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역이기주의가 환경문제 해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광명시가 하수처리장과 쓰레기 소각장을 함께 만들어 사용하기로 한 약속이 주민들의 반대로 실행에 옮겨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취재에 이미경 기자입니다.
⊙기자: 광명시는 지난해 600억원을 들여 하루 3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을 지었습니다.
요즘의 가동률은 40%, 하루 110톤의 쓰레기만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광명시는 가까운 서울 구로구의 쓰레기를 받아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광명시의 하수를 서울시가 처리해 주는 이른바 환경빅딜을 성사시켰습니다.
이로써 광명시는 1600억원이 드는 하수종말 처리장을, 구로구는 400억원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정병무(광명시 사회산업국장): 운영비도 절감이 크게 됩니다.
또 서울시의 쓰레기를 받는 조건으로 우리가 270억원을 받아옵니다.
그래서 시로서는 상당히 유익하다.
⊙기자: 그러나 전혀 문제될 것 없는 이 빅딜이 지난 1일의 시행날짜를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소각장 주변 마을주민 120세대가 사전 협의가 없었다며 이 빅딜에 반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광명시는 이 동네 주민들을 위해 마을회관을 지어주는 등 이미 57억원을 들였습니다.
⊙음채련(광명시 소각시설 주민대책 위원): 집값의 하락이라든지 또 거래중단이라든가 이런 등등이 주민들의 경제적인 생활에 상당히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보상차원에서 얘기를...
⊙기자: 늘어만 가는 쓰레기, 그 해결책은 지자체를 통합한 광역적인 쓰레기 처리입니다.
이를 지연시키거나 할 경우 결국 모두의 손해입니다.
KBS뉴스 이미경입니다.
서울시와 광명시가 하수처리장과 쓰레기 소각장을 함께 만들어 사용하기로 한 약속이 주민들의 반대로 실행에 옮겨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취재에 이미경 기자입니다.
⊙기자: 광명시는 지난해 600억원을 들여 하루 3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을 지었습니다.
요즘의 가동률은 40%, 하루 110톤의 쓰레기만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광명시는 가까운 서울 구로구의 쓰레기를 받아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광명시의 하수를 서울시가 처리해 주는 이른바 환경빅딜을 성사시켰습니다.
이로써 광명시는 1600억원이 드는 하수종말 처리장을, 구로구는 400억원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정병무(광명시 사회산업국장): 운영비도 절감이 크게 됩니다.
또 서울시의 쓰레기를 받는 조건으로 우리가 270억원을 받아옵니다.
그래서 시로서는 상당히 유익하다.
⊙기자: 그러나 전혀 문제될 것 없는 이 빅딜이 지난 1일의 시행날짜를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소각장 주변 마을주민 120세대가 사전 협의가 없었다며 이 빅딜에 반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광명시는 이 동네 주민들을 위해 마을회관을 지어주는 등 이미 57억원을 들였습니다.
⊙음채련(광명시 소각시설 주민대책 위원): 집값의 하락이라든지 또 거래중단이라든가 이런 등등이 주민들의 경제적인 생활에 상당히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보상차원에서 얘기를...
⊙기자: 늘어만 가는 쓰레기, 그 해결책은 지자체를 통합한 광역적인 쓰레기 처리입니다.
이를 지연시키거나 할 경우 결국 모두의 손해입니다.
KBS뉴스 이미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환경시설 빅딜도 님비 무산
-
- 입력 2000-06-24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지역이기주의가 환경문제 해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광명시가 하수처리장과 쓰레기 소각장을 함께 만들어 사용하기로 한 약속이 주민들의 반대로 실행에 옮겨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취재에 이미경 기자입니다.
⊙기자: 광명시는 지난해 600억원을 들여 하루 3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을 지었습니다.
요즘의 가동률은 40%, 하루 110톤의 쓰레기만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광명시는 가까운 서울 구로구의 쓰레기를 받아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광명시의 하수를 서울시가 처리해 주는 이른바 환경빅딜을 성사시켰습니다.
이로써 광명시는 1600억원이 드는 하수종말 처리장을, 구로구는 400억원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정병무(광명시 사회산업국장): 운영비도 절감이 크게 됩니다.
또 서울시의 쓰레기를 받는 조건으로 우리가 270억원을 받아옵니다.
그래서 시로서는 상당히 유익하다.
⊙기자: 그러나 전혀 문제될 것 없는 이 빅딜이 지난 1일의 시행날짜를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소각장 주변 마을주민 120세대가 사전 협의가 없었다며 이 빅딜에 반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광명시는 이 동네 주민들을 위해 마을회관을 지어주는 등 이미 57억원을 들였습니다.
⊙음채련(광명시 소각시설 주민대책 위원): 집값의 하락이라든지 또 거래중단이라든가 이런 등등이 주민들의 경제적인 생활에 상당히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보상차원에서 얘기를...
⊙기자: 늘어만 가는 쓰레기, 그 해결책은 지자체를 통합한 광역적인 쓰레기 처리입니다.
이를 지연시키거나 할 경우 결국 모두의 손해입니다.
KBS뉴스 이미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