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지방선거 D-100일, 무엇이 달라지나
입력 2006.02.20 (08:16)
수정 2006.02.20 (0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5.31 지방선거가 이제 1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번 선거부터는 지방의원들이 모두 유급제로 바뀌는데다 정당 공천제가 확대되면서 선거 분위기가 과거 어느 때 보다도 과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방선거 100일전, 정치권의 경쟁은 이미 불붙었습니다.
벌써부터 전·현직 국회의원 등 30여 명이 광역단체장 예비후보로 등록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가장 달라진 점은 우선 지방의원 유급제입니다.
현재 의정 활동비와 회기수당 등 평균 2~3,000만 원 안팎의 보수를 받던 지방의원들이 앞으로는 평균 6~7,000만 원의 연봉을 받게됩니다.
<인터뷰> 선관위 : "유급제 확대로 지방의회 자질이 한층 높아질 것입니다."
기초의원 정당 공천제도 이번 선거부터 실시됩니다.
지역 일꾼을 뽑는다는 본래 의미보다는 정당간 대리전 양상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영래(교수) : "중앙정치에 예속화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처음 도입된 중선거구제는 시행전부터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다수 지방의회들이 정략적 이해에 따라 선거구를 분할, 획정함으로써 소수 정당의 참여기회가 그만큼 줄어들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는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띠면서 어느때보다 과열 분위기가 예상됩니다.
선관위는 불법 행위가 적발되면 최고 50배 까지 과태료를 물리는 등 엄하게 단속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철민입니다.
5.31 지방선거가 이제 1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번 선거부터는 지방의원들이 모두 유급제로 바뀌는데다 정당 공천제가 확대되면서 선거 분위기가 과거 어느 때 보다도 과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방선거 100일전, 정치권의 경쟁은 이미 불붙었습니다.
벌써부터 전·현직 국회의원 등 30여 명이 광역단체장 예비후보로 등록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가장 달라진 점은 우선 지방의원 유급제입니다.
현재 의정 활동비와 회기수당 등 평균 2~3,000만 원 안팎의 보수를 받던 지방의원들이 앞으로는 평균 6~7,000만 원의 연봉을 받게됩니다.
<인터뷰> 선관위 : "유급제 확대로 지방의회 자질이 한층 높아질 것입니다."
기초의원 정당 공천제도 이번 선거부터 실시됩니다.
지역 일꾼을 뽑는다는 본래 의미보다는 정당간 대리전 양상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영래(교수) : "중앙정치에 예속화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처음 도입된 중선거구제는 시행전부터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다수 지방의회들이 정략적 이해에 따라 선거구를 분할, 획정함으로써 소수 정당의 참여기회가 그만큼 줄어들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는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띠면서 어느때보다 과열 분위기가 예상됩니다.
선관위는 불법 행위가 적발되면 최고 50배 까지 과태료를 물리는 등 엄하게 단속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철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31 지방선거 D-100일, 무엇이 달라지나
-
- 입력 2006-02-20 07:06:34
- 수정2006-02-20 08:20:30

<앵커 멘트>
5.31 지방선거가 이제 1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번 선거부터는 지방의원들이 모두 유급제로 바뀌는데다 정당 공천제가 확대되면서 선거 분위기가 과거 어느 때 보다도 과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방선거 100일전, 정치권의 경쟁은 이미 불붙었습니다.
벌써부터 전·현직 국회의원 등 30여 명이 광역단체장 예비후보로 등록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가장 달라진 점은 우선 지방의원 유급제입니다.
현재 의정 활동비와 회기수당 등 평균 2~3,000만 원 안팎의 보수를 받던 지방의원들이 앞으로는 평균 6~7,000만 원의 연봉을 받게됩니다.
<인터뷰> 선관위 : "유급제 확대로 지방의회 자질이 한층 높아질 것입니다."
기초의원 정당 공천제도 이번 선거부터 실시됩니다.
지역 일꾼을 뽑는다는 본래 의미보다는 정당간 대리전 양상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영래(교수) : "중앙정치에 예속화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처음 도입된 중선거구제는 시행전부터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다수 지방의회들이 정략적 이해에 따라 선거구를 분할, 획정함으로써 소수 정당의 참여기회가 그만큼 줄어들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는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띠면서 어느때보다 과열 분위기가 예상됩니다.
선관위는 불법 행위가 적발되면 최고 50배 까지 과태료를 물리는 등 엄하게 단속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철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5·31 지방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