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노동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했던 가운데 제조업과 건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내수 업종의 일자리가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정부 재정 지출이 집중된 공공행정 부문과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 사회적 일자리는 늘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1개 업종의 취업자는 전년 대비 14만5천명이 증가했던 2008년에 견줘 7만2천명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아 전년 대비 12만6천명 줄었고, 이어 숙박 및 음식점업 10만7천명, 건설업 9만1천명, 개인 서비스업 8만6천명, 금융 및 보험업 5만5천명 등 순이었다.
반면 공공행정ㆍ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부문의 취업자는 19만2천명 늘었으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도 15만6천명 증가했다.
내수와 소비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2008년 9월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작년 우리나라도 경기 불황이 본격화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올해 2월 현재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보다 14만2천명 감소하는 등 얼어붙은 고용 상황이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2월보다 17만6천명, 개인 서비스업은 7만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은 6만6천명 줄었다.
노동부 관계자는 "경기에 민감한 내수 업종의 고용 사정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정부 재정 지출이 집중된 공공행정 부문과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 사회적 일자리는 늘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1개 업종의 취업자는 전년 대비 14만5천명이 증가했던 2008년에 견줘 7만2천명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아 전년 대비 12만6천명 줄었고, 이어 숙박 및 음식점업 10만7천명, 건설업 9만1천명, 개인 서비스업 8만6천명, 금융 및 보험업 5만5천명 등 순이었다.
반면 공공행정ㆍ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부문의 취업자는 19만2천명 늘었으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도 15만6천명 증가했다.
내수와 소비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2008년 9월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작년 우리나라도 경기 불황이 본격화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올해 2월 현재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보다 14만2천명 감소하는 등 얼어붙은 고용 상황이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2월보다 17만6천명, 개인 서비스업은 7만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은 6만6천명 줄었다.
노동부 관계자는 "경기에 민감한 내수 업종의 고용 사정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일자리 공공행정 ↑…제조·음식 ↓
-
- 입력 2010-04-08 06:34:36
지난해 국내 노동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했던 가운데 제조업과 건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내수 업종의 일자리가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정부 재정 지출이 집중된 공공행정 부문과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 사회적 일자리는 늘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1개 업종의 취업자는 전년 대비 14만5천명이 증가했던 2008년에 견줘 7만2천명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아 전년 대비 12만6천명 줄었고, 이어 숙박 및 음식점업 10만7천명, 건설업 9만1천명, 개인 서비스업 8만6천명, 금융 및 보험업 5만5천명 등 순이었다.
반면 공공행정ㆍ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부문의 취업자는 19만2천명 늘었으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도 15만6천명 증가했다.
내수와 소비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2008년 9월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작년 우리나라도 경기 불황이 본격화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올해 2월 현재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보다 14만2천명 감소하는 등 얼어붙은 고용 상황이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2월보다 17만6천명, 개인 서비스업은 7만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은 6만6천명 줄었다.
노동부 관계자는 "경기에 민감한 내수 업종의 고용 사정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