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안 사각’ 재개발 지역 빈집서 범죄 싹튼다

입력 2010.03.11 (1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여중생 살해 피의자 김길태(33)씨의 은신처가 재개발구역 내 빈집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방치된 채 치안의 사각지대로 변한 재개발지역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부산시내에만 50여곳이 재개발지역으로 지정돼 있으나 건설경기 침체로 개발이 지연돼 슬럼화하면서 김씨와 같은 우범자들이 자주 출몰한다.

인근 주민들은 "방치된 재개발지역의 빈집이 청소년들의 비행장소가 되고 있고 노숙자들이 드나들어 불안하다"며 특별한 방범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현상은 지역을 가릴 것 없이 어느 대도시를 가더라도 구도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33곳이 재개발지역으로 지정돼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광주광역시. 구도심과 가까운 남구 월산동과 동구 학동 재개발지역에는 밤이 되면 도심에 있던 노숙자들과 비행 청소년들이 모여든다.

학동에서는 수년 전 한 달 사이 6건의 방화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집중적인 순찰활동을 벌였다.

경찰 관계자는 "철거 대상 건물을 점검한 결과 마루가 꺼지는 등 매우 위험한 곳도 있었다"며 "정기적으로 순찰하고 있지만, 밤에 몰래 머물다 가는 사람들을 일일이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일대는 2007년 주거환경개선사업 지역으로 선정돼 주민 65%가 이주했지만, 보상이 순조롭지 않아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11일 이 일대를 돌아본 결과 빈집마다 술병이나 부탄가스통이 나뒹굴고 있었고 추위를 피해 불을 피운 흔적도 곳곳에서 발견됐다.

사업 시행자인 LH공사는 "경비업체를 정해 경찰관과 함께 순찰을 하게 하고 있지만 좁은 골목으로 차가 진입할 수 없어 걸어서 돌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주민들은 부산 여중생 이모(13)양이 재개발지역에서 살다 변을 당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순찰 강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경기경찰청 생활안전계 관계자는 "특별순찰을 편성해 별도 관리하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재개발지역 외에 짓다 말고 버려둔 공동주택이나 도심의 빈집도 치안의 손길에서 벗어나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대구 수성구 범어3동 대구지방법원 건너편의 한 민영아파트 건축사업 예정지는 사업추진이 사실상 중단돼 빈집과 사람이 사는 집이 뒤섞여 있다. 100여 가구는 보상을 받고 집을 비웠고 50여 가구는 그대로 살고 있다.

10일 밤 현장을 둘러보니 빈집에는 폐자재와 쓰레기가 수북했고 골목마다 인근 주민들이 세워둔 승용차가 가득했다.

빈집의 벽면에는 '철거'라는 글씨가 붉은 페인트로 적혀 있고 입구에 출입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었지만, 몇몇 집 안에는 가출 청소년과 노숙자로 보이는 사람들이 눈에 띄었다.

주민 박모(44)씨는 "가뜩이나 빈집에서 나는 쓰레기 냄새와 벌레 때문에 견디기 힘든 데다가 부산에서 끔찍한 범죄까지 일어나 불안하다"고 했다.

한편, 경찰청은 부산 여중생 납치살해 사건이 부산 사상구 재개발 현장에서 발생함에 따라 빈집이 많은 전국의 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 방범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대상은 대도시의 대규모 재개발 지역으로 이주 세대가 3분의 1 이상이거나, 재개발 공사가 중단되고 나서 장기간 방치되는 지역이다.

재개발 현장 입구에 초소를 설치해 도보 순찰 위주의 방범 활동을 벌이는 한편, 빈집이나 폐가를 정밀 수색해 도피한 범인의 은신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안 사각’ 재개발 지역 빈집서 범죄 싹튼다
    • 입력 2010-03-11 10:59:33
    연합뉴스
부산 여중생 살해 피의자 김길태(33)씨의 은신처가 재개발구역 내 빈집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방치된 채 치안의 사각지대로 변한 재개발지역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부산시내에만 50여곳이 재개발지역으로 지정돼 있으나 건설경기 침체로 개발이 지연돼 슬럼화하면서 김씨와 같은 우범자들이 자주 출몰한다. 인근 주민들은 "방치된 재개발지역의 빈집이 청소년들의 비행장소가 되고 있고 노숙자들이 드나들어 불안하다"며 특별한 방범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현상은 지역을 가릴 것 없이 어느 대도시를 가더라도 구도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33곳이 재개발지역으로 지정돼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광주광역시. 구도심과 가까운 남구 월산동과 동구 학동 재개발지역에는 밤이 되면 도심에 있던 노숙자들과 비행 청소년들이 모여든다. 학동에서는 수년 전 한 달 사이 6건의 방화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집중적인 순찰활동을 벌였다. 경찰 관계자는 "철거 대상 건물을 점검한 결과 마루가 꺼지는 등 매우 위험한 곳도 있었다"며 "정기적으로 순찰하고 있지만, 밤에 몰래 머물다 가는 사람들을 일일이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일대는 2007년 주거환경개선사업 지역으로 선정돼 주민 65%가 이주했지만, 보상이 순조롭지 않아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11일 이 일대를 돌아본 결과 빈집마다 술병이나 부탄가스통이 나뒹굴고 있었고 추위를 피해 불을 피운 흔적도 곳곳에서 발견됐다. 사업 시행자인 LH공사는 "경비업체를 정해 경찰관과 함께 순찰을 하게 하고 있지만 좁은 골목으로 차가 진입할 수 없어 걸어서 돌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주민들은 부산 여중생 이모(13)양이 재개발지역에서 살다 변을 당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순찰 강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경기경찰청 생활안전계 관계자는 "특별순찰을 편성해 별도 관리하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재개발지역 외에 짓다 말고 버려둔 공동주택이나 도심의 빈집도 치안의 손길에서 벗어나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대구 수성구 범어3동 대구지방법원 건너편의 한 민영아파트 건축사업 예정지는 사업추진이 사실상 중단돼 빈집과 사람이 사는 집이 뒤섞여 있다. 100여 가구는 보상을 받고 집을 비웠고 50여 가구는 그대로 살고 있다. 10일 밤 현장을 둘러보니 빈집에는 폐자재와 쓰레기가 수북했고 골목마다 인근 주민들이 세워둔 승용차가 가득했다. 빈집의 벽면에는 '철거'라는 글씨가 붉은 페인트로 적혀 있고 입구에 출입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었지만, 몇몇 집 안에는 가출 청소년과 노숙자로 보이는 사람들이 눈에 띄었다. 주민 박모(44)씨는 "가뜩이나 빈집에서 나는 쓰레기 냄새와 벌레 때문에 견디기 힘든 데다가 부산에서 끔찍한 범죄까지 일어나 불안하다"고 했다. 한편, 경찰청은 부산 여중생 납치살해 사건이 부산 사상구 재개발 현장에서 발생함에 따라 빈집이 많은 전국의 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 방범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대상은 대도시의 대규모 재개발 지역으로 이주 세대가 3분의 1 이상이거나, 재개발 공사가 중단되고 나서 장기간 방치되는 지역이다. 재개발 현장 입구에 초소를 설치해 도보 순찰 위주의 방범 활동을 벌이는 한편, 빈집이나 폐가를 정밀 수색해 도피한 범인의 은신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