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대응댐’ 정밀 재검토…찬반 논란 재확산

입력 2025.08.20 (21:50) 수정 2025.08.20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3월, 환경부는 극한 호우나 가뭄에 대비하겠다며 기후대응댐 건설 최종 후보지를 확정해 발표했는데요.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기후대응댐 건설 재검토에 나서자 찬반 논란이 다시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잇따르는 '극한 호우' 등 이제는 일상이 된 기후변화.

지난 3월, 환경부는 홍수와 가뭄에 대비한다며 기후대응댐 최종 후보지 9곳을 발표했습니다.

경북의 후보지는 김천과 예천, 청도 3곳으로, 현재 기본구상 용역이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서고 원점 재검토를 시사하면서 댐 건설이 난관에 부딪혔습니다.

[김성환/환경부 장관/지난달 15일/인사청문회 당시 : "(기후대응댐을) 정밀하게 재검토해서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수 있게 하겠습니다."]

정부 기조가 바뀌면서 지역민 사이에서 댐 건설을 둘러싼 논란은 다시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갈등이 심한 곳은 저수용량이 천6백만 톤에 달하는 김천의 감천댐입니다.

댐 건설을 반대해 온 주민들은 인근 3km 안에 부항댐이 있어 사업성이 떨어지고, 김천시가 건설을 주도하면서 주민 협의체마저 요식 행위가 됐다고 주장합니다.

[이상준/감천댐반대위원회 사무국장 : "찬성 주민들의 의견, 그리고 (김천)시의 입장은 '이 댐이 있으면 감천이 안전한데 안 할 필요가 뭐가 있느냐' 이런 식의 이야기만…."]

이에 대해 김천시는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감천댐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수몰 지구 주민들도 댐 건설을 찬성하고 있다며 주민 협의체를 다시 구성해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천시 관계자/음성변조 : "부항댐은 다목적 댐이다 보니까 실질적으로 홍수 조절 용량은 한 1,200만 톤 정도 밖에 안 되거든요. (감천댐이 있어야) 홍수 조절 용량에 대한 커버가 된다고…."]

바뀐 정부 정책에 다시 댐 건설 찬반 논란이 불거지면서 지역 사회 갈등의 골만 깊어질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대응댐’ 정밀 재검토…찬반 논란 재확산
    • 입력 2025-08-20 21:50:53
    • 수정2025-08-20 21:57:03
    뉴스9(대구)
[앵커]

지난 3월, 환경부는 극한 호우나 가뭄에 대비하겠다며 기후대응댐 건설 최종 후보지를 확정해 발표했는데요.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기후대응댐 건설 재검토에 나서자 찬반 논란이 다시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잇따르는 '극한 호우' 등 이제는 일상이 된 기후변화.

지난 3월, 환경부는 홍수와 가뭄에 대비한다며 기후대응댐 최종 후보지 9곳을 발표했습니다.

경북의 후보지는 김천과 예천, 청도 3곳으로, 현재 기본구상 용역이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서고 원점 재검토를 시사하면서 댐 건설이 난관에 부딪혔습니다.

[김성환/환경부 장관/지난달 15일/인사청문회 당시 : "(기후대응댐을) 정밀하게 재검토해서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수 있게 하겠습니다."]

정부 기조가 바뀌면서 지역민 사이에서 댐 건설을 둘러싼 논란은 다시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갈등이 심한 곳은 저수용량이 천6백만 톤에 달하는 김천의 감천댐입니다.

댐 건설을 반대해 온 주민들은 인근 3km 안에 부항댐이 있어 사업성이 떨어지고, 김천시가 건설을 주도하면서 주민 협의체마저 요식 행위가 됐다고 주장합니다.

[이상준/감천댐반대위원회 사무국장 : "찬성 주민들의 의견, 그리고 (김천)시의 입장은 '이 댐이 있으면 감천이 안전한데 안 할 필요가 뭐가 있느냐' 이런 식의 이야기만…."]

이에 대해 김천시는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감천댐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수몰 지구 주민들도 댐 건설을 찬성하고 있다며 주민 협의체를 다시 구성해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천시 관계자/음성변조 : "부항댐은 다목적 댐이다 보니까 실질적으로 홍수 조절 용량은 한 1,200만 톤 정도 밖에 안 되거든요. (감천댐이 있어야) 홍수 조절 용량에 대한 커버가 된다고…."]

바뀐 정부 정책에 다시 댐 건설 찬반 논란이 불거지면서 지역 사회 갈등의 골만 깊어질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