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서 중국 전기차 ‘대약진’…일본 차 점유율 ‘뚝’

입력 2025.08.11 (17:08) 수정 2025.08.11 (17: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전기차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선 동남아시아 주요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이 약진하고, 일본 자동차 입지는 좁아지고 있습니다.

11일 스트레이츠타임스 등에 따르면 동남아 1위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3위 시장인 태국에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습니다.

태국에서는 지난해 전체 신차 판매량 57만 3,000대 중 전기차 비중이 10%를 넘어섰습니다.

중국 업체 BYD(비야디)가 태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BYD는 올해 상반기 태국 내 전체 신차 판매량에서도 7.8% 점유율을 기록, 4.5%에 그친 미쓰비시를 제치고 4위에 올랐습니다.

태국 자동차 시장에서는 1960년대에 진출한 일본 브랜드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2010년에는 일본 자동차 점유율이 92.3%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 일본 차 점유율은 80% 아래로 떨어졌고 올해 상반기에는 70.6%까지 내려가 60%대로의 하락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2022년부터 자국에 전기차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업체에 보조금 지급 등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태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해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일본 자동차 점유율이 90% 수준인 인도네시아에서도 BYD와 우링자동차 등 중국 전기차가 시장을 잠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해 중국 전기차 공세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국과 인도네시아 정부의 하이브리드 관련 지원 정책은 제한적이어서 판매 감소 현상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전기차 판매량은 약 4만 3,000대로, 전년 대비 2.5배로 급증했습니다. 다만, 인도네시아 전기차 판매량은 충전 시설 부족 등으로 아직 전체 신차 판매 대수의 5%에 그칩니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동남아 자동차 시장 수성을 위해 전기차 현지 생산과 라인업 확대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도요타는 올해 내에 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도요타는 2027년까지 자체 개발한 전기차 약 15개 차종을 내놓고 전기차 생산 거점도 미국, 태국, 아르헨티나 등 5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남아서 중국 전기차 ‘대약진’…일본 차 점유율 ‘뚝’
    • 입력 2025-08-11 17:08:39
    • 수정2025-08-11 17:13:24
    국제
정부가 전기차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선 동남아시아 주요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이 약진하고, 일본 자동차 입지는 좁아지고 있습니다.

11일 스트레이츠타임스 등에 따르면 동남아 1위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3위 시장인 태국에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습니다.

태국에서는 지난해 전체 신차 판매량 57만 3,000대 중 전기차 비중이 10%를 넘어섰습니다.

중국 업체 BYD(비야디)가 태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BYD는 올해 상반기 태국 내 전체 신차 판매량에서도 7.8% 점유율을 기록, 4.5%에 그친 미쓰비시를 제치고 4위에 올랐습니다.

태국 자동차 시장에서는 1960년대에 진출한 일본 브랜드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2010년에는 일본 자동차 점유율이 92.3%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 일본 차 점유율은 80% 아래로 떨어졌고 올해 상반기에는 70.6%까지 내려가 60%대로의 하락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2022년부터 자국에 전기차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업체에 보조금 지급 등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태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해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일본 자동차 점유율이 90% 수준인 인도네시아에서도 BYD와 우링자동차 등 중국 전기차가 시장을 잠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해 중국 전기차 공세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국과 인도네시아 정부의 하이브리드 관련 지원 정책은 제한적이어서 판매 감소 현상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전기차 판매량은 약 4만 3,000대로, 전년 대비 2.5배로 급증했습니다. 다만, 인도네시아 전기차 판매량은 충전 시설 부족 등으로 아직 전체 신차 판매 대수의 5%에 그칩니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동남아 자동차 시장 수성을 위해 전기차 현지 생산과 라인업 확대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도요타는 올해 내에 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도요타는 2027년까지 자체 개발한 전기차 약 15개 차종을 내놓고 전기차 생산 거점도 미국, 태국, 아르헨티나 등 5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