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오름세가 이어지자, 정부가 처음으로 정부 양곡을 민간에 빌려주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중에 벼가 부족해 쌀값이 오르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달 말까지 산지 유통업체에 정부양곡(벼)을 빌려주고 올해 수확한 신곡으로 돌려받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공급 물량은 도정한 쌀(정곡)을 기준으로 3만 톤입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해왔던 공매와는 달리 정부가 보유한 24년산 구곡을 빌려주고 25년산 신곡으로 돌려받는 방식을 처음으로 시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을 수확기 전에 시중에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3만 톤을 빌려준 뒤, 산지유통업체들이 올해 수확한 벼로 갚도록 하면, 25년산 쌀 3만 톤을 당겨서 소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수확기 쌀 수급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정부양곡 공급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정곡 기준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입니다.
대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14일까지 농협경제지주 웹사이트 공지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해 대여 물량을 배정할 계획이며, 물량을 배정받은 업체는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 29일까지 물량을 인수하면 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공급하는 정부양곡은 벼로 재판매할 수 없고, 다음달(9월) 말까지 쌀로 판매해야 합니다.
농식품부는 판매 완료 여부에 대한 감독과 함께 신곡과 구곡을 섞어서 유통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양곡을 빌린 업체는 25년산 신곡을 내년 3월까지 정부 창고로 반납해야 합니다.
반납 물량은 올해 7월 평균 산지쌀값과 수확기 쌀값, 도정수율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중에 벼가 부족해 쌀값이 오르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달 말까지 산지 유통업체에 정부양곡(벼)을 빌려주고 올해 수확한 신곡으로 돌려받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공급 물량은 도정한 쌀(정곡)을 기준으로 3만 톤입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해왔던 공매와는 달리 정부가 보유한 24년산 구곡을 빌려주고 25년산 신곡으로 돌려받는 방식을 처음으로 시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을 수확기 전에 시중에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3만 톤을 빌려준 뒤, 산지유통업체들이 올해 수확한 벼로 갚도록 하면, 25년산 쌀 3만 톤을 당겨서 소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수확기 쌀 수급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정부양곡 공급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정곡 기준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입니다.
대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14일까지 농협경제지주 웹사이트 공지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해 대여 물량을 배정할 계획이며, 물량을 배정받은 업체는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 29일까지 물량을 인수하면 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공급하는 정부양곡은 벼로 재판매할 수 없고, 다음달(9월) 말까지 쌀로 판매해야 합니다.
농식품부는 판매 완료 여부에 대한 감독과 함께 신곡과 구곡을 섞어서 유통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양곡을 빌린 업체는 25년산 신곡을 내년 3월까지 정부 창고로 반납해야 합니다.
반납 물량은 올해 7월 평균 산지쌀값과 수확기 쌀값, 도정수율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쌀값 오름세에 사상 첫 “정부 양곡 대여” 3만 톤 공급
-
- 입력 2025-08-11 06:00:36
쌀값 오름세가 이어지자, 정부가 처음으로 정부 양곡을 민간에 빌려주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중에 벼가 부족해 쌀값이 오르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달 말까지 산지 유통업체에 정부양곡(벼)을 빌려주고 올해 수확한 신곡으로 돌려받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공급 물량은 도정한 쌀(정곡)을 기준으로 3만 톤입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해왔던 공매와는 달리 정부가 보유한 24년산 구곡을 빌려주고 25년산 신곡으로 돌려받는 방식을 처음으로 시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을 수확기 전에 시중에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3만 톤을 빌려준 뒤, 산지유통업체들이 올해 수확한 벼로 갚도록 하면, 25년산 쌀 3만 톤을 당겨서 소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수확기 쌀 수급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정부양곡 공급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정곡 기준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입니다.
대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14일까지 농협경제지주 웹사이트 공지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해 대여 물량을 배정할 계획이며, 물량을 배정받은 업체는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 29일까지 물량을 인수하면 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공급하는 정부양곡은 벼로 재판매할 수 없고, 다음달(9월) 말까지 쌀로 판매해야 합니다.
농식품부는 판매 완료 여부에 대한 감독과 함께 신곡과 구곡을 섞어서 유통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양곡을 빌린 업체는 25년산 신곡을 내년 3월까지 정부 창고로 반납해야 합니다.
반납 물량은 올해 7월 평균 산지쌀값과 수확기 쌀값, 도정수율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중에 벼가 부족해 쌀값이 오르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달 말까지 산지 유통업체에 정부양곡(벼)을 빌려주고 올해 수확한 신곡으로 돌려받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공급 물량은 도정한 쌀(정곡)을 기준으로 3만 톤입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해왔던 공매와는 달리 정부가 보유한 24년산 구곡을 빌려주고 25년산 신곡으로 돌려받는 방식을 처음으로 시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을 수확기 전에 시중에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3만 톤을 빌려준 뒤, 산지유통업체들이 올해 수확한 벼로 갚도록 하면, 25년산 쌀 3만 톤을 당겨서 소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수확기 쌀 수급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정부양곡 공급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정곡 기준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입니다.
대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14일까지 농협경제지주 웹사이트 공지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해 대여 물량을 배정할 계획이며, 물량을 배정받은 업체는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 29일까지 물량을 인수하면 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공급하는 정부양곡은 벼로 재판매할 수 없고, 다음달(9월) 말까지 쌀로 판매해야 합니다.
농식품부는 판매 완료 여부에 대한 감독과 함께 신곡과 구곡을 섞어서 유통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양곡을 빌린 업체는 25년산 신곡을 내년 3월까지 정부 창고로 반납해야 합니다.
반납 물량은 올해 7월 평균 산지쌀값과 수확기 쌀값, 도정수율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
이수연 기자 isuyon@kbs.co.kr
이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