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침탈’ 덕수궁 중명전의 부활 첫 공개!

입력 2010.03.01 (22:04) 수정 2010.03.01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치욕의 일제시대. 그 굴곡진 역사를 간직한 덕수궁 중명전이 새로 태어났습니다.

뜻깊은 3.1절, KBS에서 최초 공개합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종 황제의 거처 겸 집무실로 쓰였던 덕수궁 중명전.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한 치욕의 장소이자, 고종이 헤이그 밀사 파견을 위해 이준 열사를 면담했던 뜻 깊은 장소입니다.

일제 강점기 외국인들의 사교장으로 변질된 뒤, 최근까지도 인근 공연장의 주차장으로 방치되면서 대한제국 황실의 위엄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2년 간의 복원 처리를 거친 중명전.

흰 페인트 칠을 말끔히 걷어내고 원래의 붉은 벽돌이 드러났습니다.

막혀 있던 벽도 아치형 회랑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일반 사무실로 쓰였던 방은 조명과 벽난로, 마루 등을 복원해 예전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인터뷰> 김란기(한국역사문화정책연구원장) : "충실히 고증에 의해서 복원한 것이고, 그 자재를 그대로 사용하려고 애 쓴 그런 것이 이번 복원의 특징입니다."

미로처럼 얽힌 지하실은 아직까지도 그 용도가 의문입니다.

흔적만 남은 아궁이와 굴뚝길, 낮고 긴 복도가 이어진 것은 왕의 대피 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제 침탈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의 현장 중명전.

올해 상반기까지 복원을 마치고 잃어버린 제국의 자존심을 되찾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제 침탈’ 덕수궁 중명전의 부활 첫 공개!
    • 입력 2010-03-01 22:04:32
    • 수정2010-03-01 22:08:04
    뉴스 9
<앵커 멘트> 치욕의 일제시대. 그 굴곡진 역사를 간직한 덕수궁 중명전이 새로 태어났습니다. 뜻깊은 3.1절, KBS에서 최초 공개합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종 황제의 거처 겸 집무실로 쓰였던 덕수궁 중명전.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한 치욕의 장소이자, 고종이 헤이그 밀사 파견을 위해 이준 열사를 면담했던 뜻 깊은 장소입니다. 일제 강점기 외국인들의 사교장으로 변질된 뒤, 최근까지도 인근 공연장의 주차장으로 방치되면서 대한제국 황실의 위엄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2년 간의 복원 처리를 거친 중명전. 흰 페인트 칠을 말끔히 걷어내고 원래의 붉은 벽돌이 드러났습니다. 막혀 있던 벽도 아치형 회랑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일반 사무실로 쓰였던 방은 조명과 벽난로, 마루 등을 복원해 예전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인터뷰> 김란기(한국역사문화정책연구원장) : "충실히 고증에 의해서 복원한 것이고, 그 자재를 그대로 사용하려고 애 쓴 그런 것이 이번 복원의 특징입니다." 미로처럼 얽힌 지하실은 아직까지도 그 용도가 의문입니다. 흔적만 남은 아궁이와 굴뚝길, 낮고 긴 복도가 이어진 것은 왕의 대피 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제 침탈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의 현장 중명전. 올해 상반기까지 복원을 마치고 잃어버린 제국의 자존심을 되찾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