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비판’ 볼턴 압수수색에 FBI 국장 ‘블랙리스트 논란’ 재점화
입력 2025.08.23 (1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비판자로 꼽히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압수수색을 당하면서 캐시 파텔 연방수사국(FBI) 국장의 ‘블랙리스트’ 관련 논란이 재점화됐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볼턴 전 보좌관이 올해 초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파텔 국장의 명단 60명 중 다섯 번째로 수사를 받은 인물이라고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2023년 저서 ‘정부의 깡패들’을 출간하면서 부록에 ‘행정부의 딥스테이트(심층국가) 회원들’이라는 제목을 단 명단을 담았는데, 심층국가는 정치 관련 음모론에서 표층국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채 국가 내부에 깊숙이 뿌리를 내려 권력을 행사하는 비밀 권력을 뜻합니다.
명단에는 볼턴 전 보좌관 외에도 앞서 본인 또는 측근이 수사 대상이 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과 존 브레넌 전 중앙정보국(CIA) 국장, 마일스 테일러 전 국토안보부 장관 보좌관, 알렉산더 빈드먼 전 중령 등이 포함됐습니다.
코리 전 국장과 브레넌 전 국장은 2016년 러시아가 미국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한 것과 관련해, 테일러 전 보좌관은 익명으로 트럼프를 비판한 책을 출간한 것과 관련해 법무부의 수사 대상이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당시 불리한 증언을 한 빈드먼 중령은, 쌍둥이 형제인 유진 빈드먼이 우크라이나 원조 사업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파텔 국장은 지난 1월 상원의 인사청문회 당시 해당 명단이 정적들을 기록한 블랙리스트가 아니냐는 질의를 받고 이를 강경하게 부인하면서 “해당 명단은 정부를 ‘무기화’한 사람들을 기록해 놓은 것”이라고 답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7개월 만에 명단에 담긴 인물이 다섯 명이나 수사 대상이 되면서 파텔 국장의 당시 답변이 무색해졌다고 가디언은 지적했습니다.
FBI가 명단을 근거로 수사를 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수사 대상과 명단이 너무 많이 일치한다는 겁니다.
명단에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소속 대통령과 대선후보는 물론이고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 스테퍼니 그리셤 전 대변인 등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동료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가디언은 이에 대해 과거의 충성심과는 관계 없이 대통령을 배신한 사람이면 누구든 명단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를 ‘무기화’한다는 심층국가에 맞선다면서 스스로 국가를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볼턴을 ‘비애국적인 인물’, ‘저급한 인생’ 등으로 비난한데 대해서도 수사기관의 독립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행동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누구도 법 위에 있을 수는 없다”며 “FBI 요원들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볼턴 전 보좌관이 올해 초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파텔 국장의 명단 60명 중 다섯 번째로 수사를 받은 인물이라고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2023년 저서 ‘정부의 깡패들’을 출간하면서 부록에 ‘행정부의 딥스테이트(심층국가) 회원들’이라는 제목을 단 명단을 담았는데, 심층국가는 정치 관련 음모론에서 표층국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채 국가 내부에 깊숙이 뿌리를 내려 권력을 행사하는 비밀 권력을 뜻합니다.
명단에는 볼턴 전 보좌관 외에도 앞서 본인 또는 측근이 수사 대상이 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과 존 브레넌 전 중앙정보국(CIA) 국장, 마일스 테일러 전 국토안보부 장관 보좌관, 알렉산더 빈드먼 전 중령 등이 포함됐습니다.
코리 전 국장과 브레넌 전 국장은 2016년 러시아가 미국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한 것과 관련해, 테일러 전 보좌관은 익명으로 트럼프를 비판한 책을 출간한 것과 관련해 법무부의 수사 대상이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당시 불리한 증언을 한 빈드먼 중령은, 쌍둥이 형제인 유진 빈드먼이 우크라이나 원조 사업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파텔 국장은 지난 1월 상원의 인사청문회 당시 해당 명단이 정적들을 기록한 블랙리스트가 아니냐는 질의를 받고 이를 강경하게 부인하면서 “해당 명단은 정부를 ‘무기화’한 사람들을 기록해 놓은 것”이라고 답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7개월 만에 명단에 담긴 인물이 다섯 명이나 수사 대상이 되면서 파텔 국장의 당시 답변이 무색해졌다고 가디언은 지적했습니다.
FBI가 명단을 근거로 수사를 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수사 대상과 명단이 너무 많이 일치한다는 겁니다.
명단에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소속 대통령과 대선후보는 물론이고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 스테퍼니 그리셤 전 대변인 등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동료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가디언은 이에 대해 과거의 충성심과는 관계 없이 대통령을 배신한 사람이면 누구든 명단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를 ‘무기화’한다는 심층국가에 맞선다면서 스스로 국가를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볼턴을 ‘비애국적인 인물’, ‘저급한 인생’ 등으로 비난한데 대해서도 수사기관의 독립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행동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누구도 법 위에 있을 수는 없다”며 “FBI 요원들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비판’ 볼턴 압수수색에 FBI 국장 ‘블랙리스트 논란’ 재점화
-
- 입력 2025-08-23 19:01:27
대표적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비판자로 꼽히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압수수색을 당하면서 캐시 파텔 연방수사국(FBI) 국장의 ‘블랙리스트’ 관련 논란이 재점화됐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볼턴 전 보좌관이 올해 초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파텔 국장의 명단 60명 중 다섯 번째로 수사를 받은 인물이라고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2023년 저서 ‘정부의 깡패들’을 출간하면서 부록에 ‘행정부의 딥스테이트(심층국가) 회원들’이라는 제목을 단 명단을 담았는데, 심층국가는 정치 관련 음모론에서 표층국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채 국가 내부에 깊숙이 뿌리를 내려 권력을 행사하는 비밀 권력을 뜻합니다.
명단에는 볼턴 전 보좌관 외에도 앞서 본인 또는 측근이 수사 대상이 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과 존 브레넌 전 중앙정보국(CIA) 국장, 마일스 테일러 전 국토안보부 장관 보좌관, 알렉산더 빈드먼 전 중령 등이 포함됐습니다.
코리 전 국장과 브레넌 전 국장은 2016년 러시아가 미국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한 것과 관련해, 테일러 전 보좌관은 익명으로 트럼프를 비판한 책을 출간한 것과 관련해 법무부의 수사 대상이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당시 불리한 증언을 한 빈드먼 중령은, 쌍둥이 형제인 유진 빈드먼이 우크라이나 원조 사업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파텔 국장은 지난 1월 상원의 인사청문회 당시 해당 명단이 정적들을 기록한 블랙리스트가 아니냐는 질의를 받고 이를 강경하게 부인하면서 “해당 명단은 정부를 ‘무기화’한 사람들을 기록해 놓은 것”이라고 답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7개월 만에 명단에 담긴 인물이 다섯 명이나 수사 대상이 되면서 파텔 국장의 당시 답변이 무색해졌다고 가디언은 지적했습니다.
FBI가 명단을 근거로 수사를 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수사 대상과 명단이 너무 많이 일치한다는 겁니다.
명단에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소속 대통령과 대선후보는 물론이고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 스테퍼니 그리셤 전 대변인 등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동료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가디언은 이에 대해 과거의 충성심과는 관계 없이 대통령을 배신한 사람이면 누구든 명단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를 ‘무기화’한다는 심층국가에 맞선다면서 스스로 국가를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볼턴을 ‘비애국적인 인물’, ‘저급한 인생’ 등으로 비난한데 대해서도 수사기관의 독립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행동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누구도 법 위에 있을 수는 없다”며 “FBI 요원들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볼턴 전 보좌관이 올해 초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파텔 국장의 명단 60명 중 다섯 번째로 수사를 받은 인물이라고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2023년 저서 ‘정부의 깡패들’을 출간하면서 부록에 ‘행정부의 딥스테이트(심층국가) 회원들’이라는 제목을 단 명단을 담았는데, 심층국가는 정치 관련 음모론에서 표층국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채 국가 내부에 깊숙이 뿌리를 내려 권력을 행사하는 비밀 권력을 뜻합니다.
명단에는 볼턴 전 보좌관 외에도 앞서 본인 또는 측근이 수사 대상이 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과 존 브레넌 전 중앙정보국(CIA) 국장, 마일스 테일러 전 국토안보부 장관 보좌관, 알렉산더 빈드먼 전 중령 등이 포함됐습니다.
코리 전 국장과 브레넌 전 국장은 2016년 러시아가 미국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한 것과 관련해, 테일러 전 보좌관은 익명으로 트럼프를 비판한 책을 출간한 것과 관련해 법무부의 수사 대상이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당시 불리한 증언을 한 빈드먼 중령은, 쌍둥이 형제인 유진 빈드먼이 우크라이나 원조 사업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파텔 국장은 지난 1월 상원의 인사청문회 당시 해당 명단이 정적들을 기록한 블랙리스트가 아니냐는 질의를 받고 이를 강경하게 부인하면서 “해당 명단은 정부를 ‘무기화’한 사람들을 기록해 놓은 것”이라고 답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7개월 만에 명단에 담긴 인물이 다섯 명이나 수사 대상이 되면서 파텔 국장의 당시 답변이 무색해졌다고 가디언은 지적했습니다.
FBI가 명단을 근거로 수사를 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수사 대상과 명단이 너무 많이 일치한다는 겁니다.
명단에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소속 대통령과 대선후보는 물론이고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 스테퍼니 그리셤 전 대변인 등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동료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가디언은 이에 대해 과거의 충성심과는 관계 없이 대통령을 배신한 사람이면 누구든 명단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를 ‘무기화’한다는 심층국가에 맞선다면서 스스로 국가를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볼턴을 ‘비애국적인 인물’, ‘저급한 인생’ 등으로 비난한데 대해서도 수사기관의 독립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행동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파텔 국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누구도 법 위에 있을 수는 없다”며 “FBI 요원들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
최준혁 기자 chunn@kbs.co.kr
최준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