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참한 수해 현장…“다시 시작이다”
입력 2006.07.19 (20:48)
수정 2006.07.19 (20: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비가 그치고 물이 빠져나가면서, 참혹한 수해현장이 그 속살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망연자실한 주민들에게 여기저기서 찾아드는 도움의 손길이 희망의 싹이 되고 있습니다.
임세흠 기자가 현장을 KBS 항공 1호기를 타고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강원도 골짜기, 골짜기마다 성한 곳이 없습니다.
집 아래로 새 강이 생겼습니다.
이 집은 흙에 잠긴 채 지붕만 남았습니다.
망가진 살림살이는 뒤섞여 어지럽게 널렸습니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집 주인은 모래밭 위에서 고개만 떨굽니다.
여전히 거센 물살은 남은 도로마저 앗아갑니다.
고립된 주민에게 향하는 고무보트마저 물살에 떠밀렸습니다.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컨테이너가 옥수수밭 한가운데에 박혔습니다.
경운기도 고꾸라졌습니다.
밭은 채소대신 모래가 차지하고 강은 다시 이 밭을 덮칠 태셉니다.
인삼밭과 비닐하우스는 군데군데 물폭탄을 맞았습니다.
충주댐은 거대한 쓰레기 호수로 변했습니다.
단양특설무대도 마스코트만 간신히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러나 거센 급류도 희망은 꺽지 못 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군인들의 도움에 일상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시작됐습니다.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세우고 세간살이를 씻어내면서 피해 주민들은 다시금 삶의 의지를 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비가 그치고 물이 빠져나가면서, 참혹한 수해현장이 그 속살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망연자실한 주민들에게 여기저기서 찾아드는 도움의 손길이 희망의 싹이 되고 있습니다.
임세흠 기자가 현장을 KBS 항공 1호기를 타고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강원도 골짜기, 골짜기마다 성한 곳이 없습니다.
집 아래로 새 강이 생겼습니다.
이 집은 흙에 잠긴 채 지붕만 남았습니다.
망가진 살림살이는 뒤섞여 어지럽게 널렸습니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집 주인은 모래밭 위에서 고개만 떨굽니다.
여전히 거센 물살은 남은 도로마저 앗아갑니다.
고립된 주민에게 향하는 고무보트마저 물살에 떠밀렸습니다.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컨테이너가 옥수수밭 한가운데에 박혔습니다.
경운기도 고꾸라졌습니다.
밭은 채소대신 모래가 차지하고 강은 다시 이 밭을 덮칠 태셉니다.
인삼밭과 비닐하우스는 군데군데 물폭탄을 맞았습니다.
충주댐은 거대한 쓰레기 호수로 변했습니다.
단양특설무대도 마스코트만 간신히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러나 거센 급류도 희망은 꺽지 못 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군인들의 도움에 일상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시작됐습니다.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세우고 세간살이를 씻어내면서 피해 주민들은 다시금 삶의 의지를 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처참한 수해 현장…“다시 시작이다”
-
- 입력 2006-07-19 20:06:27
- 수정2006-07-19 20:50:50

<앵커 멘트>
비가 그치고 물이 빠져나가면서, 참혹한 수해현장이 그 속살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망연자실한 주민들에게 여기저기서 찾아드는 도움의 손길이 희망의 싹이 되고 있습니다.
임세흠 기자가 현장을 KBS 항공 1호기를 타고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강원도 골짜기, 골짜기마다 성한 곳이 없습니다.
집 아래로 새 강이 생겼습니다.
이 집은 흙에 잠긴 채 지붕만 남았습니다.
망가진 살림살이는 뒤섞여 어지럽게 널렸습니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집 주인은 모래밭 위에서 고개만 떨굽니다.
여전히 거센 물살은 남은 도로마저 앗아갑니다.
고립된 주민에게 향하는 고무보트마저 물살에 떠밀렸습니다.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컨테이너가 옥수수밭 한가운데에 박혔습니다.
경운기도 고꾸라졌습니다.
밭은 채소대신 모래가 차지하고 강은 다시 이 밭을 덮칠 태셉니다.
인삼밭과 비닐하우스는 군데군데 물폭탄을 맞았습니다.
충주댐은 거대한 쓰레기 호수로 변했습니다.
단양특설무대도 마스코트만 간신히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러나 거센 급류도 희망은 꺽지 못 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군인들의 도움에 일상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시작됐습니다.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세우고 세간살이를 씻어내면서 피해 주민들은 다시금 삶의 의지를 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
-
임세흠 기자 hm21@kbs.co.kr
임세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장마 · 호우_2006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