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후죽순’ 불법 야영장…이유는?

입력 2025.08.18 (11:20) 수정 2025.08.18 (16: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피서철, 계곡이나 하천 인근에는 인근 마을 주민들이 운영하는 야영장을 쉽게 찾아볼 수가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야영장 가운데 불법인 곳이 많습니다.

왜 그런지 최진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맑은 계곡을 따라 텐트가 늘어서 있습니다.

사천의 한 자연유원지에 3년 전 만들어진 야영장입니다.

[용소야영장 운영 주민/음성변조 : "물이 참 좋거든. 사람이 자연적으로 오더라고."]

인근 주민들이 설립한 농업회사법인이 운영하는 정식 등록 야영장인데, 일부가 농업진흥구역에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허가를 한 사천시는 농업진흥구역이더라도 지목이 하천이고, 농지로 이용한 적이 없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

[사천시 관계자/음성변조 : "농업진흥구역 이전부터 (유원지로) 사용이 되던 것이라서 그것(농지법)을 적용을 안 받는다고 해서."]

하지만, 정부의 해석은 다릅니다.

농업진흥구역 내엔 야영장 자체를 운영할 수 없다는 겁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음성변조 : "하천이라고 하더라도 농업진흥구역이잖아요. 비농지라도 농업진흥구역에 대해서 행위 제한 적용을 받아요."]

근처 다른 야영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우천유원지 야영장과 능화숲 캠핑장, 가천물놀이캠핑장 역시 농업진흥구역이나 보전관리지역으로 야영장이 들어설 수 없거나 적법한 허가 절차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이 야영장 모두 주민들이 소득 향상을 위해 직접 운영하는 곳으로, 답답함을 호소합니다.

[문형갑/사천시 사남면 우천마을 이장 : "합법화를 시켜주면 참 좋은데, 우리가 마을 주민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요."]

최근 캠핑이 인기를 얻으면서 농어촌 주민들도 야영장 운영에 나서는 추세를 감안하면, 현실에 맞는 법령 검토가 시급합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지승환/그래픽:김신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후죽순’ 불법 야영장…이유는?
    • 입력 2025-08-18 11:20:56
    • 수정2025-08-18 16:15:33
    930뉴스(창원)
[앵커]

피서철, 계곡이나 하천 인근에는 인근 마을 주민들이 운영하는 야영장을 쉽게 찾아볼 수가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야영장 가운데 불법인 곳이 많습니다.

왜 그런지 최진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맑은 계곡을 따라 텐트가 늘어서 있습니다.

사천의 한 자연유원지에 3년 전 만들어진 야영장입니다.

[용소야영장 운영 주민/음성변조 : "물이 참 좋거든. 사람이 자연적으로 오더라고."]

인근 주민들이 설립한 농업회사법인이 운영하는 정식 등록 야영장인데, 일부가 농업진흥구역에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허가를 한 사천시는 농업진흥구역이더라도 지목이 하천이고, 농지로 이용한 적이 없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

[사천시 관계자/음성변조 : "농업진흥구역 이전부터 (유원지로) 사용이 되던 것이라서 그것(농지법)을 적용을 안 받는다고 해서."]

하지만, 정부의 해석은 다릅니다.

농업진흥구역 내엔 야영장 자체를 운영할 수 없다는 겁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음성변조 : "하천이라고 하더라도 농업진흥구역이잖아요. 비농지라도 농업진흥구역에 대해서 행위 제한 적용을 받아요."]

근처 다른 야영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우천유원지 야영장과 능화숲 캠핑장, 가천물놀이캠핑장 역시 농업진흥구역이나 보전관리지역으로 야영장이 들어설 수 없거나 적법한 허가 절차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이 야영장 모두 주민들이 소득 향상을 위해 직접 운영하는 곳으로, 답답함을 호소합니다.

[문형갑/사천시 사남면 우천마을 이장 : "합법화를 시켜주면 참 좋은데, 우리가 마을 주민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요."]

최근 캠핑이 인기를 얻으면서 농어촌 주민들도 야영장 운영에 나서는 추세를 감안하면, 현실에 맞는 법령 검토가 시급합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지승환/그래픽:김신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