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경제연합’ 군불, 실현 가능할까
입력 2025.08.16 (06:49)
수정 2025.08.16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한일경제연합'이 부쩍 거론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같은 경제공동체를 만들자는 논의인데, 배경은 뭔지, 현실성은 있을지, 박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주말에도 십여 명이 일본 기업 구직 상담을 받고 있습니다.
구직보다 구인이 더 힘든 일본에서 취업 기회를 찾는 청년들입니다.
[김세종/일본 취업준비생 : "(한국은) 경력 있는 신입을 원하다 보니 그 경력을 쌓기에는 차라리 일본에서 취업하는 게 좀 더 편하지 않을까."]
한일 모두 지금은 취업비자가 필요한데, 경제공동체가 되면 다를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 회원국은 공무원 등 공공부문이 아니면 취업비자 등 별도 자격이 불필요합니다.
이 인공지능 스타트업은 일본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한국은 IT, 일본은 소부장 등 각자 앞선 분야에 교차 투자가 늘 수 있습니다.
[이세영/인공지능 스타트업 대표 : "(일본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서비스면 더 트렌디할 수도 있고 또 빨리 성장할 수도 있겠다는 그런 기대를 해 주시기도 했었습니다."]
두 나라를 합치면 GDP는 세계 4위.
고령화로 쪼그라드는 소비 시장을 넓히고, 석유, LNG 등을 공동구매해 더 싸게 사는 효과 등을 기대해 보자는 구상입니다.
[최태원/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지난 5월 : "그냥 단순한 협조 정도가 아니라 약간 EU 같은 경제 공동체를 저희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2차대전 피해국 프랑스가 가해국 독일과 석탄철강공동체를 만든 건 1952년.
유럽연합 출범까지 40년 걸렸습니다.
[김현철/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상호 협력 가능한 분야부터 하나둘 찾아서 윈윈하는(서로 도움이 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그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그렇게 봅니다."]
경제연합보다 훨씬 낮은 한일 FTA도 2003년 첫 협상 이후, 지금까지 논의만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김보현 김철호 박상욱/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이호영
최근 '한일경제연합'이 부쩍 거론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같은 경제공동체를 만들자는 논의인데, 배경은 뭔지, 현실성은 있을지, 박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주말에도 십여 명이 일본 기업 구직 상담을 받고 있습니다.
구직보다 구인이 더 힘든 일본에서 취업 기회를 찾는 청년들입니다.
[김세종/일본 취업준비생 : "(한국은) 경력 있는 신입을 원하다 보니 그 경력을 쌓기에는 차라리 일본에서 취업하는 게 좀 더 편하지 않을까."]
한일 모두 지금은 취업비자가 필요한데, 경제공동체가 되면 다를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 회원국은 공무원 등 공공부문이 아니면 취업비자 등 별도 자격이 불필요합니다.
이 인공지능 스타트업은 일본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한국은 IT, 일본은 소부장 등 각자 앞선 분야에 교차 투자가 늘 수 있습니다.
[이세영/인공지능 스타트업 대표 : "(일본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서비스면 더 트렌디할 수도 있고 또 빨리 성장할 수도 있겠다는 그런 기대를 해 주시기도 했었습니다."]
두 나라를 합치면 GDP는 세계 4위.
고령화로 쪼그라드는 소비 시장을 넓히고, 석유, LNG 등을 공동구매해 더 싸게 사는 효과 등을 기대해 보자는 구상입니다.
[최태원/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지난 5월 : "그냥 단순한 협조 정도가 아니라 약간 EU 같은 경제 공동체를 저희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2차대전 피해국 프랑스가 가해국 독일과 석탄철강공동체를 만든 건 1952년.
유럽연합 출범까지 40년 걸렸습니다.
[김현철/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상호 협력 가능한 분야부터 하나둘 찾아서 윈윈하는(서로 도움이 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그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그렇게 봅니다."]
경제연합보다 훨씬 낮은 한일 FTA도 2003년 첫 협상 이후, 지금까지 논의만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김보현 김철호 박상욱/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이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일경제연합’ 군불, 실현 가능할까
-
- 입력 2025-08-16 06:49:02
- 수정2025-08-16 07:54:47

[앵커]
최근 '한일경제연합'이 부쩍 거론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같은 경제공동체를 만들자는 논의인데, 배경은 뭔지, 현실성은 있을지, 박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주말에도 십여 명이 일본 기업 구직 상담을 받고 있습니다.
구직보다 구인이 더 힘든 일본에서 취업 기회를 찾는 청년들입니다.
[김세종/일본 취업준비생 : "(한국은) 경력 있는 신입을 원하다 보니 그 경력을 쌓기에는 차라리 일본에서 취업하는 게 좀 더 편하지 않을까."]
한일 모두 지금은 취업비자가 필요한데, 경제공동체가 되면 다를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 회원국은 공무원 등 공공부문이 아니면 취업비자 등 별도 자격이 불필요합니다.
이 인공지능 스타트업은 일본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한국은 IT, 일본은 소부장 등 각자 앞선 분야에 교차 투자가 늘 수 있습니다.
[이세영/인공지능 스타트업 대표 : "(일본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서비스면 더 트렌디할 수도 있고 또 빨리 성장할 수도 있겠다는 그런 기대를 해 주시기도 했었습니다."]
두 나라를 합치면 GDP는 세계 4위.
고령화로 쪼그라드는 소비 시장을 넓히고, 석유, LNG 등을 공동구매해 더 싸게 사는 효과 등을 기대해 보자는 구상입니다.
[최태원/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지난 5월 : "그냥 단순한 협조 정도가 아니라 약간 EU 같은 경제 공동체를 저희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2차대전 피해국 프랑스가 가해국 독일과 석탄철강공동체를 만든 건 1952년.
유럽연합 출범까지 40년 걸렸습니다.
[김현철/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상호 협력 가능한 분야부터 하나둘 찾아서 윈윈하는(서로 도움이 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그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그렇게 봅니다."]
경제연합보다 훨씬 낮은 한일 FTA도 2003년 첫 협상 이후, 지금까지 논의만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김보현 김철호 박상욱/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이호영
최근 '한일경제연합'이 부쩍 거론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같은 경제공동체를 만들자는 논의인데, 배경은 뭔지, 현실성은 있을지, 박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주말에도 십여 명이 일본 기업 구직 상담을 받고 있습니다.
구직보다 구인이 더 힘든 일본에서 취업 기회를 찾는 청년들입니다.
[김세종/일본 취업준비생 : "(한국은) 경력 있는 신입을 원하다 보니 그 경력을 쌓기에는 차라리 일본에서 취업하는 게 좀 더 편하지 않을까."]
한일 모두 지금은 취업비자가 필요한데, 경제공동체가 되면 다를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 회원국은 공무원 등 공공부문이 아니면 취업비자 등 별도 자격이 불필요합니다.
이 인공지능 스타트업은 일본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한국은 IT, 일본은 소부장 등 각자 앞선 분야에 교차 투자가 늘 수 있습니다.
[이세영/인공지능 스타트업 대표 : "(일본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서비스면 더 트렌디할 수도 있고 또 빨리 성장할 수도 있겠다는 그런 기대를 해 주시기도 했었습니다."]
두 나라를 합치면 GDP는 세계 4위.
고령화로 쪼그라드는 소비 시장을 넓히고, 석유, LNG 등을 공동구매해 더 싸게 사는 효과 등을 기대해 보자는 구상입니다.
[최태원/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지난 5월 : "그냥 단순한 협조 정도가 아니라 약간 EU 같은 경제 공동체를 저희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2차대전 피해국 프랑스가 가해국 독일과 석탄철강공동체를 만든 건 1952년.
유럽연합 출범까지 40년 걸렸습니다.
[김현철/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상호 협력 가능한 분야부터 하나둘 찾아서 윈윈하는(서로 도움이 되는) 관계를 보여주는 그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그렇게 봅니다."]
경제연합보다 훨씬 낮은 한일 FTA도 2003년 첫 협상 이후, 지금까지 논의만 반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김보현 김철호 박상욱/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이호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