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민원·업무 과중’ 20대 공무원 사망…순직 인정

입력 2025.08.20 (19:11) 수정 2025.08.20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젊은 공무원들의 조기 퇴직이 잇따르면서, 낮은 급여와 과중한 업무 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KBS경남은 내일까지 저연차 공무원들이 처한 구조적 문제를 심층 보도합니다.

먼저, 악성 민원과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다 숨진 한 20대 공무원 사건을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공의 파업' 이 한창이던 지난해 2월 양산시보건소에서 근무하던 4년 차 김 모 주무관이 숨졌습니다.

[보건소 동료/음성변조 : "전공의 파업 때문에 시시각각으로 업무 보고하고 만들어 내야 되는데, 지금 많이 힘들어하는구나 눈에 보이지만…."]

무슨 이유였을까?

김 주무관은 보건소 민원팀에 배치돼 수시로 폭언과 욕설에 시달렸습니다.

[김권준/전국공무원노조 양산시지부 : "사람들이 말을 함부로 해요. 젊고 그러니까 여성들이고 하니까 만만하게 보고 어린 X들이. 그런 식으로 하는 게 쌓이는 거죠."]

불과 6개월 만에 발령난 부서는 모두 기피하는 의약팀.

무자격자 의약품 제조와 약사 면허비치 불량 등 반복 민원에다, 약국 폐업과 마약류 폐기 업무 등에서 약사들의 심한 항의는 다반사였습니다.

[약사/음성변조 : "(마약류가) 몇 개냐 몇 개냐, 이렇게 묻는 거예요. 나는 모른다, 알아서 해야지. 공무원이 그것도 알아서 못 하느냐 그런 소리는 했거든요."]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도 있는 어려운 업무였지만, 휴일과 주말에 출근해 업무 인수인계를 받아야 했습니다.

업무 관련 조언을 얻을 곳도 마땅치 않았습니다.

[故 김 주무관 이모/경찰 진술서 : "저연차로서 약사법과 의료법을 다루다 보니, 연륜 있는 전문 직종을 상대하기도 매우 부담스럽고 버거워했고, 처리하기 힘든 민원을 감당하면서 본인이 무능하다 느끼는 듯했습니다."]

김 주무관의 지난해 1월 초과 근로 시간은 무려 65시간, 숨지기 직전 2월에는 36시간이나 야근에 지쳐갔습니다.

[故 김 주무관 어머니/음성변조 : "(딸이) 전화를 해서 대뜸 내가 다른 사람한테 민폐를 끼치는 것 같다 하면서 그만두고 공장 가면 안 될까, 이렇게 말하길래…."]

김 주무관이 겪은 과중한 업무와 악성민원, 극심한 스트레스는 지난달 공무상 재해를 인정 받았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이하우·최현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악성 민원·업무 과중’ 20대 공무원 사망…순직 인정
    • 입력 2025-08-20 19:11:52
    • 수정2025-08-20 19:26:19
    뉴스7(창원)
[앵커]

젊은 공무원들의 조기 퇴직이 잇따르면서, 낮은 급여와 과중한 업무 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KBS경남은 내일까지 저연차 공무원들이 처한 구조적 문제를 심층 보도합니다.

먼저, 악성 민원과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다 숨진 한 20대 공무원 사건을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공의 파업' 이 한창이던 지난해 2월 양산시보건소에서 근무하던 4년 차 김 모 주무관이 숨졌습니다.

[보건소 동료/음성변조 : "전공의 파업 때문에 시시각각으로 업무 보고하고 만들어 내야 되는데, 지금 많이 힘들어하는구나 눈에 보이지만…."]

무슨 이유였을까?

김 주무관은 보건소 민원팀에 배치돼 수시로 폭언과 욕설에 시달렸습니다.

[김권준/전국공무원노조 양산시지부 : "사람들이 말을 함부로 해요. 젊고 그러니까 여성들이고 하니까 만만하게 보고 어린 X들이. 그런 식으로 하는 게 쌓이는 거죠."]

불과 6개월 만에 발령난 부서는 모두 기피하는 의약팀.

무자격자 의약품 제조와 약사 면허비치 불량 등 반복 민원에다, 약국 폐업과 마약류 폐기 업무 등에서 약사들의 심한 항의는 다반사였습니다.

[약사/음성변조 : "(마약류가) 몇 개냐 몇 개냐, 이렇게 묻는 거예요. 나는 모른다, 알아서 해야지. 공무원이 그것도 알아서 못 하느냐 그런 소리는 했거든요."]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도 있는 어려운 업무였지만, 휴일과 주말에 출근해 업무 인수인계를 받아야 했습니다.

업무 관련 조언을 얻을 곳도 마땅치 않았습니다.

[故 김 주무관 이모/경찰 진술서 : "저연차로서 약사법과 의료법을 다루다 보니, 연륜 있는 전문 직종을 상대하기도 매우 부담스럽고 버거워했고, 처리하기 힘든 민원을 감당하면서 본인이 무능하다 느끼는 듯했습니다."]

김 주무관의 지난해 1월 초과 근로 시간은 무려 65시간, 숨지기 직전 2월에는 36시간이나 야근에 지쳐갔습니다.

[故 김 주무관 어머니/음성변조 : "(딸이) 전화를 해서 대뜸 내가 다른 사람한테 민폐를 끼치는 것 같다 하면서 그만두고 공장 가면 안 될까, 이렇게 말하길래…."]

김 주무관이 겪은 과중한 업무와 악성민원, 극심한 스트레스는 지난달 공무상 재해를 인정 받았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이하우·최현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