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공시가 ‘강북 ↑ 버블세븐 ↓’
입력 2008.04.29 (22:07)
수정 2008.04.29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보유세 부과 기준이 되는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됐습니다.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은 지난해보다 내렸고 최근 집값이 들썩인 서울 강북지역등은 상대적으로 올랐습니다.
김나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 전국 공동주택 933만호의 공시가격 인상률은 평균 2.4%
지난해 22.7%에 비하면 상당히 둔화된 수칩니다.
시도별로는 개발붐이 일고 있는 인천이 14.4%로 가장 많이 올랐고 울산과 전남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구와 대전, 경기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내렸습니다.
수도권에선 지난해 집값이 하락세를 보인 서울 강남과 경기도 분당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의 공시가격이 모두 떨어졌습니다.
반면 서울 강북 지역은 모두 10%대 인상률을 보였고, 시흥과 의정부 등 경기 일부 지역의 인상폭도 컸습니다.
<인터뷰> 이명노(국토해양부 토지정책관) :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뉴타운 등 도시 재생사업,광역교통망 구축, 엑스포 유치 등 지역개발 호재 영향으로 저가 소형주택의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서울 목동 1단지 99㎡ 공시가격은 7억 천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4.7% 떨어진 반면, 서울 상계동 주공 12단지 41㎡는 무려 25%나 올랐습니다.
이와 함께 재개발 기대감이 큰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4.3%가 올랐습니다.
이번 공시가격은 내일부터 국토부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고 이의신청 과정을 거친 뒤 오는 6월 30일 재조정 여부가 결정됩니다.
KBS 뉴스 김나미입니다.
보유세 부과 기준이 되는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됐습니다.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은 지난해보다 내렸고 최근 집값이 들썩인 서울 강북지역등은 상대적으로 올랐습니다.
김나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 전국 공동주택 933만호의 공시가격 인상률은 평균 2.4%
지난해 22.7%에 비하면 상당히 둔화된 수칩니다.
시도별로는 개발붐이 일고 있는 인천이 14.4%로 가장 많이 올랐고 울산과 전남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구와 대전, 경기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내렸습니다.
수도권에선 지난해 집값이 하락세를 보인 서울 강남과 경기도 분당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의 공시가격이 모두 떨어졌습니다.
반면 서울 강북 지역은 모두 10%대 인상률을 보였고, 시흥과 의정부 등 경기 일부 지역의 인상폭도 컸습니다.
<인터뷰> 이명노(국토해양부 토지정책관) :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뉴타운 등 도시 재생사업,광역교통망 구축, 엑스포 유치 등 지역개발 호재 영향으로 저가 소형주택의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서울 목동 1단지 99㎡ 공시가격은 7억 천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4.7% 떨어진 반면, 서울 상계동 주공 12단지 41㎡는 무려 25%나 올랐습니다.
이와 함께 재개발 기대감이 큰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4.3%가 올랐습니다.
이번 공시가격은 내일부터 국토부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고 이의신청 과정을 거친 뒤 오는 6월 30일 재조정 여부가 결정됩니다.
KBS 뉴스 김나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동주택 공시가 ‘강북 ↑ 버블세븐 ↓’
-
- 입력 2008-04-29 21:02:49
- 수정2008-04-29 22:16:02

<앵커 멘트>
보유세 부과 기준이 되는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됐습니다.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은 지난해보다 내렸고 최근 집값이 들썩인 서울 강북지역등은 상대적으로 올랐습니다.
김나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 전국 공동주택 933만호의 공시가격 인상률은 평균 2.4%
지난해 22.7%에 비하면 상당히 둔화된 수칩니다.
시도별로는 개발붐이 일고 있는 인천이 14.4%로 가장 많이 올랐고 울산과 전남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구와 대전, 경기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내렸습니다.
수도권에선 지난해 집값이 하락세를 보인 서울 강남과 경기도 분당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의 공시가격이 모두 떨어졌습니다.
반면 서울 강북 지역은 모두 10%대 인상률을 보였고, 시흥과 의정부 등 경기 일부 지역의 인상폭도 컸습니다.
<인터뷰> 이명노(국토해양부 토지정책관) :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뉴타운 등 도시 재생사업,광역교통망 구축, 엑스포 유치 등 지역개발 호재 영향으로 저가 소형주택의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서울 목동 1단지 99㎡ 공시가격은 7억 천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4.7% 떨어진 반면, 서울 상계동 주공 12단지 41㎡는 무려 25%나 올랐습니다.
이와 함께 재개발 기대감이 큰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4.3%가 올랐습니다.
이번 공시가격은 내일부터 국토부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고 이의신청 과정을 거친 뒤 오는 6월 30일 재조정 여부가 결정됩니다.
KBS 뉴스 김나미입니다.
-
-
김나미 기자 nami@kbs.co.kr
김나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