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6주 만 상승 전환…“관망세 속 상승 거래 체결”
입력 2025.08.07 (14:00)
수정 2025.08.07 (14: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이 6주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이달 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0.14%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전주 0.12% 상승 폭과 비교하면 0.02%P 확대된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6월 넷째 주 0.43%를 기록한 이후 7월 넷째 주까지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지만, 재건축 이슈 단지와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성동구가 0.33% 올랐는데 전주보다 0.11%P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이외 용산구(0.17%→0.22%), 광진구(0.17%→0.24%), 마포구(0.11%→0.14%), 강동구(0.07%→0.14%), 강남구(0.11%→0.15%)도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반면, 서초구(0.21%→0.16%), 송파구(0.41%→0.38%), 동작구(0.11%→0.09%) 등은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경기 역시 0.1% 상승해 전주(0.00%)보다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인천은 0.05% 하락해 전주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0.05% 올라 전주보다 0.01%P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은 이달 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0.14%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전주 0.12% 상승 폭과 비교하면 0.02%P 확대된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6월 넷째 주 0.43%를 기록한 이후 7월 넷째 주까지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지만, 재건축 이슈 단지와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성동구가 0.33% 올랐는데 전주보다 0.11%P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이외 용산구(0.17%→0.22%), 광진구(0.17%→0.24%), 마포구(0.11%→0.14%), 강동구(0.07%→0.14%), 강남구(0.11%→0.15%)도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반면, 서초구(0.21%→0.16%), 송파구(0.41%→0.38%), 동작구(0.11%→0.09%) 등은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경기 역시 0.1% 상승해 전주(0.00%)보다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인천은 0.05% 하락해 전주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0.05% 올라 전주보다 0.01%P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아파트값 6주 만 상승 전환…“관망세 속 상승 거래 체결”
-
- 입력 2025-08-07 14:00:23
- 수정2025-08-07 14:02:22

서울 아파트값이 6주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이달 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0.14%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전주 0.12% 상승 폭과 비교하면 0.02%P 확대된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6월 넷째 주 0.43%를 기록한 이후 7월 넷째 주까지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지만, 재건축 이슈 단지와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성동구가 0.33% 올랐는데 전주보다 0.11%P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이외 용산구(0.17%→0.22%), 광진구(0.17%→0.24%), 마포구(0.11%→0.14%), 강동구(0.07%→0.14%), 강남구(0.11%→0.15%)도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반면, 서초구(0.21%→0.16%), 송파구(0.41%→0.38%), 동작구(0.11%→0.09%) 등은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경기 역시 0.1% 상승해 전주(0.00%)보다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인천은 0.05% 하락해 전주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0.05% 올라 전주보다 0.01%P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은 이달 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0.14%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전주 0.12% 상승 폭과 비교하면 0.02%P 확대된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6월 넷째 주 0.43%를 기록한 이후 7월 넷째 주까지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지만, 재건축 이슈 단지와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성동구가 0.33% 올랐는데 전주보다 0.11%P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이외 용산구(0.17%→0.22%), 광진구(0.17%→0.24%), 마포구(0.11%→0.14%), 강동구(0.07%→0.14%), 강남구(0.11%→0.15%)도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반면, 서초구(0.21%→0.16%), 송파구(0.41%→0.38%), 동작구(0.11%→0.09%) 등은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경기 역시 0.1% 상승해 전주(0.00%)보다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인천은 0.05% 하락해 전주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0.05% 올라 전주보다 0.01%P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