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입학사정관제 부정의혹’ 내사 종결
입력 2010.03.04 (16:13)
수정 2010.03.04 (19: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일부 수험생이 조작한 서류를 대학에 제출했다는 의혹을 밝히려던 경찰 수사가 소문만 무성하게 남긴 채 사실상 마무리됐다.
서울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4일 "서류 조작 정황이 의심스러운 학원강사 이모씨를 불러 조사했으나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 다른 특별한 단서가 발견되지 않는 한 수사 진행이 어려운 상태여서 내사 종결한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전날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받은 이씨는 과외를 소개하려고 50여명의 학부모와 수차례 통화는 했어도 전형 서류를 조작하거나 불법 거래한 적은 없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이씨는 50여명 중 상당수에 대해 모르는 이름이고 기억이 나지 않으며 과외 중개를 하려고 통화했다고 일관되게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앞서 이씨의 6개월치 통화 기록을 분석해 고2, 고3, 재수생 자녀를 둔 학부모 54명을 추려내고 이들이 서류 조작을 의뢰했는지 조사했으나 별다른 혐의점을 찾지 못했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시행하는 전국 76개 대학에서 이들의 응시 여부와 제출 서류 등에 대한 자료를 건네받아 조사했으나 별다른 성과없이 끝났다.
감사원은 작년 하반기 입학사정관제 등 교육 여건 개선 대책에 대해 감사를 실시했으며, 조만간 감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입시학원가에서는 수험생의 대입전형 서류 조작이 실제 이뤄지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해 경찰이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눈치를 보며 두달 만에 서둘러 사건을 마무리하려 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교과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는 입학사정관제도가 현 정부의 핵심 입시제도인데 이 문제로 제도 자체가 훼손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서울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4일 "서류 조작 정황이 의심스러운 학원강사 이모씨를 불러 조사했으나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 다른 특별한 단서가 발견되지 않는 한 수사 진행이 어려운 상태여서 내사 종결한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전날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받은 이씨는 과외를 소개하려고 50여명의 학부모와 수차례 통화는 했어도 전형 서류를 조작하거나 불법 거래한 적은 없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이씨는 50여명 중 상당수에 대해 모르는 이름이고 기억이 나지 않으며 과외 중개를 하려고 통화했다고 일관되게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앞서 이씨의 6개월치 통화 기록을 분석해 고2, 고3, 재수생 자녀를 둔 학부모 54명을 추려내고 이들이 서류 조작을 의뢰했는지 조사했으나 별다른 혐의점을 찾지 못했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시행하는 전국 76개 대학에서 이들의 응시 여부와 제출 서류 등에 대한 자료를 건네받아 조사했으나 별다른 성과없이 끝났다.
감사원은 작년 하반기 입학사정관제 등 교육 여건 개선 대책에 대해 감사를 실시했으며, 조만간 감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입시학원가에서는 수험생의 대입전형 서류 조작이 실제 이뤄지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해 경찰이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눈치를 보며 두달 만에 서둘러 사건을 마무리하려 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교과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는 입학사정관제도가 현 정부의 핵심 입시제도인데 이 문제로 제도 자체가 훼손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찰, ‘입학사정관제 부정의혹’ 내사 종결
-
- 입력 2010-03-04 16:13:40
- 수정2010-03-04 19:18:03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일부 수험생이 조작한 서류를 대학에 제출했다는 의혹을 밝히려던 경찰 수사가 소문만 무성하게 남긴 채 사실상 마무리됐다.
서울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4일 "서류 조작 정황이 의심스러운 학원강사 이모씨를 불러 조사했으나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 다른 특별한 단서가 발견되지 않는 한 수사 진행이 어려운 상태여서 내사 종결한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전날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받은 이씨는 과외를 소개하려고 50여명의 학부모와 수차례 통화는 했어도 전형 서류를 조작하거나 불법 거래한 적은 없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이씨는 50여명 중 상당수에 대해 모르는 이름이고 기억이 나지 않으며 과외 중개를 하려고 통화했다고 일관되게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앞서 이씨의 6개월치 통화 기록을 분석해 고2, 고3, 재수생 자녀를 둔 학부모 54명을 추려내고 이들이 서류 조작을 의뢰했는지 조사했으나 별다른 혐의점을 찾지 못했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시행하는 전국 76개 대학에서 이들의 응시 여부와 제출 서류 등에 대한 자료를 건네받아 조사했으나 별다른 성과없이 끝났다.
감사원은 작년 하반기 입학사정관제 등 교육 여건 개선 대책에 대해 감사를 실시했으며, 조만간 감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입시학원가에서는 수험생의 대입전형 서류 조작이 실제 이뤄지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해 경찰이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눈치를 보며 두달 만에 서둘러 사건을 마무리하려 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교과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는 입학사정관제도가 현 정부의 핵심 입시제도인데 이 문제로 제도 자체가 훼손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