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안도’, 쌀·소고기는 “개방 안 해”
입력 2025.07.31 (12:07)
수정 2025.07.31 (13: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품목별로는 어떤 영향을 받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15%까지 관세율이 내려간 자동차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민감했던 농축산물은 쌀과 소고기는 추가개방하지 않는데 합의했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간 대미 수출에 25% 관세율을 적용받아왔던 자동차.
이번 협상으로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며, 일본, 유럽연합과 관세율이 같아졌습니다.
한국으로선 관세율이 경쟁국들보다 높을 경우 입게 될 막대한 피해에 대한 우려를 일단 덜게 됐습니다.
다만 트럼프 정부 이전 일본과 유럽연합산 자동차 관세가 2.5%, 우리는 FTA로 무관세였던 걸 감안하면, 아쉬운 부분이라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아쉬운 부분입니다. 15%인데 저희가 최선을 다해서 12.5를 주장했으나 그건 거기까지는..."]
미국의 개방 압력이 거셌던 농산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쌀과 소고기는 추가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우리 정부가 협상의 카드로 내밀었던 조선업은 한미 협력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미국에 투자를 약속하며 조성하기로 한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이 가운데 1500억 달러가 조선업에 투입됩니다.
한국과 미국이 상호 이득을 볼 수 있는 분야로 꼽히는데,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등 조선업 전반에 대한 협력이 포괄적으로 이뤄질 거라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기로 한 액화천연가스, LNG의 경우 우리가 통상적으로 수입하는 규모라 추가로 없는 수요를 만들 일은 없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품목별로는 어떤 영향을 받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15%까지 관세율이 내려간 자동차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민감했던 농축산물은 쌀과 소고기는 추가개방하지 않는데 합의했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간 대미 수출에 25% 관세율을 적용받아왔던 자동차.
이번 협상으로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며, 일본, 유럽연합과 관세율이 같아졌습니다.
한국으로선 관세율이 경쟁국들보다 높을 경우 입게 될 막대한 피해에 대한 우려를 일단 덜게 됐습니다.
다만 트럼프 정부 이전 일본과 유럽연합산 자동차 관세가 2.5%, 우리는 FTA로 무관세였던 걸 감안하면, 아쉬운 부분이라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아쉬운 부분입니다. 15%인데 저희가 최선을 다해서 12.5를 주장했으나 그건 거기까지는..."]
미국의 개방 압력이 거셌던 농산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쌀과 소고기는 추가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우리 정부가 협상의 카드로 내밀었던 조선업은 한미 협력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미국에 투자를 약속하며 조성하기로 한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이 가운데 1500억 달러가 조선업에 투입됩니다.
한국과 미국이 상호 이득을 볼 수 있는 분야로 꼽히는데,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등 조선업 전반에 대한 협력이 포괄적으로 이뤄질 거라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기로 한 액화천연가스, LNG의 경우 우리가 통상적으로 수입하는 규모라 추가로 없는 수요를 만들 일은 없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동차는 ‘안도’, 쌀·소고기는 “개방 안 해”
-
- 입력 2025-07-31 12:07:14
- 수정2025-07-31 13:04:15

[앵커]
품목별로는 어떤 영향을 받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15%까지 관세율이 내려간 자동차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민감했던 농축산물은 쌀과 소고기는 추가개방하지 않는데 합의했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간 대미 수출에 25% 관세율을 적용받아왔던 자동차.
이번 협상으로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며, 일본, 유럽연합과 관세율이 같아졌습니다.
한국으로선 관세율이 경쟁국들보다 높을 경우 입게 될 막대한 피해에 대한 우려를 일단 덜게 됐습니다.
다만 트럼프 정부 이전 일본과 유럽연합산 자동차 관세가 2.5%, 우리는 FTA로 무관세였던 걸 감안하면, 아쉬운 부분이라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아쉬운 부분입니다. 15%인데 저희가 최선을 다해서 12.5를 주장했으나 그건 거기까지는..."]
미국의 개방 압력이 거셌던 농산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쌀과 소고기는 추가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우리 정부가 협상의 카드로 내밀었던 조선업은 한미 협력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미국에 투자를 약속하며 조성하기로 한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이 가운데 1500억 달러가 조선업에 투입됩니다.
한국과 미국이 상호 이득을 볼 수 있는 분야로 꼽히는데,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등 조선업 전반에 대한 협력이 포괄적으로 이뤄질 거라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기로 한 액화천연가스, LNG의 경우 우리가 통상적으로 수입하는 규모라 추가로 없는 수요를 만들 일은 없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품목별로는 어떤 영향을 받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15%까지 관세율이 내려간 자동차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민감했던 농축산물은 쌀과 소고기는 추가개방하지 않는데 합의했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간 대미 수출에 25% 관세율을 적용받아왔던 자동차.
이번 협상으로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며, 일본, 유럽연합과 관세율이 같아졌습니다.
한국으로선 관세율이 경쟁국들보다 높을 경우 입게 될 막대한 피해에 대한 우려를 일단 덜게 됐습니다.
다만 트럼프 정부 이전 일본과 유럽연합산 자동차 관세가 2.5%, 우리는 FTA로 무관세였던 걸 감안하면, 아쉬운 부분이라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아쉬운 부분입니다. 15%인데 저희가 최선을 다해서 12.5를 주장했으나 그건 거기까지는..."]
미국의 개방 압력이 거셌던 농산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쌀과 소고기는 추가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
우리 정부가 협상의 카드로 내밀었던 조선업은 한미 협력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미국에 투자를 약속하며 조성하기로 한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이 가운데 1500억 달러가 조선업에 투입됩니다.
한국과 미국이 상호 이득을 볼 수 있는 분야로 꼽히는데, 선박 건조와 유지, 보수, 정비 등 조선업 전반에 대한 협력이 포괄적으로 이뤄질 거라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기로 한 액화천연가스, LNG의 경우 우리가 통상적으로 수입하는 규모라 추가로 없는 수요를 만들 일은 없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