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열치열’ 열대야 이기는 방법

입력 2006.07.31 (22:14) 수정 2006.07.31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열대야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건강을 잃기 쉬운 시기 어떻게 이겨내야 할지 이하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가 졌지만 낮 동안의 열기는 식을 줄을 모릅니다.

조금이나마 시원함을 느껴볼까 시민들은 아예 저녁거리를 싸들고 물가로 나왔습니다.

<인터뷰> 한용운 (대구시 이곡동): "집은 너무 더워서 가족들과 식사하러 밖에 나왔다."

초저녁이 돼도 채 식지 않은 낮의 열기는 밤에도 열대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대구지역의 아침 최저기온은 25도, 내일도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열대야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열대야는 이번 주 내내 계속돼 당분간 잠 못 이루는 밤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열대야에는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고 몸이 뻐근한 열대야 증후군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이런 증상을 계속 방치할 경우 몸에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범 (교수/경북대병원 가정의학과): "저녁을 가볍게 먹고 운동을 해 땀을 뺀 다음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한 뒤 쥬스를 마시면 좋다."

특히, 냉방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덥다고 냉수욕을 계속하는 것은 열대야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열치열, 더위를 피하지 말고 맞서는 것이 건강하게 열대야를 이겨나가는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KBS뉴스 이하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열치열’ 열대야 이기는 방법
    • 입력 2006-07-31 21:07:51
    • 수정2006-07-31 22:17:58
    뉴스 9
<앵커 멘트> 열대야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건강을 잃기 쉬운 시기 어떻게 이겨내야 할지 이하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가 졌지만 낮 동안의 열기는 식을 줄을 모릅니다. 조금이나마 시원함을 느껴볼까 시민들은 아예 저녁거리를 싸들고 물가로 나왔습니다. <인터뷰> 한용운 (대구시 이곡동): "집은 너무 더워서 가족들과 식사하러 밖에 나왔다." 초저녁이 돼도 채 식지 않은 낮의 열기는 밤에도 열대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대구지역의 아침 최저기온은 25도, 내일도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열대야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열대야는 이번 주 내내 계속돼 당분간 잠 못 이루는 밤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열대야에는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고 몸이 뻐근한 열대야 증후군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이런 증상을 계속 방치할 경우 몸에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범 (교수/경북대병원 가정의학과): "저녁을 가볍게 먹고 운동을 해 땀을 뺀 다음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한 뒤 쥬스를 마시면 좋다." 특히, 냉방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덥다고 냉수욕을 계속하는 것은 열대야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열치열, 더위를 피하지 말고 맞서는 것이 건강하게 열대야를 이겨나가는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KBS뉴스 이하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