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노무현 대통령이 최근 기자실 통폐합에 대한 언론 보도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언론이 계속 특권을 주장하면 아예 기사 송고실을 없앨 용의도 있음을 밝혔습니다
기자들과 토론할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김도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무현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언론의 기자실 문제 보도가 비양심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각국의 객관적 실태를 알리지 않고 진실을 회피하고 숨긴다는 것입니다.
정치권이 표를 의식해 동조하고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녹취> 천호선(청와대 대변인) : "일부 정당과 정치인들이 언론의 잘못된 견해에 동조하거나 영합하여 국가기관의 폐지까지 주장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노 대통령은 그러면서 언론이 계속 터무니 없는 특권을 주장하면 정부도 원리원칙대로 할 용의가 있다고 어조를 높였습니다.
한꺼번에 바뀌면 불편할까봐 브리핑실 외에 송고실을 제공하려는 건데, 기자들이 앉아있을 송고실도 없애겠다는 뜻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국민들 앞에서 토론할 용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대통령의 언론관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면서 더이상 언론 탄압을 개혁이라고 호도하지 말라고 비난했습니다.
열린우리당도 토론을 하자면서 더 강도높은 주장을 하는 건 새로운 오해를 만들 수 있어 적절치 않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최근 기자실 통폐합에 대한 언론 보도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언론이 계속 특권을 주장하면 아예 기사 송고실을 없앨 용의도 있음을 밝혔습니다
기자들과 토론할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김도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무현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언론의 기자실 문제 보도가 비양심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각국의 객관적 실태를 알리지 않고 진실을 회피하고 숨긴다는 것입니다.
정치권이 표를 의식해 동조하고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녹취> 천호선(청와대 대변인) : "일부 정당과 정치인들이 언론의 잘못된 견해에 동조하거나 영합하여 국가기관의 폐지까지 주장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노 대통령은 그러면서 언론이 계속 터무니 없는 특권을 주장하면 정부도 원리원칙대로 할 용의가 있다고 어조를 높였습니다.
한꺼번에 바뀌면 불편할까봐 브리핑실 외에 송고실을 제공하려는 건데, 기자들이 앉아있을 송고실도 없애겠다는 뜻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국민들 앞에서 토론할 용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대통령의 언론관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면서 더이상 언론 탄압을 개혁이라고 호도하지 말라고 비난했습니다.
열린우리당도 토론을 하자면서 더 강도높은 주장을 하는 건 새로운 오해를 만들 수 있어 적절치 않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권 주장하면 송고실도 없앤다”
-
- 입력 2007-05-30 07:19:14

<앵커 멘트>
노무현 대통령이 최근 기자실 통폐합에 대한 언론 보도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언론이 계속 특권을 주장하면 아예 기사 송고실을 없앨 용의도 있음을 밝혔습니다
기자들과 토론할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김도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무현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언론의 기자실 문제 보도가 비양심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각국의 객관적 실태를 알리지 않고 진실을 회피하고 숨긴다는 것입니다.
정치권이 표를 의식해 동조하고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녹취> 천호선(청와대 대변인) : "일부 정당과 정치인들이 언론의 잘못된 견해에 동조하거나 영합하여 국가기관의 폐지까지 주장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노 대통령은 그러면서 언론이 계속 터무니 없는 특권을 주장하면 정부도 원리원칙대로 할 용의가 있다고 어조를 높였습니다.
한꺼번에 바뀌면 불편할까봐 브리핑실 외에 송고실을 제공하려는 건데, 기자들이 앉아있을 송고실도 없애겠다는 뜻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국민들 앞에서 토론할 용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대통령의 언론관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면서 더이상 언론 탄압을 개혁이라고 호도하지 말라고 비난했습니다.
열린우리당도 토론을 하자면서 더 강도높은 주장을 하는 건 새로운 오해를 만들 수 있어 적절치 않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
-
김도엽 기자 yop21@kbs.co.kr
김도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