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DDoS 공격 ‘늑장 대응’ 논란

입력 2009.07.08 (14: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 등 주요 정부기관 사이트와 일부 포털 등이 7일 저녁부터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받아 접속 장애가 일어난 것과 관련해 통신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와 산하 정보보호진흥원의 무책임한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방통위는 사건 발생 후 6시간이 지나도록 대국민 경보 발령을 미룬 것은 물론 DDoS 공격에 대한 뚜렷한 대응책도 내놓지 못해 다음날인 8일 오전까지 청와대 사이트 등이 불통되는 등 혼란이 계속됐다.
방통위 발표 등에 따르면 방통위는 7일 오후 6시40분께 DDoS 공격 관련 사실을 인지하고 국가사이버안전센터.한국정보보호진흥원 등와 함께 DDoS 공격 시스템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이어 오후 7시가 지나자 청와대, 한나라당, 외교통상부 등 공공사이트는 물론 네이버의 이메일, 옥션, 조선닷컴, 신한은행 등 민간기관의 사이트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접속이 안 되거나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방통위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와 함께 저녁 9시를 기점으로 비상체제에 들어갔지만 정작 다음날 오전 1시 30분께가 돼서야 5단계의 인터넷 침해사고 경보단계 중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
자정이 지난 시각에 '주의' 경보가 발령되면서 실질적으로는 다음날 오전까지 PC 사용자들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고 결국 밤새 꺼져 있던 감염 PC 들이 출근 등으로 다시 켜지면서 이날 오전까지 청와대 등 공격대상 사이트 등이 불통 사태를 겪었다.
DDoS 공격 사실을 인지하고 곧바로 대국민 경보에 들어가 이를 알렸다면 다음날까지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황철증 방통위 네트워크국장은 "어젯밤 10시께부터 감염 PC들의 공격에 대해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에 모니터링 강화를 요청했다"면서 "오늘 오전 1시30분께 상황 심각성을 인지하고 실무회의를 개최한 결과 대국민 경보를 발령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또 DDoS 공격 대응책과 관련해서도 ISP나 개인 PC 사용자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뚜렷한 대응책도 내놓지 못하는 등 무책임한 모습을 보였다.
DDoS 공격 대응책과 관련해 황 국장은 "청와대나 국방부 등은 국가사이버안전센터와 행정안전부 책임이라 (대응책을) 말하기 어렵다"면서 "PC가 기업용이면 기업 전산실에서 대응하고 개인 PC의 경우 (백신프로그램 등)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업데이트가 (안돼 대응하기) 힘들다.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 PC 사용자들에게 문제가 있고 이에 대해 정부가 뚜렷이 대응할만한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1만8천여대 이상으로 알려진 감염 PC의 IP를 차단해 피해확산을 막는 방안에 대해서도 "2003년 1.25 대란 직후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 대한 처벌규정을 만들자는 얘기가 많았지만 법제화가 안됐다"면서 "강제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은 없다"고만 말했다.
재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방통위는 손을 놓고 있다.
DDoS를 이용한 공격 재발 가능성에 대해 황 국장은 "가능하다"고 시인하면서도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했다.
또한 수천만명에 이르는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DDoS 공격 대상 사이트 공개조차 거부하면서 "사이트를 공개할 경우 이용자들이 불필요하게 접속해 트래픽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민간 사이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알려지기를 꺼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방통위 산하기관인 정보보호진흥원의 신속한 대응체제 미비도 이번 사태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기관, DDoS 공격 ‘늑장 대응’ 논란
    • 입력 2009-07-08 14:32:40
    연합뉴스
청와대 등 주요 정부기관 사이트와 일부 포털 등이 7일 저녁부터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받아 접속 장애가 일어난 것과 관련해 통신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와 산하 정보보호진흥원의 무책임한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방통위는 사건 발생 후 6시간이 지나도록 대국민 경보 발령을 미룬 것은 물론 DDoS 공격에 대한 뚜렷한 대응책도 내놓지 못해 다음날인 8일 오전까지 청와대 사이트 등이 불통되는 등 혼란이 계속됐다. 방통위 발표 등에 따르면 방통위는 7일 오후 6시40분께 DDoS 공격 관련 사실을 인지하고 국가사이버안전센터.한국정보보호진흥원 등와 함께 DDoS 공격 시스템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이어 오후 7시가 지나자 청와대, 한나라당, 외교통상부 등 공공사이트는 물론 네이버의 이메일, 옥션, 조선닷컴, 신한은행 등 민간기관의 사이트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접속이 안 되거나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방통위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와 함께 저녁 9시를 기점으로 비상체제에 들어갔지만 정작 다음날 오전 1시 30분께가 돼서야 5단계의 인터넷 침해사고 경보단계 중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 자정이 지난 시각에 '주의' 경보가 발령되면서 실질적으로는 다음날 오전까지 PC 사용자들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고 결국 밤새 꺼져 있던 감염 PC 들이 출근 등으로 다시 켜지면서 이날 오전까지 청와대 등 공격대상 사이트 등이 불통 사태를 겪었다. DDoS 공격 사실을 인지하고 곧바로 대국민 경보에 들어가 이를 알렸다면 다음날까지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황철증 방통위 네트워크국장은 "어젯밤 10시께부터 감염 PC들의 공격에 대해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에 모니터링 강화를 요청했다"면서 "오늘 오전 1시30분께 상황 심각성을 인지하고 실무회의를 개최한 결과 대국민 경보를 발령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또 DDoS 공격 대응책과 관련해서도 ISP나 개인 PC 사용자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뚜렷한 대응책도 내놓지 못하는 등 무책임한 모습을 보였다. DDoS 공격 대응책과 관련해 황 국장은 "청와대나 국방부 등은 국가사이버안전센터와 행정안전부 책임이라 (대응책을) 말하기 어렵다"면서 "PC가 기업용이면 기업 전산실에서 대응하고 개인 PC의 경우 (백신프로그램 등)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업데이트가 (안돼 대응하기) 힘들다.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 PC 사용자들에게 문제가 있고 이에 대해 정부가 뚜렷이 대응할만한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1만8천여대 이상으로 알려진 감염 PC의 IP를 차단해 피해확산을 막는 방안에 대해서도 "2003년 1.25 대란 직후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 대한 처벌규정을 만들자는 얘기가 많았지만 법제화가 안됐다"면서 "강제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은 없다"고만 말했다. 재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방통위는 손을 놓고 있다. DDoS를 이용한 공격 재발 가능성에 대해 황 국장은 "가능하다"고 시인하면서도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했다. 또한 수천만명에 이르는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DDoS 공격 대상 사이트 공개조차 거부하면서 "사이트를 공개할 경우 이용자들이 불필요하게 접속해 트래픽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민간 사이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알려지기를 꺼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방통위 산하기관인 정보보호진흥원의 신속한 대응체제 미비도 이번 사태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