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월드컵 유치위원회(위원장 한승주)는 4일 오전 중구 소공동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총회를 열어 국내 유치시 월드컵을 개최할 12개 도시의 14개 경기장을 확정했다.
월드컵 유치위는 조별리그 예선을 치를 개최 도시로 2022년 한.일 월드컵을 치른 경기장을 보유한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전주, 제주 등 10개 도시에 천안, 고양을 추가했다. 서울과 인천은 나란히 2개 경기장을 신청했다.
그러나 애초 개최 도시를 신청했던 15개 도시 중 포항과 청주, 무안 등 3개 도시는 제외됐다.
유치위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국내 개최를 신청한 도시들의 경기장 시설과 교통, 숙박 등 모든 여건에 대한 실사를 토대로 평가단이 자체적으로 결정했다.
월드컵 개막 경기장은 2014년 인천 하계아시안게임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사용할 인천 아시아드 경기장, 결승과 폐회식 경기장은 서울 월드컵경기장으로 각각 정해졌다.
준결승은 부산, 대구에서 치르며 3-4위전과 준준결승, 16강전 및 조별예선은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전주, 제주, 천안, 고양, 인천(문학경기장), 서울(잠실종합운동장)에서 각각 개최하기로 했다.
개회식과 폐회식, 결승 경기는 관중 8만명 이상을 수용해야 하며 준결승은 6만, 조별리그 경기장은 4만명 수용 조건을 각각 충족해야 한다.
유치위는 선정 이유로 "인천 아시아드경기장과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주경기장이었던 잠실종합운동장을 리모델링해 활용하기로 하는 한편 고양종합운동장과 천안시종합운동장을 활용함으로써 신축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월드컵경기장은 4강 신화를 창조했던 상징적인 의미를 고려해 폐회식과 결승 경기 장소로 낙점했다.
유치위는 오는 5월14일까지 국제축구연맹(FIFA)에 정부 보증서를 첨부한 유치 신청서를 낼 계획이다.
한편 지금까지 스페인-포르투갈, 네덜란드-벨기에(이상 공동), 잉글랜드, 러시아, 호주,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가 2018년 월드컵과 2022년 월드컵 중 하나를 유치하겠다고 신청했고 한국은 카타르와 함께 2022년 대회에만 유치 신청서를 냈다.
FIFA는 12월2일 취리히 FIFA 본부에서 열릴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집행위원 24명의 비밀투표로 2018년 개최지와 2022년 개최지를 동시에 결정하는 데 2018년 대회는 유럽, 2022년 대회 아시아에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정몽준 FIFA 부회장이 같은 FIFA 집행위원인 미셸 플라티니 유럽축구연맹(UEFA) 회장과 모하메드 빈 함맘 아시아축구연맹(AFC) 회장, 앙헬 마리아 비야르 스페인축구협회장 등을 국내로 초청하는 등 같은 아시아권의 일본, 카타르, 호주보다 활발한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22년 월드컵 유치위, 개최도시 확정
-
- 입력 2010-03-04 13:43:16
2022 월드컵 유치위원회(위원장 한승주)는 4일 오전 중구 소공동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총회를 열어 국내 유치시 월드컵을 개최할 12개 도시의 14개 경기장을 확정했다.
월드컵 유치위는 조별리그 예선을 치를 개최 도시로 2022년 한.일 월드컵을 치른 경기장을 보유한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전주, 제주 등 10개 도시에 천안, 고양을 추가했다. 서울과 인천은 나란히 2개 경기장을 신청했다.
그러나 애초 개최 도시를 신청했던 15개 도시 중 포항과 청주, 무안 등 3개 도시는 제외됐다.
유치위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국내 개최를 신청한 도시들의 경기장 시설과 교통, 숙박 등 모든 여건에 대한 실사를 토대로 평가단이 자체적으로 결정했다.
월드컵 개막 경기장은 2014년 인천 하계아시안게임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사용할 인천 아시아드 경기장, 결승과 폐회식 경기장은 서울 월드컵경기장으로 각각 정해졌다.
준결승은 부산, 대구에서 치르며 3-4위전과 준준결승, 16강전 및 조별예선은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전주, 제주, 천안, 고양, 인천(문학경기장), 서울(잠실종합운동장)에서 각각 개최하기로 했다.
개회식과 폐회식, 결승 경기는 관중 8만명 이상을 수용해야 하며 준결승은 6만, 조별리그 경기장은 4만명 수용 조건을 각각 충족해야 한다.
유치위는 선정 이유로 "인천 아시아드경기장과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주경기장이었던 잠실종합운동장을 리모델링해 활용하기로 하는 한편 고양종합운동장과 천안시종합운동장을 활용함으로써 신축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월드컵경기장은 4강 신화를 창조했던 상징적인 의미를 고려해 폐회식과 결승 경기 장소로 낙점했다.
유치위는 오는 5월14일까지 국제축구연맹(FIFA)에 정부 보증서를 첨부한 유치 신청서를 낼 계획이다.
한편 지금까지 스페인-포르투갈, 네덜란드-벨기에(이상 공동), 잉글랜드, 러시아, 호주,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가 2018년 월드컵과 2022년 월드컵 중 하나를 유치하겠다고 신청했고 한국은 카타르와 함께 2022년 대회에만 유치 신청서를 냈다.
FIFA는 12월2일 취리히 FIFA 본부에서 열릴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집행위원 24명의 비밀투표로 2018년 개최지와 2022년 개최지를 동시에 결정하는 데 2018년 대회는 유럽, 2022년 대회 아시아에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정몽준 FIFA 부회장이 같은 FIFA 집행위원인 미셸 플라티니 유럽축구연맹(UEFA) 회장과 모하메드 빈 함맘 아시아축구연맹(AFC) 회장, 앙헬 마리아 비야르 스페인축구협회장 등을 국내로 초청하는 등 같은 아시아권의 일본, 카타르, 호주보다 활발한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2010 남아공월드컵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