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 등이 특별사면 대상으로 거론되는 데 대해 “국민께 떳떳하다면 국무회의를 생중계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은 오늘(10일)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2일 국무회의를 열고 사면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정 대변인은 “‘부부 입시비리단’으로 활동한 사실이 법원 판결로 확정돼 진보 진영의 민낯인 ‘내로남불’을 보여준 조국 전 대표 부부는 애초부터 사면 심사 대상에 포함되지 말았어야 한다”면서 “사면권이 대통령에게 부여된 헌법적 권한이라고 해도, 사면은 ‘마음의 빚’이나 ‘정치적 배려’로 결정될 일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대통령실이나 민주당이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을 아무리 ‘국민통합’으로 포장한다고 해도, 국민은 지난 대선 자체 후보를 내지 않아 이 대통령의 당선을 도운 조 전 대표에 대한 ‘보은 사면’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윤미향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한 사면 추진에 대한 국민적 분노는 더 크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전달된 후원금을 빼돌려 호의호식했던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에 허탈해하는 국민의 표정을 이재명 대통령은 직시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윤 전 의원은 ‘대법원판결이 부당하다’며 여전히 죄를 뉘우치지 않고 있고, ‘횡령한 후원금을 돌려주라’는 법원의 화해 권고를 거부하겠다고 해 국민적 공분을 사기도 했다”면서 “과연 이런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 이 대통령이 말하는 관용과 포용, 국민 통합인가”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본인의 결정에 떳떳하다면, 역사에 죄를 짓지 않겠다면, 오는 12일 열리는 국무회의를 생중계하도록 지시하라”면서 “국민은 국무회의에서 누가, 무슨 이유로 두 사람에 대한 사면에 찬성했는지, 이 대통령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달 29일 열린 국무회의도 생중계했으니, 이번에도 못 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은 오늘(10일)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2일 국무회의를 열고 사면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정 대변인은 “‘부부 입시비리단’으로 활동한 사실이 법원 판결로 확정돼 진보 진영의 민낯인 ‘내로남불’을 보여준 조국 전 대표 부부는 애초부터 사면 심사 대상에 포함되지 말았어야 한다”면서 “사면권이 대통령에게 부여된 헌법적 권한이라고 해도, 사면은 ‘마음의 빚’이나 ‘정치적 배려’로 결정될 일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대통령실이나 민주당이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을 아무리 ‘국민통합’으로 포장한다고 해도, 국민은 지난 대선 자체 후보를 내지 않아 이 대통령의 당선을 도운 조 전 대표에 대한 ‘보은 사면’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윤미향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한 사면 추진에 대한 국민적 분노는 더 크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전달된 후원금을 빼돌려 호의호식했던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에 허탈해하는 국민의 표정을 이재명 대통령은 직시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윤 전 의원은 ‘대법원판결이 부당하다’며 여전히 죄를 뉘우치지 않고 있고, ‘횡령한 후원금을 돌려주라’는 법원의 화해 권고를 거부하겠다고 해 국민적 공분을 사기도 했다”면서 “과연 이런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 이 대통령이 말하는 관용과 포용, 국민 통합인가”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본인의 결정에 떳떳하다면, 역사에 죄를 짓지 않겠다면, 오는 12일 열리는 국무회의를 생중계하도록 지시하라”면서 “국민은 국무회의에서 누가, 무슨 이유로 두 사람에 대한 사면에 찬성했는지, 이 대통령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달 29일 열린 국무회의도 생중계했으니, 이번에도 못 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의힘 “조국·윤미향 사면, 떳떳하면 국무회의 생중계하라”
-
- 입력 2025-08-10 15:08:43

국민의힘은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 등이 특별사면 대상으로 거론되는 데 대해 “국민께 떳떳하다면 국무회의를 생중계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은 오늘(10일)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2일 국무회의를 열고 사면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정 대변인은 “‘부부 입시비리단’으로 활동한 사실이 법원 판결로 확정돼 진보 진영의 민낯인 ‘내로남불’을 보여준 조국 전 대표 부부는 애초부터 사면 심사 대상에 포함되지 말았어야 한다”면서 “사면권이 대통령에게 부여된 헌법적 권한이라고 해도, 사면은 ‘마음의 빚’이나 ‘정치적 배려’로 결정될 일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대통령실이나 민주당이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을 아무리 ‘국민통합’으로 포장한다고 해도, 국민은 지난 대선 자체 후보를 내지 않아 이 대통령의 당선을 도운 조 전 대표에 대한 ‘보은 사면’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윤미향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한 사면 추진에 대한 국민적 분노는 더 크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전달된 후원금을 빼돌려 호의호식했던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에 허탈해하는 국민의 표정을 이재명 대통령은 직시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윤 전 의원은 ‘대법원판결이 부당하다’며 여전히 죄를 뉘우치지 않고 있고, ‘횡령한 후원금을 돌려주라’는 법원의 화해 권고를 거부하겠다고 해 국민적 공분을 사기도 했다”면서 “과연 이런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 이 대통령이 말하는 관용과 포용, 국민 통합인가”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본인의 결정에 떳떳하다면, 역사에 죄를 짓지 않겠다면, 오는 12일 열리는 국무회의를 생중계하도록 지시하라”면서 “국민은 국무회의에서 누가, 무슨 이유로 두 사람에 대한 사면에 찬성했는지, 이 대통령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달 29일 열린 국무회의도 생중계했으니, 이번에도 못 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은 오늘(10일)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2일 국무회의를 열고 사면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정 대변인은 “‘부부 입시비리단’으로 활동한 사실이 법원 판결로 확정돼 진보 진영의 민낯인 ‘내로남불’을 보여준 조국 전 대표 부부는 애초부터 사면 심사 대상에 포함되지 말았어야 한다”면서 “사면권이 대통령에게 부여된 헌법적 권한이라고 해도, 사면은 ‘마음의 빚’이나 ‘정치적 배려’로 결정될 일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대통령실이나 민주당이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을 아무리 ‘국민통합’으로 포장한다고 해도, 국민은 지난 대선 자체 후보를 내지 않아 이 대통령의 당선을 도운 조 전 대표에 대한 ‘보은 사면’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윤미향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한 사면 추진에 대한 국민적 분노는 더 크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전달된 후원금을 빼돌려 호의호식했던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에 허탈해하는 국민의 표정을 이재명 대통령은 직시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윤 전 의원은 ‘대법원판결이 부당하다’며 여전히 죄를 뉘우치지 않고 있고, ‘횡령한 후원금을 돌려주라’는 법원의 화해 권고를 거부하겠다고 해 국민적 공분을 사기도 했다”면서 “과연 이런 사람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 이 대통령이 말하는 관용과 포용, 국민 통합인가”라고 꼬집었습니다.
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본인의 결정에 떳떳하다면, 역사에 죄를 짓지 않겠다면, 오는 12일 열리는 국무회의를 생중계하도록 지시하라”면서 “국민은 국무회의에서 누가, 무슨 이유로 두 사람에 대한 사면에 찬성했는지, 이 대통령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달 29일 열린 국무회의도 생중계했으니, 이번에도 못 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박영민 기자 youngmin@kbs.co.kr
박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