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폭우에 지쳤는데…“8월도 극한 폭염”

입력 2025.08.04 (08:44) 수정 2025.08.04 (08: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더위에 폭우까지 쏟아져 온열질환과 비 피해를 겪은 울산의 7월은 유독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달도 극한 폭염에다 국지성 호우까지 예고됐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울산은 낮 최고 기온 36도를 넘나드는 폭염에 시달렸습니다.

[이순옥/울산시 중구/지난달 1일 : "아침에 운동하고, 샤워하고, 또 집에 와서 좀 이따가 또 샤워, 오늘 2번하고 나오는 길이다."]

7월 월 평균 최고 기온은 31.5도, 1932년 울산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다섯 번째로 높았습니다.

뜨거운 날씨에 현장 근로자들은 온열질환에 시달렸습니다.

["(땀범벅이 되셨어요.) 그렇죠. 움직이면 저희는 바로…."]

지난달까지 울산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110명이 넘습니다.

역대 최악의 더위로 기록된 2018년의 온열질환자 수를 이미 뛰어넘었습니다.

폭염 뒤 찾아온 건 극한의 호우.

101년 역사의 국가등록문화유산 구 삼호교가 강물을 견디지 못해 내려앉았고, 강한 비가 집중된 울주군은 송수관로가 파손돼 주민들이 단수 고통을 받기도 했습니다.

[단수 피해 주민/지난달 22일 : "일단 여름이니까 샤워를 못 해서 제일 걱정이고, 그다음에 화장실 문제가 제일 걱정입니다."]

지구 기온이 올라 대기 중 수증기가 늘어나며 폭염과 폭우가 극단적으로 오가는 '더블 펀치'를 겪은 겁니다.

이번 달에도 극한 폭염이 예고되어 있습니다.

기상청은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울산의 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가능성이 50%라고 밝혔습니다.

전체적인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난달과 같은 국지성 호우가 내릴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울산시는 폭염 취약 계층을 위한 전담 인력을 투입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염과 폭우에 지쳤는데…“8월도 극한 폭염”
    • 입력 2025-08-04 08:44:07
    • 수정2025-08-04 08:58:58
    뉴스광장(울산)
[앵커]

더위에 폭우까지 쏟아져 온열질환과 비 피해를 겪은 울산의 7월은 유독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달도 극한 폭염에다 국지성 호우까지 예고됐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울산은 낮 최고 기온 36도를 넘나드는 폭염에 시달렸습니다.

[이순옥/울산시 중구/지난달 1일 : "아침에 운동하고, 샤워하고, 또 집에 와서 좀 이따가 또 샤워, 오늘 2번하고 나오는 길이다."]

7월 월 평균 최고 기온은 31.5도, 1932년 울산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다섯 번째로 높았습니다.

뜨거운 날씨에 현장 근로자들은 온열질환에 시달렸습니다.

["(땀범벅이 되셨어요.) 그렇죠. 움직이면 저희는 바로…."]

지난달까지 울산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110명이 넘습니다.

역대 최악의 더위로 기록된 2018년의 온열질환자 수를 이미 뛰어넘었습니다.

폭염 뒤 찾아온 건 극한의 호우.

101년 역사의 국가등록문화유산 구 삼호교가 강물을 견디지 못해 내려앉았고, 강한 비가 집중된 울주군은 송수관로가 파손돼 주민들이 단수 고통을 받기도 했습니다.

[단수 피해 주민/지난달 22일 : "일단 여름이니까 샤워를 못 해서 제일 걱정이고, 그다음에 화장실 문제가 제일 걱정입니다."]

지구 기온이 올라 대기 중 수증기가 늘어나며 폭염과 폭우가 극단적으로 오가는 '더블 펀치'를 겪은 겁니다.

이번 달에도 극한 폭염이 예고되어 있습니다.

기상청은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울산의 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가능성이 50%라고 밝혔습니다.

전체적인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난달과 같은 국지성 호우가 내릴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울산시는 폭염 취약 계층을 위한 전담 인력을 투입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