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물갈등 ‘위기일발’

입력 2008.07.21 (0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메마른 땅 중앙아시아에서 물로 인한 분쟁과 갈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강 상류지역과 하류지역 국가 간의 갈등이 자칫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음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김태욱 순회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카자흐스탄의 곡창지대 끄즐오르다.

벼가 한창 자랄 시기지만 농민들은 가뭄 때문에 울상입니다.

<인터뷰>티무르 벡(농민): "8일째 물을 공급하고 있는데 벼가 자라지 않고 죽고 있습니다."

지하수에 염분이 많아 벼농사를 포기한 농경지는 급속히 소금사막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카자흐스탄의 젖줄인 시르다리야 강의 수위가 줄어들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메마른 중앙아시아에 최대 물 공급원은 두개의 하천.

그러나 강 상류지역 국가들이 수력발전을 위해 물을 가두면서 하류지역의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선 가뭄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강 상류지역의 타지키스탄에는 강폭이 좁아지는 곳이면 어김없이 크고 작은 댐들이 물길을 막고 있습니다.

심각한 전력부족 때문입니다.

<인터뷰>풀로드 무히디노프(타지키스탄 에너지산업부 차관): "우리는 물 공급을 막으려고 하는 게 아니라 전력생산을 위해 막고 있는 것입니다."

시도때도 없이 되풀이되는 단전과 단수 때문에 가정 집에선 변변한 가전제품 하나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단전이 되면 공장들도 문을 닫을 수밖에 없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상류지역 국가들로선 하류지역의 가뭄까지 생각할 여력이 없습니다.

이처럼 중앙아시아에서 물 문제로 인한 갈등이 불거진 건 지난 1991년 옛소련이 붕괴된 뒤부터입니다.

수자원과 전력 생산의 지역간 불균형을 통합관리하던 시스템이 사라진 뒤 각각의 독립국들이 그동안 자국의 이익에만 매달려 온 결과입니다.

상류지역 국가들은 강물이 공동의 자산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하류지역 국가들은 전력부족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면서 갈등은 더욱 커져가고 있습니다.

옛 소련이 붕괴하면서 독립국으로 흩어진 지 17년.

물 갈등은 중앙아시아의 혼란을 부추길 수 있는 최대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습니다.

두샨베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앙아시아 물갈등 ‘위기일발’
    • 입력 2008-07-21 06:31:48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메마른 땅 중앙아시아에서 물로 인한 분쟁과 갈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강 상류지역과 하류지역 국가 간의 갈등이 자칫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음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김태욱 순회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카자흐스탄의 곡창지대 끄즐오르다. 벼가 한창 자랄 시기지만 농민들은 가뭄 때문에 울상입니다. <인터뷰>티무르 벡(농민): "8일째 물을 공급하고 있는데 벼가 자라지 않고 죽고 있습니다." 지하수에 염분이 많아 벼농사를 포기한 농경지는 급속히 소금사막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카자흐스탄의 젖줄인 시르다리야 강의 수위가 줄어들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메마른 중앙아시아에 최대 물 공급원은 두개의 하천. 그러나 강 상류지역 국가들이 수력발전을 위해 물을 가두면서 하류지역의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선 가뭄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강 상류지역의 타지키스탄에는 강폭이 좁아지는 곳이면 어김없이 크고 작은 댐들이 물길을 막고 있습니다. 심각한 전력부족 때문입니다. <인터뷰>풀로드 무히디노프(타지키스탄 에너지산업부 차관): "우리는 물 공급을 막으려고 하는 게 아니라 전력생산을 위해 막고 있는 것입니다." 시도때도 없이 되풀이되는 단전과 단수 때문에 가정 집에선 변변한 가전제품 하나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단전이 되면 공장들도 문을 닫을 수밖에 없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상류지역 국가들로선 하류지역의 가뭄까지 생각할 여력이 없습니다. 이처럼 중앙아시아에서 물 문제로 인한 갈등이 불거진 건 지난 1991년 옛소련이 붕괴된 뒤부터입니다. 수자원과 전력 생산의 지역간 불균형을 통합관리하던 시스템이 사라진 뒤 각각의 독립국들이 그동안 자국의 이익에만 매달려 온 결과입니다. 상류지역 국가들은 강물이 공동의 자산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하류지역 국가들은 전력부족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면서 갈등은 더욱 커져가고 있습니다. 옛 소련이 붕괴하면서 독립국으로 흩어진 지 17년. 물 갈등은 중앙아시아의 혼란을 부추길 수 있는 최대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습니다. 두샨베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