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배 못들어 오는 20억 짜리 여객 터미널

입력 2025.08.22 (09:00) 수정 2025.08.22 (09: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억 원이나 들여 항구에 새로 만든 여객터미널이 문도 못 연 채 3년째 방치되고 있습니다.

오랜 세월 쌓인 펄로 인해 배가 접안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선착장 붕괴 위험이 있어 당장 준설을 할 수도 없다 보니 이도 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어쩌다 이런 일이 벌어진 건지, 먼저 박병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해안의 대표 휴양지로 뜨고 있는 홍성 남당항입니다.

항구 중앙에 새로 지은 여객터미널이 있습니다.

그런데 출입문은 굳게 잠겨 있고, 곳곳에 거미줄과 녹이 보입니다.

잡풀이 잔뜩 난 건물 옆으론 어디서 왔는지 모를 간판과 공사 안내 표지판도 나뒹굽니다.

홍성군 요구로 대산해양수산청이 국비 19억 원을 들여 3년 전 완공했지만 한 번도 운영되지 않았습니다.

터미널과 연결된 선착장에 배를 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선착장 주변엔 펄이 잔뜩 쌓여 수심이 매우 얕습니다.

만조시에도 소형 어선 외에는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습니다.

[남당항 어선 선주 : "배가 왔다 갔다 계속 해야 되는데 그게 안 되니까 지금 무용지물이죠. 뭐."]

이 때문에 완공 이듬해 준설을 시도했지만 30년이 넘은 선착장 붕괴 우려로 중단됐습니다.

[홍성군 공무원 : "선착장 그게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그래서 저희가 이제 준설이 중단됐고요."]

홍성군은 기존 선착장을 부순 뒤 터미널 앞까지 준설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예산만 70억 원에, 공사도 최소 2년이 걸린다는 점입니다.

해양수산청은 홍성군이 우선 터미널을 인수한 뒤 추가 사업이 진행될 때까지 다른 용도로 활용할 것을 요구하지만 홍성군은 거부하고 있습니다.

[대산해양수산청 공무원/음성변조 : "터미널이 정식적으로 운영되기 전까지 홍성군에서는 제발 다른 휴식 쉼터나 공공의 목적으로 좀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거든요."]

두 기관의 책임 공방 속에 관광객과 주민들은 1km 떨어진 간이 선착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 : "여기서 바로 가면 좋잖아요. 멀리까지 가니까 힘들잖아요. 건물만 지어놓고 사용을 못 하니까 마음이 아프죠. 안타깝기도 하고."]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배 못들어 오는 20억 짜리 여객 터미널
    • 입력 2025-08-22 09:00:18
    • 수정2025-08-22 09:56:41
    뉴스광장(대전)
[앵커]

20억 원이나 들여 항구에 새로 만든 여객터미널이 문도 못 연 채 3년째 방치되고 있습니다.

오랜 세월 쌓인 펄로 인해 배가 접안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선착장 붕괴 위험이 있어 당장 준설을 할 수도 없다 보니 이도 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어쩌다 이런 일이 벌어진 건지, 먼저 박병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해안의 대표 휴양지로 뜨고 있는 홍성 남당항입니다.

항구 중앙에 새로 지은 여객터미널이 있습니다.

그런데 출입문은 굳게 잠겨 있고, 곳곳에 거미줄과 녹이 보입니다.

잡풀이 잔뜩 난 건물 옆으론 어디서 왔는지 모를 간판과 공사 안내 표지판도 나뒹굽니다.

홍성군 요구로 대산해양수산청이 국비 19억 원을 들여 3년 전 완공했지만 한 번도 운영되지 않았습니다.

터미널과 연결된 선착장에 배를 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선착장 주변엔 펄이 잔뜩 쌓여 수심이 매우 얕습니다.

만조시에도 소형 어선 외에는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습니다.

[남당항 어선 선주 : "배가 왔다 갔다 계속 해야 되는데 그게 안 되니까 지금 무용지물이죠. 뭐."]

이 때문에 완공 이듬해 준설을 시도했지만 30년이 넘은 선착장 붕괴 우려로 중단됐습니다.

[홍성군 공무원 : "선착장 그게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그래서 저희가 이제 준설이 중단됐고요."]

홍성군은 기존 선착장을 부순 뒤 터미널 앞까지 준설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예산만 70억 원에, 공사도 최소 2년이 걸린다는 점입니다.

해양수산청은 홍성군이 우선 터미널을 인수한 뒤 추가 사업이 진행될 때까지 다른 용도로 활용할 것을 요구하지만 홍성군은 거부하고 있습니다.

[대산해양수산청 공무원/음성변조 : "터미널이 정식적으로 운영되기 전까지 홍성군에서는 제발 다른 휴식 쉼터나 공공의 목적으로 좀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거든요."]

두 기관의 책임 공방 속에 관광객과 주민들은 1km 떨어진 간이 선착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 : "여기서 바로 가면 좋잖아요. 멀리까지 가니까 힘들잖아요. 건물만 지어놓고 사용을 못 하니까 마음이 아프죠. 안타깝기도 하고."]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