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길 막은 신안교 홍수방어벽…주민 “민사소송 나설 것”
입력 2025.08.05 (21:44)
수정 2025.08.05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 북구 신안교 일대에 침수 피해를 키웠다는 논란이 제기된 홍수방어벽에 대해 광주시가 개선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인 대책이라며, 완전 철거를 주장하는 한편 법정 공방을 예고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찬 빗줄기가 쏟아지며 물이 차오르면서 순식간에 도로와 인도의 경계가 사라집니다.
1시간도 안 돼 도로가 완전히 침수되고 물 위로 쓰레기가 둥둥 떠다닙니다.
비슷한 시각 신안교 하류 마을.
하천의 수위는 아직 여유가 있는데 마을 쪽 저지대만 성인 허벅지만큼 물이 찼습니다.
지난달 극한 호우 때 침수 피해 원인으로 신안교 일대 홍수방어벽을 지목했던 주민들은 이번에도 홍수방어벽이 문제라며 분통을 터트렸습니다.
2년 전,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설치한 홍수방어벽이 물길을 막아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겁니다.
[문종준/광주시 신안동 : "지금 (복구 작업을) 여기까지 해오고 있는데 엊그저 또 비가 오니까 망연자실해지더라고요."]
지난번보다 적은 비에도 17일 만에 또 침수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시도 뒤늦게 개선 작업에 나섰습니다.
아크릴로 된 투명벽을 일부 철거하고, 방어벽 하단에는 지름 20cm 규모의 배수구 50여 개를 뚫고 있습니다.
광주시 관계자는 신안교 인근 제방이 계획 홍수위보다 1m 정도 낮아 홍수 예방을 위해 설치한 시설이라면서도, 배수장치가 부족했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성인 키만한 홍수 방어벽을 세우며 마련한 배수 장치는 손바닥 높이의 구멍이 전부였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일 뿐이라며, 비가 오면 또 잠길지도 모른다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김두권/광주시 신안동 : "17일에 당하고 그때부터 계속 요청했거든요. 벽을 부숴주라고 하니까 그건 전혀 반영 안 되고 지금 조금조금 이렇게 하는데 분명히 비 200mm와도 잠깁니다. 여기는."]
또 이번 피해가 인재라며 협의체를 꾸려 구청과 시청을 상대로 민사소송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광주 북구 신안교 일대에 침수 피해를 키웠다는 논란이 제기된 홍수방어벽에 대해 광주시가 개선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인 대책이라며, 완전 철거를 주장하는 한편 법정 공방을 예고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찬 빗줄기가 쏟아지며 물이 차오르면서 순식간에 도로와 인도의 경계가 사라집니다.
1시간도 안 돼 도로가 완전히 침수되고 물 위로 쓰레기가 둥둥 떠다닙니다.
비슷한 시각 신안교 하류 마을.
하천의 수위는 아직 여유가 있는데 마을 쪽 저지대만 성인 허벅지만큼 물이 찼습니다.
지난달 극한 호우 때 침수 피해 원인으로 신안교 일대 홍수방어벽을 지목했던 주민들은 이번에도 홍수방어벽이 문제라며 분통을 터트렸습니다.
2년 전,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설치한 홍수방어벽이 물길을 막아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겁니다.
[문종준/광주시 신안동 : "지금 (복구 작업을) 여기까지 해오고 있는데 엊그저 또 비가 오니까 망연자실해지더라고요."]
지난번보다 적은 비에도 17일 만에 또 침수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시도 뒤늦게 개선 작업에 나섰습니다.
아크릴로 된 투명벽을 일부 철거하고, 방어벽 하단에는 지름 20cm 규모의 배수구 50여 개를 뚫고 있습니다.
광주시 관계자는 신안교 인근 제방이 계획 홍수위보다 1m 정도 낮아 홍수 예방을 위해 설치한 시설이라면서도, 배수장치가 부족했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성인 키만한 홍수 방어벽을 세우며 마련한 배수 장치는 손바닥 높이의 구멍이 전부였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일 뿐이라며, 비가 오면 또 잠길지도 모른다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김두권/광주시 신안동 : "17일에 당하고 그때부터 계속 요청했거든요. 벽을 부숴주라고 하니까 그건 전혀 반영 안 되고 지금 조금조금 이렇게 하는데 분명히 비 200mm와도 잠깁니다. 여기는."]
또 이번 피해가 인재라며 협의체를 꾸려 구청과 시청을 상대로 민사소송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길 막은 신안교 홍수방어벽…주민 “민사소송 나설 것”
-
- 입력 2025-08-05 21:44:13
- 수정2025-08-05 21:48:40

[앵커]
광주 북구 신안교 일대에 침수 피해를 키웠다는 논란이 제기된 홍수방어벽에 대해 광주시가 개선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인 대책이라며, 완전 철거를 주장하는 한편 법정 공방을 예고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찬 빗줄기가 쏟아지며 물이 차오르면서 순식간에 도로와 인도의 경계가 사라집니다.
1시간도 안 돼 도로가 완전히 침수되고 물 위로 쓰레기가 둥둥 떠다닙니다.
비슷한 시각 신안교 하류 마을.
하천의 수위는 아직 여유가 있는데 마을 쪽 저지대만 성인 허벅지만큼 물이 찼습니다.
지난달 극한 호우 때 침수 피해 원인으로 신안교 일대 홍수방어벽을 지목했던 주민들은 이번에도 홍수방어벽이 문제라며 분통을 터트렸습니다.
2년 전,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설치한 홍수방어벽이 물길을 막아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겁니다.
[문종준/광주시 신안동 : "지금 (복구 작업을) 여기까지 해오고 있는데 엊그저 또 비가 오니까 망연자실해지더라고요."]
지난번보다 적은 비에도 17일 만에 또 침수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시도 뒤늦게 개선 작업에 나섰습니다.
아크릴로 된 투명벽을 일부 철거하고, 방어벽 하단에는 지름 20cm 규모의 배수구 50여 개를 뚫고 있습니다.
광주시 관계자는 신안교 인근 제방이 계획 홍수위보다 1m 정도 낮아 홍수 예방을 위해 설치한 시설이라면서도, 배수장치가 부족했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성인 키만한 홍수 방어벽을 세우며 마련한 배수 장치는 손바닥 높이의 구멍이 전부였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일 뿐이라며, 비가 오면 또 잠길지도 모른다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김두권/광주시 신안동 : "17일에 당하고 그때부터 계속 요청했거든요. 벽을 부숴주라고 하니까 그건 전혀 반영 안 되고 지금 조금조금 이렇게 하는데 분명히 비 200mm와도 잠깁니다. 여기는."]
또 이번 피해가 인재라며 협의체를 꾸려 구청과 시청을 상대로 민사소송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광주 북구 신안교 일대에 침수 피해를 키웠다는 논란이 제기된 홍수방어벽에 대해 광주시가 개선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인 대책이라며, 완전 철거를 주장하는 한편 법정 공방을 예고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찬 빗줄기가 쏟아지며 물이 차오르면서 순식간에 도로와 인도의 경계가 사라집니다.
1시간도 안 돼 도로가 완전히 침수되고 물 위로 쓰레기가 둥둥 떠다닙니다.
비슷한 시각 신안교 하류 마을.
하천의 수위는 아직 여유가 있는데 마을 쪽 저지대만 성인 허벅지만큼 물이 찼습니다.
지난달 극한 호우 때 침수 피해 원인으로 신안교 일대 홍수방어벽을 지목했던 주민들은 이번에도 홍수방어벽이 문제라며 분통을 터트렸습니다.
2년 전,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설치한 홍수방어벽이 물길을 막아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겁니다.
[문종준/광주시 신안동 : "지금 (복구 작업을) 여기까지 해오고 있는데 엊그저 또 비가 오니까 망연자실해지더라고요."]
지난번보다 적은 비에도 17일 만에 또 침수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시도 뒤늦게 개선 작업에 나섰습니다.
아크릴로 된 투명벽을 일부 철거하고, 방어벽 하단에는 지름 20cm 규모의 배수구 50여 개를 뚫고 있습니다.
광주시 관계자는 신안교 인근 제방이 계획 홍수위보다 1m 정도 낮아 홍수 예방을 위해 설치한 시설이라면서도, 배수장치가 부족했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성인 키만한 홍수 방어벽을 세우며 마련한 배수 장치는 손바닥 높이의 구멍이 전부였습니다.
주민들은 임시방편일 뿐이라며, 비가 오면 또 잠길지도 모른다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김두권/광주시 신안동 : "17일에 당하고 그때부터 계속 요청했거든요. 벽을 부숴주라고 하니까 그건 전혀 반영 안 되고 지금 조금조금 이렇게 하는데 분명히 비 200mm와도 잠깁니다. 여기는."]
또 이번 피해가 인재라며 협의체를 꾸려 구청과 시청을 상대로 민사소송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
손민주 기자 hand@kbs.co.kr
손민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