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담배꽁초 버리지 마세요”

입력 2007.06.17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1년 가까이 담배꽁초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자치단체가 있습니다.

시민들과 단속반사이의 마찰도 끊이지 않는다는데요.

경기도 파주시의 단속현장에 이동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

경기도 파주시의 번화가. 담배를 피운 뒤 길거리에 버린 40대 남성이 단속반에 포착됐습니다.

그러나 버리지 않았다고 버티길 30여분.

<녹취> 담배꽁초 투기자 : "왜 이렇게 어려운 사람만 잡고 이래요? 내가 버렸다는 증거를 보여줘요."

다른 도시에서는 괜찮은 데 왜 유독 파주시만 유난을 떠냐며 거칠게 항의 합니다.

막무가내로 신분증 제시를 거부하다 이내 도망치듯 사라집니다.

<녹취> "아! 그러면 마음대로 해봐요.무슨 헌법에 있는 것도 아니고. (차번호 조회해서 신분 알아내)"

꽁초 단속은 밤이라고 예외가 아닙니다.

적발된 한 20대 남성이 5만원이 부과된 과태료 통지서를 낚아채 땅바닥에다 내동댕이칩니다.

<녹취> "내일도 나와서 또 단속 해봐."

단속 현장에서 공무원과 몸싸움을 하던 이 남성은 경찰서에 와서도 여전히 소란입니다.

<녹취> "나 갈테니 차비 줘 봐~"

파주시는 전국 처음으로 지난해 8월부터 전체 공무원 천여명 가운데 600여명을 담배 꽁초 단속에 투입했습니다.

그동안 적발된 투기자가 3천여 명에 부과한 과태료가 1억6천여만 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황이헌(파주시청 청소과) : "아직 현장에서 이해를 못하는 시민들이 많아 위해를 당하기도 한다."

파주시의 적극적인 담배 꽁초 단속은 전국 40여개 자치단체가 벤치 마킹 할 정도로 획기적인 시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파주시 “담배꽁초 버리지 마세요”
    • 입력 2007-06-17 21:24:23
    뉴스 9
<앵커 멘트> 1년 가까이 담배꽁초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자치단체가 있습니다. 시민들과 단속반사이의 마찰도 끊이지 않는다는데요. 경기도 파주시의 단속현장에 이동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 경기도 파주시의 번화가. 담배를 피운 뒤 길거리에 버린 40대 남성이 단속반에 포착됐습니다. 그러나 버리지 않았다고 버티길 30여분. <녹취> 담배꽁초 투기자 : "왜 이렇게 어려운 사람만 잡고 이래요? 내가 버렸다는 증거를 보여줘요." 다른 도시에서는 괜찮은 데 왜 유독 파주시만 유난을 떠냐며 거칠게 항의 합니다. 막무가내로 신분증 제시를 거부하다 이내 도망치듯 사라집니다. <녹취> "아! 그러면 마음대로 해봐요.무슨 헌법에 있는 것도 아니고. (차번호 조회해서 신분 알아내)" 꽁초 단속은 밤이라고 예외가 아닙니다. 적발된 한 20대 남성이 5만원이 부과된 과태료 통지서를 낚아채 땅바닥에다 내동댕이칩니다. <녹취> "내일도 나와서 또 단속 해봐." 단속 현장에서 공무원과 몸싸움을 하던 이 남성은 경찰서에 와서도 여전히 소란입니다. <녹취> "나 갈테니 차비 줘 봐~" 파주시는 전국 처음으로 지난해 8월부터 전체 공무원 천여명 가운데 600여명을 담배 꽁초 단속에 투입했습니다. 그동안 적발된 투기자가 3천여 명에 부과한 과태료가 1억6천여만 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황이헌(파주시청 청소과) : "아직 현장에서 이해를 못하는 시민들이 많아 위해를 당하기도 한다." 파주시의 적극적인 담배 꽁초 단속은 전국 40여개 자치단체가 벤치 마킹 할 정도로 획기적인 시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