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정보국장 해임…‘이란 핵시설파괴 실패’ 보고서로 괘씸죄 추정
입력 2025.08.23 (06:09)
수정 2025.08.23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국방정보국(DIA) 국장인 제프리 크루즈 중장을 해임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임 사유는 "신뢰 상실"이라고만 전해졌으며, 이는 헤그세스 장관이 취임 이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리사 프란체티 해군 참모총장 등 군 고위 장성들을 해임할 때 자주 썼던 표현이라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미 국방정보국은 지난 6월 미군의 전격적인 이란 핵 시설 공습에 대한 초기 평가보고서를 작성했으며, CNN과 뉴욕타임스 등은 이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했습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B-2 스텔스 폭격기와 초대형 벙커버스터 폭탄 등을 동원한 공습으로 이란의 핵 시설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보고서는 공습의 효과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길어야 몇개월 퇴보시키는 데 불과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란 핵 시설 파괴와 이스라엘-이란 휴전을 자신의 치적으로 삼으려던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연방수사국(FBI)은 기밀 보고서 유출자 색출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결국 크루즈 중장의 해임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상반되는 분석 자료를 생산했다는 이유, 또는 그 자료가 외부에 유출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입지를 궁색하게 만들었다는 '괘씸죄'가 배경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서 미국 사이버 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안보국(NSA) 국장 겸 사이버사령관인 티머시 호크 대장이 지난 4월 해임된 바 있는데, 이는 극우 활동가 로라 루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크 대장의 충성심이 부족하다고 비난한 뒤 이뤄졌습니다.
5월에는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마이클 콜린스 국가정보위원회(NIC) 의장을 해임했습니다.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 출신 갱단을 적법절차 없이 추방한 데 대한 '모순된 평가'를 내놓은 뒤 이뤄졌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안보 사안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7월 일자리 증가가 급감했다는 통계가 "조작됐다"며 이 통계를 발표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이달 초에 경질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해임 사유는 "신뢰 상실"이라고만 전해졌으며, 이는 헤그세스 장관이 취임 이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리사 프란체티 해군 참모총장 등 군 고위 장성들을 해임할 때 자주 썼던 표현이라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미 국방정보국은 지난 6월 미군의 전격적인 이란 핵 시설 공습에 대한 초기 평가보고서를 작성했으며, CNN과 뉴욕타임스 등은 이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했습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B-2 스텔스 폭격기와 초대형 벙커버스터 폭탄 등을 동원한 공습으로 이란의 핵 시설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보고서는 공습의 효과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길어야 몇개월 퇴보시키는 데 불과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란 핵 시설 파괴와 이스라엘-이란 휴전을 자신의 치적으로 삼으려던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연방수사국(FBI)은 기밀 보고서 유출자 색출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결국 크루즈 중장의 해임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상반되는 분석 자료를 생산했다는 이유, 또는 그 자료가 외부에 유출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입지를 궁색하게 만들었다는 '괘씸죄'가 배경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서 미국 사이버 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안보국(NSA) 국장 겸 사이버사령관인 티머시 호크 대장이 지난 4월 해임된 바 있는데, 이는 극우 활동가 로라 루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크 대장의 충성심이 부족하다고 비난한 뒤 이뤄졌습니다.
5월에는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마이클 콜린스 국가정보위원회(NIC) 의장을 해임했습니다.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 출신 갱단을 적법절차 없이 추방한 데 대한 '모순된 평가'를 내놓은 뒤 이뤄졌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안보 사안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7월 일자리 증가가 급감했다는 통계가 "조작됐다"며 이 통계를 발표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이달 초에 경질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국방정보국장 해임…‘이란 핵시설파괴 실패’ 보고서로 괘씸죄 추정
-
- 입력 2025-08-23 06:09:11
- 수정2025-08-23 08:00:50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국방정보국(DIA) 국장인 제프리 크루즈 중장을 해임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임 사유는 "신뢰 상실"이라고만 전해졌으며, 이는 헤그세스 장관이 취임 이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리사 프란체티 해군 참모총장 등 군 고위 장성들을 해임할 때 자주 썼던 표현이라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미 국방정보국은 지난 6월 미군의 전격적인 이란 핵 시설 공습에 대한 초기 평가보고서를 작성했으며, CNN과 뉴욕타임스 등은 이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했습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B-2 스텔스 폭격기와 초대형 벙커버스터 폭탄 등을 동원한 공습으로 이란의 핵 시설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보고서는 공습의 효과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길어야 몇개월 퇴보시키는 데 불과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란 핵 시설 파괴와 이스라엘-이란 휴전을 자신의 치적으로 삼으려던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연방수사국(FBI)은 기밀 보고서 유출자 색출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결국 크루즈 중장의 해임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상반되는 분석 자료를 생산했다는 이유, 또는 그 자료가 외부에 유출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입지를 궁색하게 만들었다는 '괘씸죄'가 배경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서 미국 사이버 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안보국(NSA) 국장 겸 사이버사령관인 티머시 호크 대장이 지난 4월 해임된 바 있는데, 이는 극우 활동가 로라 루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크 대장의 충성심이 부족하다고 비난한 뒤 이뤄졌습니다.
5월에는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마이클 콜린스 국가정보위원회(NIC) 의장을 해임했습니다.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 출신 갱단을 적법절차 없이 추방한 데 대한 '모순된 평가'를 내놓은 뒤 이뤄졌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안보 사안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7월 일자리 증가가 급감했다는 통계가 "조작됐다"며 이 통계를 발표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이달 초에 경질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해임 사유는 "신뢰 상실"이라고만 전해졌으며, 이는 헤그세스 장관이 취임 이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리사 프란체티 해군 참모총장 등 군 고위 장성들을 해임할 때 자주 썼던 표현이라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미 국방정보국은 지난 6월 미군의 전격적인 이란 핵 시설 공습에 대한 초기 평가보고서를 작성했으며, CNN과 뉴욕타임스 등은 이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했습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B-2 스텔스 폭격기와 초대형 벙커버스터 폭탄 등을 동원한 공습으로 이란의 핵 시설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보고서는 공습의 효과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길어야 몇개월 퇴보시키는 데 불과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란 핵 시설 파괴와 이스라엘-이란 휴전을 자신의 치적으로 삼으려던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연방수사국(FBI)은 기밀 보고서 유출자 색출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결국 크루즈 중장의 해임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상반되는 분석 자료를 생산했다는 이유, 또는 그 자료가 외부에 유출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입지를 궁색하게 만들었다는 '괘씸죄'가 배경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서 미국 사이버 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안보국(NSA) 국장 겸 사이버사령관인 티머시 호크 대장이 지난 4월 해임된 바 있는데, 이는 극우 활동가 로라 루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크 대장의 충성심이 부족하다고 비난한 뒤 이뤄졌습니다.
5월에는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마이클 콜린스 국가정보위원회(NIC) 의장을 해임했습니다.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 출신 갱단을 적법절차 없이 추방한 데 대한 '모순된 평가'를 내놓은 뒤 이뤄졌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안보 사안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7월 일자리 증가가 급감했다는 통계가 "조작됐다"며 이 통계를 발표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이달 초에 경질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