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당 중심 노인 복지 정책에 선결 과제 산적
입력 2025.08.07 (19:25)
수정 2025.08.07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재명 정부가 경로당 주 5일 급식 확대를 결정하면서, 경로당이 노인 복지 정책의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 시행에 앞서 시설 개선과 인력 충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삼척의 한 경로당입니다.
남양동 5개 통 지역의 노인 680여 명을 담당하는 통합 경로당으로, 등록된 회원만 올해 1월 기준 130여 명에 이릅니다.
90여 제곱미터 공간을 나눠 쓰는데 노인 20~30명만 모이면 비좁습니다.
[정명교/경로당 노인회장 : "분리를 안 하려면 이 경로당을 좀 넓혀주시든가 이랬으면 좋겠는데, 사실은 엄청 여기가 좁아요. 엄청 좁으니까 분리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인근의 다른 경로당은 비슷한 공간에 등록 회원 수가 300명에 달해, 경로당 분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점심 급식을 할 때면 여러 번 식사 차례는 나누거나, 다른 넓은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런 사정은 도심의 경로당은 대부분 마찬가집니다.
경로당 주 5일 급식이 시행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집니다.
공간 문제에다 인력 등의 문제가 불거지게 됩니다.
경로당을 찾는 노인이 더 많아지고, 급식 규모도 훨씬 커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농산어촌의 일부 경로당을 제외하곤 감당할 능력이 안 됩니다.
경로당이 240개가 넘는 삼척에서는 주 5일 급식 추진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미리 준비하자는 의견이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김원학/삼척시의회 부의장 : "식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서 어떤 거점으로 식사를 만들어서 배달과 수거를 할 수 있는 사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경로당 주 5일 급식을 내년 하반기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일선 시군이 대책을 마련하기에는 그리 긴 시간이 아니어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이재명 정부가 경로당 주 5일 급식 확대를 결정하면서, 경로당이 노인 복지 정책의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 시행에 앞서 시설 개선과 인력 충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삼척의 한 경로당입니다.
남양동 5개 통 지역의 노인 680여 명을 담당하는 통합 경로당으로, 등록된 회원만 올해 1월 기준 130여 명에 이릅니다.
90여 제곱미터 공간을 나눠 쓰는데 노인 20~30명만 모이면 비좁습니다.
[정명교/경로당 노인회장 : "분리를 안 하려면 이 경로당을 좀 넓혀주시든가 이랬으면 좋겠는데, 사실은 엄청 여기가 좁아요. 엄청 좁으니까 분리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인근의 다른 경로당은 비슷한 공간에 등록 회원 수가 300명에 달해, 경로당 분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점심 급식을 할 때면 여러 번 식사 차례는 나누거나, 다른 넓은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런 사정은 도심의 경로당은 대부분 마찬가집니다.
경로당 주 5일 급식이 시행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집니다.
공간 문제에다 인력 등의 문제가 불거지게 됩니다.
경로당을 찾는 노인이 더 많아지고, 급식 규모도 훨씬 커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농산어촌의 일부 경로당을 제외하곤 감당할 능력이 안 됩니다.
경로당이 240개가 넘는 삼척에서는 주 5일 급식 추진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미리 준비하자는 의견이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김원학/삼척시의회 부의장 : "식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서 어떤 거점으로 식사를 만들어서 배달과 수거를 할 수 있는 사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경로당 주 5일 급식을 내년 하반기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일선 시군이 대책을 마련하기에는 그리 긴 시간이 아니어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로당 중심 노인 복지 정책에 선결 과제 산적
-
- 입력 2025-08-07 19:25:27
- 수정2025-08-07 19:42:48

[앵커]
이재명 정부가 경로당 주 5일 급식 확대를 결정하면서, 경로당이 노인 복지 정책의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 시행에 앞서 시설 개선과 인력 충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삼척의 한 경로당입니다.
남양동 5개 통 지역의 노인 680여 명을 담당하는 통합 경로당으로, 등록된 회원만 올해 1월 기준 130여 명에 이릅니다.
90여 제곱미터 공간을 나눠 쓰는데 노인 20~30명만 모이면 비좁습니다.
[정명교/경로당 노인회장 : "분리를 안 하려면 이 경로당을 좀 넓혀주시든가 이랬으면 좋겠는데, 사실은 엄청 여기가 좁아요. 엄청 좁으니까 분리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인근의 다른 경로당은 비슷한 공간에 등록 회원 수가 300명에 달해, 경로당 분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점심 급식을 할 때면 여러 번 식사 차례는 나누거나, 다른 넓은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런 사정은 도심의 경로당은 대부분 마찬가집니다.
경로당 주 5일 급식이 시행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집니다.
공간 문제에다 인력 등의 문제가 불거지게 됩니다.
경로당을 찾는 노인이 더 많아지고, 급식 규모도 훨씬 커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농산어촌의 일부 경로당을 제외하곤 감당할 능력이 안 됩니다.
경로당이 240개가 넘는 삼척에서는 주 5일 급식 추진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미리 준비하자는 의견이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김원학/삼척시의회 부의장 : "식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서 어떤 거점으로 식사를 만들어서 배달과 수거를 할 수 있는 사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경로당 주 5일 급식을 내년 하반기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일선 시군이 대책을 마련하기에는 그리 긴 시간이 아니어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이재명 정부가 경로당 주 5일 급식 확대를 결정하면서, 경로당이 노인 복지 정책의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 시행에 앞서 시설 개선과 인력 충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삼척의 한 경로당입니다.
남양동 5개 통 지역의 노인 680여 명을 담당하는 통합 경로당으로, 등록된 회원만 올해 1월 기준 130여 명에 이릅니다.
90여 제곱미터 공간을 나눠 쓰는데 노인 20~30명만 모이면 비좁습니다.
[정명교/경로당 노인회장 : "분리를 안 하려면 이 경로당을 좀 넓혀주시든가 이랬으면 좋겠는데, 사실은 엄청 여기가 좁아요. 엄청 좁으니까 분리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인근의 다른 경로당은 비슷한 공간에 등록 회원 수가 300명에 달해, 경로당 분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점심 급식을 할 때면 여러 번 식사 차례는 나누거나, 다른 넓은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런 사정은 도심의 경로당은 대부분 마찬가집니다.
경로당 주 5일 급식이 시행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집니다.
공간 문제에다 인력 등의 문제가 불거지게 됩니다.
경로당을 찾는 노인이 더 많아지고, 급식 규모도 훨씬 커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농산어촌의 일부 경로당을 제외하곤 감당할 능력이 안 됩니다.
경로당이 240개가 넘는 삼척에서는 주 5일 급식 추진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미리 준비하자는 의견이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김원학/삼척시의회 부의장 : "식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서 어떤 거점으로 식사를 만들어서 배달과 수거를 할 수 있는 사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경로당 주 5일 급식을 내년 하반기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일선 시군이 대책을 마련하기에는 그리 긴 시간이 아니어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
-
정창환 기자 hwan0201@kbs.co.kr
정창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