 0건.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잘 벼린 칼을 칼집에만 넣어둔 격입니다.
최근 KBS가 연속 보도한 기자 선행매매 혐의도 그중 하나입니다.
미리 주식을 사고 호재를 보도해 주가를 띄운 뒤 주식을 팔아 거액을 챙긴 수법.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기자와 가족 등 15명을 고발하면서도 과징금은 생략했습니다.
[박주근/리더스인덱스 대표 : "과징금은 형사법과 별개이기 때문에 그 내용을 빨리 오픈(공개)할 수 있고 2차·3차적인 자본시장에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금융위는 검찰과 '협의'가 돼야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고 했고, 검찰은 기소 여부를 정하기 전의 과징금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기업의 각종 불공정 행위에 과징금 4,227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모두 기소 전에 부과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황종원/영상편집:여동용
-
-
황현규 기자 help@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