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 100명 돌파…‘작업 중지 카드’ 등장
입력 2025.08.01 (21:42)
수정 2025.08.01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극한 폭염 속 올해 부산의 온열질환자가 100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빠른 기록입니다.
특히 야외 작업장에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많았는데요,
이렇다 보니 작업자가 스스로 작업을 멈추는, '작업 중지 카드'도 등장했습니다.
서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작업자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공원 바닥을 정비합니다.
공원 관리자가 얼음물과 함께 'SOS 카드' 안내문을 내밉니다.
["힘들다고 생각될 때는 주저하지 마시고 작업 중지 요청하시고."]
폭염 때 작업자들이 스스로 안전을 챙길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작업자들이 받는 현장 근로자 SOS 카드입니다.
카드에는 야외 작업을 할 때 지켜야 할 안전 수칙들이 적혀있습니다.
긴급 상황에 대비해 본사 직통 전화도 안내합니다.
[심기민/부산시설공단 안전환경팀장 : "폭염 관련 제도가 법제화됐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이렇게 카드를 제작했고."]
작업자들은 만족감을 드러냅니다.
[허진우/야외 근로자 : "처음에는 얼떨떨하다가도 이런 제도를 시행하는 게 근무자들이 현장에서 근무할 때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는 느낌을…."]
올여름 부산의 온열질환자는 지금까지 102명이 발생했습니다.
100명 돌파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더 빠릅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을 분석해 보면,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83.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이 전체의 35.3%에 달했으며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 비율이 43.1%로 가장 높았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올여름 폭염.
무더위 절정기인 8월 초중순, 온열질환 관리에 최대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
극한 폭염 속 올해 부산의 온열질환자가 100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빠른 기록입니다.
특히 야외 작업장에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많았는데요,
이렇다 보니 작업자가 스스로 작업을 멈추는, '작업 중지 카드'도 등장했습니다.
서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작업자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공원 바닥을 정비합니다.
공원 관리자가 얼음물과 함께 'SOS 카드' 안내문을 내밉니다.
["힘들다고 생각될 때는 주저하지 마시고 작업 중지 요청하시고."]
폭염 때 작업자들이 스스로 안전을 챙길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작업자들이 받는 현장 근로자 SOS 카드입니다.
카드에는 야외 작업을 할 때 지켜야 할 안전 수칙들이 적혀있습니다.
긴급 상황에 대비해 본사 직통 전화도 안내합니다.
[심기민/부산시설공단 안전환경팀장 : "폭염 관련 제도가 법제화됐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이렇게 카드를 제작했고."]
작업자들은 만족감을 드러냅니다.
[허진우/야외 근로자 : "처음에는 얼떨떨하다가도 이런 제도를 시행하는 게 근무자들이 현장에서 근무할 때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는 느낌을…."]
올여름 부산의 온열질환자는 지금까지 102명이 발생했습니다.
100명 돌파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더 빠릅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을 분석해 보면,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83.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이 전체의 35.3%에 달했으며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 비율이 43.1%로 가장 높았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올여름 폭염.
무더위 절정기인 8월 초중순, 온열질환 관리에 최대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온열질환 100명 돌파…‘작업 중지 카드’ 등장
-
- 입력 2025-08-01 21:42:18
- 수정2025-08-01 21:48:49

[앵커]
극한 폭염 속 올해 부산의 온열질환자가 100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빠른 기록입니다.
특히 야외 작업장에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많았는데요,
이렇다 보니 작업자가 스스로 작업을 멈추는, '작업 중지 카드'도 등장했습니다.
서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작업자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공원 바닥을 정비합니다.
공원 관리자가 얼음물과 함께 'SOS 카드' 안내문을 내밉니다.
["힘들다고 생각될 때는 주저하지 마시고 작업 중지 요청하시고."]
폭염 때 작업자들이 스스로 안전을 챙길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작업자들이 받는 현장 근로자 SOS 카드입니다.
카드에는 야외 작업을 할 때 지켜야 할 안전 수칙들이 적혀있습니다.
긴급 상황에 대비해 본사 직통 전화도 안내합니다.
[심기민/부산시설공단 안전환경팀장 : "폭염 관련 제도가 법제화됐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이렇게 카드를 제작했고."]
작업자들은 만족감을 드러냅니다.
[허진우/야외 근로자 : "처음에는 얼떨떨하다가도 이런 제도를 시행하는 게 근무자들이 현장에서 근무할 때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는 느낌을…."]
올여름 부산의 온열질환자는 지금까지 102명이 발생했습니다.
100명 돌파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더 빠릅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을 분석해 보면,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83.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이 전체의 35.3%에 달했으며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 비율이 43.1%로 가장 높았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올여름 폭염.
무더위 절정기인 8월 초중순, 온열질환 관리에 최대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
극한 폭염 속 올해 부산의 온열질환자가 100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빠른 기록입니다.
특히 야외 작업장에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많았는데요,
이렇다 보니 작업자가 스스로 작업을 멈추는, '작업 중지 카드'도 등장했습니다.
서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작업자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공원 바닥을 정비합니다.
공원 관리자가 얼음물과 함께 'SOS 카드' 안내문을 내밉니다.
["힘들다고 생각될 때는 주저하지 마시고 작업 중지 요청하시고."]
폭염 때 작업자들이 스스로 안전을 챙길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작업자들이 받는 현장 근로자 SOS 카드입니다.
카드에는 야외 작업을 할 때 지켜야 할 안전 수칙들이 적혀있습니다.
긴급 상황에 대비해 본사 직통 전화도 안내합니다.
[심기민/부산시설공단 안전환경팀장 : "폭염 관련 제도가 법제화됐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이렇게 카드를 제작했고."]
작업자들은 만족감을 드러냅니다.
[허진우/야외 근로자 : "처음에는 얼떨떨하다가도 이런 제도를 시행하는 게 근무자들이 현장에서 근무할 때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는 느낌을…."]
올여름 부산의 온열질환자는 지금까지 102명이 발생했습니다.
100명 돌파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20일이나 더 빠릅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을 분석해 보면,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83.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이 전체의 35.3%에 달했으며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 비율이 43.1%로 가장 높았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올여름 폭염.
무더위 절정기인 8월 초중순, 온열질환 관리에 최대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