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주입니다.
과잉 생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 도내 감귤 농가가 올해 20만톤을 감산한다는 목표 아래 오늘부터 낙과 약제 살포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약제 살포현장을 김익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귀포의 한 감귤 밭에 농민과 공무원들이 모였습니다.
약제를 뿌려 감귤 열매를 미리 떨어뜨리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지난 99년부터 시험에 들어갔던 이 감귤 감산방법은 효과가 입증돼 올해 처음으로 전 농가에 보급됐습니다.
풍년이 예상되는 해에는 어린 열매를 따내고 이듬해 결실이 좋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김인배(서귀포시 강정동): 작년, 재작년에 해보니까 좋은 물건 나오고 소비자도 좋아했다.
⊙기자: 약제 살포는 감귤꽃이 활짝 핀 지 20일쯤 지나 섭씨 25도 이상의 맑은 날에 뿌려야 하기 때문에 이런 작업은 다음 달 말까지 계속됩니다.
⊙이중석(서귀포시 감귤 기술담당): 낙엽이 40%까지 질 수가 있습니다.
40% 낙엽이 지더라도 여름 지나는 데 지장이 없기 때문에 걱정을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기자: 올해 제주도 내 감귤생산 예상량은 80만톤.
제주도는 이번 약제 살포로 10만톤을 감산하고 수확 전에 4만톤의 열매를 또 솎아내는 등으로 적정 생산량인 60만톤을 수확할 계획입니다.
KBS뉴스 김익태입니다.
과잉 생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 도내 감귤 농가가 올해 20만톤을 감산한다는 목표 아래 오늘부터 낙과 약제 살포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약제 살포현장을 김익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귀포의 한 감귤 밭에 농민과 공무원들이 모였습니다.
약제를 뿌려 감귤 열매를 미리 떨어뜨리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지난 99년부터 시험에 들어갔던 이 감귤 감산방법은 효과가 입증돼 올해 처음으로 전 농가에 보급됐습니다.
풍년이 예상되는 해에는 어린 열매를 따내고 이듬해 결실이 좋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김인배(서귀포시 강정동): 작년, 재작년에 해보니까 좋은 물건 나오고 소비자도 좋아했다.
⊙기자: 약제 살포는 감귤꽃이 활짝 핀 지 20일쯤 지나 섭씨 25도 이상의 맑은 날에 뿌려야 하기 때문에 이런 작업은 다음 달 말까지 계속됩니다.
⊙이중석(서귀포시 감귤 기술담당): 낙엽이 40%까지 질 수가 있습니다.
40% 낙엽이 지더라도 여름 지나는 데 지장이 없기 때문에 걱정을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기자: 올해 제주도 내 감귤생산 예상량은 80만톤.
제주도는 이번 약제 살포로 10만톤을 감산하고 수확 전에 4만톤의 열매를 또 솎아내는 등으로 적정 생산량인 60만톤을 수확할 계획입니다.
KBS뉴스 김익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감귤감산을 위한 낙과 약제 살포작업
-
- 입력 2001-05-28 19:00:00
⊙앵커: 제주입니다.
과잉 생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 도내 감귤 농가가 올해 20만톤을 감산한다는 목표 아래 오늘부터 낙과 약제 살포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약제 살포현장을 김익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귀포의 한 감귤 밭에 농민과 공무원들이 모였습니다.
약제를 뿌려 감귤 열매를 미리 떨어뜨리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지난 99년부터 시험에 들어갔던 이 감귤 감산방법은 효과가 입증돼 올해 처음으로 전 농가에 보급됐습니다.
풍년이 예상되는 해에는 어린 열매를 따내고 이듬해 결실이 좋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김인배(서귀포시 강정동): 작년, 재작년에 해보니까 좋은 물건 나오고 소비자도 좋아했다.
⊙기자: 약제 살포는 감귤꽃이 활짝 핀 지 20일쯤 지나 섭씨 25도 이상의 맑은 날에 뿌려야 하기 때문에 이런 작업은 다음 달 말까지 계속됩니다.
⊙이중석(서귀포시 감귤 기술담당): 낙엽이 40%까지 질 수가 있습니다.
40% 낙엽이 지더라도 여름 지나는 데 지장이 없기 때문에 걱정을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기자: 올해 제주도 내 감귤생산 예상량은 80만톤.
제주도는 이번 약제 살포로 10만톤을 감산하고 수확 전에 4만톤의 열매를 또 솎아내는 등으로 적정 생산량인 60만톤을 수확할 계획입니다.
KBS뉴스 김익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