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호관세 ‘협상왕’ 어디?…희비 갈린 아시아 국가들 [지금뉴스]

입력 2025.08.01 (15: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오늘 새로 조정한 상호관세율을 공개하면서 아시아 국가 간에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19%로 결정된 태국, 캄보디아, 파키스탄 등은 합의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25% 관세를 부과받게 된 인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오늘 미 백악관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태국, 캄보디아,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등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 먼저 미국과 합의한 다른 동남아 국가와 같은 19% 상호관세율을 부과받았습니다.

베트남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타이완 등의 상호관세율은 20%였습니다.

19%인 태국 정부는 미국과의 이번 협상을 큰 성과라고 평가하며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애초 상호관세율 49%에서 36%로, 막바지에 다시 19%로 대폭 낮춘 캄보디아도 최종 결과에 대해 "좋은 소식"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히며 만족해 하는 분위기입니다.

최근 미국과 대규모 석유를 함께 개발하기로 합의한 파키스탄도 애초 29%에서 19%로 상호관세율을 대폭 낮췄다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반면 미국과 5차례 협상을 하고도 지난 4월 2일 발표된 상호관세율 26%에서 1% 포인트밖에 낮추지 못한 인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습니다.

인도국민회의(INC) 등 인도 야당은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실패라며 외교 정책이 전반적으로 무너졌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무역 거래를 강하게 비판하며 상호관세 25%뿐만 아니라 별도 제재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 대국인 타이완은, 미국과 막판 협의가 타결되지 않아 일단 상호관세 20%를 부과받았지만, 최종 합의를 하면 관세가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상호관세 ‘협상왕’ 어디?…희비 갈린 아시아 국가들 [지금뉴스]
    • 입력 2025-08-01 15:29:34
    영상K
미국이 오늘 새로 조정한 상호관세율을 공개하면서 아시아 국가 간에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19%로 결정된 태국, 캄보디아, 파키스탄 등은 합의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25% 관세를 부과받게 된 인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오늘 미 백악관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태국, 캄보디아,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등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 먼저 미국과 합의한 다른 동남아 국가와 같은 19% 상호관세율을 부과받았습니다.

베트남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타이완 등의 상호관세율은 20%였습니다.

19%인 태국 정부는 미국과의 이번 협상을 큰 성과라고 평가하며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애초 상호관세율 49%에서 36%로, 막바지에 다시 19%로 대폭 낮춘 캄보디아도 최종 결과에 대해 "좋은 소식"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히며 만족해 하는 분위기입니다.

최근 미국과 대규모 석유를 함께 개발하기로 합의한 파키스탄도 애초 29%에서 19%로 상호관세율을 대폭 낮췄다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반면 미국과 5차례 협상을 하고도 지난 4월 2일 발표된 상호관세율 26%에서 1% 포인트밖에 낮추지 못한 인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습니다.

인도국민회의(INC) 등 인도 야당은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실패라며 외교 정책이 전반적으로 무너졌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무역 거래를 강하게 비판하며 상호관세 25%뿐만 아니라 별도 제재도 예고했습니다.

반도체 대국인 타이완은, 미국과 막판 협의가 타결되지 않아 일단 상호관세 20%를 부과받았지만, 최종 합의를 하면 관세가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