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과제

입력 2006.09.04 (07:54) 수정 2006.09.05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상현 연세대 교수/객원 해설위원]

어제 그러니까 9월 3일은 방송의 날입니다. 국제 무선 위원회로부터 독자적인 호출 부호 HL을 부여받은 날입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9월 3일을 ‘방송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방송은 정치적 격랑과 역사의 질곡 속에서도 나름대로 눈부신 발전을 계속해 왔습니다. 라디오로 시작된 우리 방송은 1960~70년대의 흑백TV 시대와 80년대의 칼라TV 시대를 거쳐 2000년대에는 디지털방송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의 방송 환경은 크게 달라지고 있습니다. 방송의 디지털화와 그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 현상이 변화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과거 몇 안 되던 방송 채널의 수도 이제는 수백 개로 늘어났습니다. 여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데이터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방송망을 통해 전화를 하거나, 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볼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방송과 통신이 점차 하나로 되면서 그 경계가 아주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방송의 디지털화나 방송통신 융합이 주는 혜택을 모든 국민이 누리고 있는 상태는 아닙니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제도적으로는 아직 불완전한 데가 많습니다. KBS와 같은 지상파 방송의 경우,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함께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수상기 가격이나 열악한 수신 환경, 그리고 HD콘텐츠의 부족 등으로 인해 시청자들은 디지털화의 이점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넷망을 통한 다채널 서비스인 IPTV를 놓고 방송과 통신 사업자들은 물론 규제 기관들 사이에서도 서로 “방송이다”, “통신이다”라고 줄다리기를 하면서 시간만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기관 사이의 갈등과 관할권 싸움으로 인해, 이미 기술적으로 가능한 융합 서비스를 시청자들이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마저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난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가 발족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시청자가 디지털화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달에 디지털방송활성화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들 위원회의 활동이 특정 사업자나 규제기관을 위한 또다른 힘겨루기 장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시청자인 국민에게 어떤 혜택을 줄 것인가가 모든 활동과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미래에도 방송의 주인은 시청자인 국민이기 때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과제
    • 입력 2006-09-04 07:44:59
    • 수정2006-09-05 07:54:11
    뉴스광장
[강상현 연세대 교수/객원 해설위원] 어제 그러니까 9월 3일은 방송의 날입니다. 국제 무선 위원회로부터 독자적인 호출 부호 HL을 부여받은 날입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9월 3일을 ‘방송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방송은 정치적 격랑과 역사의 질곡 속에서도 나름대로 눈부신 발전을 계속해 왔습니다. 라디오로 시작된 우리 방송은 1960~70년대의 흑백TV 시대와 80년대의 칼라TV 시대를 거쳐 2000년대에는 디지털방송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의 방송 환경은 크게 달라지고 있습니다. 방송의 디지털화와 그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 현상이 변화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과거 몇 안 되던 방송 채널의 수도 이제는 수백 개로 늘어났습니다. 여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데이터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방송망을 통해 전화를 하거나, 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볼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방송과 통신이 점차 하나로 되면서 그 경계가 아주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방송의 디지털화나 방송통신 융합이 주는 혜택을 모든 국민이 누리고 있는 상태는 아닙니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제도적으로는 아직 불완전한 데가 많습니다. KBS와 같은 지상파 방송의 경우,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함께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수상기 가격이나 열악한 수신 환경, 그리고 HD콘텐츠의 부족 등으로 인해 시청자들은 디지털화의 이점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넷망을 통한 다채널 서비스인 IPTV를 놓고 방송과 통신 사업자들은 물론 규제 기관들 사이에서도 서로 “방송이다”, “통신이다”라고 줄다리기를 하면서 시간만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기관 사이의 갈등과 관할권 싸움으로 인해, 이미 기술적으로 가능한 융합 서비스를 시청자들이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마저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난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가 발족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시청자가 디지털화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달에 디지털방송활성화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들 위원회의 활동이 특정 사업자나 규제기관을 위한 또다른 힘겨루기 장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시청자인 국민에게 어떤 혜택을 줄 것인가가 모든 활동과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미래에도 방송의 주인은 시청자인 국민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