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선박 피랍 사건은 해적들에게 인질의 몸값을 주고 해결하는 게 통상적인데, 그 돈의 상당액은 영국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주로, 런던의 전문변호사와 브로커들이 해적과의 협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인데요, 해적들이 기승을 부리면서 때아닌 특수를 누리고 있는 런던, 김태선 특파원을 연결합니다.
<질문1> 해적들에게 지불되는 인질들의 몸값도 상당하죠?
<답변>
네, 그렇습니다.
선박 피랍사건의 대부분은 몸값을 지불하고 해결되는데, 통상 한 건에 3~40억원 가량이 해적들에게 건네진다고 합니다.
연간 합계로는 천 억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고 영국 언론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말씀하신대로 몸값의 상당액은 국제해운과 재보험의 중심지인 런던으로 흘러들어오는데요, 피해선주와 보험사의 의뢰를 받은 런던의 전문변호사,브로커들이 주로 해적과의 협상에 나서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사건을 해결해주는 댓가로 해적과 피해 선주 양쪽으로부터 돈을 받고 있습니다.
요즘은 수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변호사비가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로저 미들턴 (왕립국제문제연구소, 아프리카 담당): "케이스바이 케이스인데요, 요즘은 통상 피랍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와 전문 협상가들에게 각기 수만 파운드씩이 지불되고 있습니다."
<질문2> 해적과 브로커의 유착 등, 특수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면서요?
<답변>
그렇습니다. 런던이 해적의 본부가 되고 있다고 영국 언론들은 꼬집고 있는데요, 일부 브로커들의 경우 소말리아 해적과 공생,유착 관계라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해적들이 선박의 항해 정보 등을 정확히 알고 납치에 나서는 것도, 이들의 도움으로 가능하단 겁니다.
소말리아 해적과의 협상은 아주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는데요, 직접 접촉하는 브로커들의 경우, 신원이 알려지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있었습니다.
해적이 극성을 부리면서, 사설 보안업체도 대목을 만났는데요, 돈을 주고 무장 인력을 배에 동승시키는 선주가 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제대로 지켜주지도 못하면서 돈만 받아 챙기는 사례도 비일비재라고 합니다.
어쨋든 요즘 영국에서, 선박 피랍과 관련된 돈벌이는 비윤리적 비지니스란 비판에도 불구, 어엿한 틈새 산업으로 인정되는 분위깁니다.
지금까지 런던에서 KBS 뉴스 김태선입니다.
선박 피랍 사건은 해적들에게 인질의 몸값을 주고 해결하는 게 통상적인데, 그 돈의 상당액은 영국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주로, 런던의 전문변호사와 브로커들이 해적과의 협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인데요, 해적들이 기승을 부리면서 때아닌 특수를 누리고 있는 런던, 김태선 특파원을 연결합니다.
<질문1> 해적들에게 지불되는 인질들의 몸값도 상당하죠?
<답변>
네, 그렇습니다.
선박 피랍사건의 대부분은 몸값을 지불하고 해결되는데, 통상 한 건에 3~40억원 가량이 해적들에게 건네진다고 합니다.
연간 합계로는 천 억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고 영국 언론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말씀하신대로 몸값의 상당액은 국제해운과 재보험의 중심지인 런던으로 흘러들어오는데요, 피해선주와 보험사의 의뢰를 받은 런던의 전문변호사,브로커들이 주로 해적과의 협상에 나서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사건을 해결해주는 댓가로 해적과 피해 선주 양쪽으로부터 돈을 받고 있습니다.
요즘은 수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변호사비가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로저 미들턴 (왕립국제문제연구소, 아프리카 담당): "케이스바이 케이스인데요, 요즘은 통상 피랍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와 전문 협상가들에게 각기 수만 파운드씩이 지불되고 있습니다."
<질문2> 해적과 브로커의 유착 등, 특수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면서요?
<답변>
그렇습니다. 런던이 해적의 본부가 되고 있다고 영국 언론들은 꼬집고 있는데요, 일부 브로커들의 경우 소말리아 해적과 공생,유착 관계라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해적들이 선박의 항해 정보 등을 정확히 알고 납치에 나서는 것도, 이들의 도움으로 가능하단 겁니다.
소말리아 해적과의 협상은 아주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는데요, 직접 접촉하는 브로커들의 경우, 신원이 알려지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있었습니다.
해적이 극성을 부리면서, 사설 보안업체도 대목을 만났는데요, 돈을 주고 무장 인력을 배에 동승시키는 선주가 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제대로 지켜주지도 못하면서 돈만 받아 챙기는 사례도 비일비재라고 합니다.
어쨋든 요즘 영국에서, 선박 피랍과 관련된 돈벌이는 비윤리적 비지니스란 비판에도 불구, 어엿한 틈새 산업으로 인정되는 분위깁니다.
지금까지 런던에서 KBS 뉴스 김태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의 눈] 런던은 ‘해적 특수’
-
- 입력 2010-04-08 23:26:27

<앵커 멘트>
선박 피랍 사건은 해적들에게 인질의 몸값을 주고 해결하는 게 통상적인데, 그 돈의 상당액은 영국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주로, 런던의 전문변호사와 브로커들이 해적과의 협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인데요, 해적들이 기승을 부리면서 때아닌 특수를 누리고 있는 런던, 김태선 특파원을 연결합니다.
<질문1> 해적들에게 지불되는 인질들의 몸값도 상당하죠?
<답변>
네, 그렇습니다.
선박 피랍사건의 대부분은 몸값을 지불하고 해결되는데, 통상 한 건에 3~40억원 가량이 해적들에게 건네진다고 합니다.
연간 합계로는 천 억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고 영국 언론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말씀하신대로 몸값의 상당액은 국제해운과 재보험의 중심지인 런던으로 흘러들어오는데요, 피해선주와 보험사의 의뢰를 받은 런던의 전문변호사,브로커들이 주로 해적과의 협상에 나서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사건을 해결해주는 댓가로 해적과 피해 선주 양쪽으로부터 돈을 받고 있습니다.
요즘은 수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변호사비가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로저 미들턴 (왕립국제문제연구소, 아프리카 담당): "케이스바이 케이스인데요, 요즘은 통상 피랍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와 전문 협상가들에게 각기 수만 파운드씩이 지불되고 있습니다."
<질문2> 해적과 브로커의 유착 등, 특수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면서요?
<답변>
그렇습니다. 런던이 해적의 본부가 되고 있다고 영국 언론들은 꼬집고 있는데요, 일부 브로커들의 경우 소말리아 해적과 공생,유착 관계라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해적들이 선박의 항해 정보 등을 정확히 알고 납치에 나서는 것도, 이들의 도움으로 가능하단 겁니다.
소말리아 해적과의 협상은 아주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는데요, 직접 접촉하는 브로커들의 경우, 신원이 알려지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있었습니다.
해적이 극성을 부리면서, 사설 보안업체도 대목을 만났는데요, 돈을 주고 무장 인력을 배에 동승시키는 선주가 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제대로 지켜주지도 못하면서 돈만 받아 챙기는 사례도 비일비재라고 합니다.
어쨋든 요즘 영국에서, 선박 피랍과 관련된 돈벌이는 비윤리적 비지니스란 비판에도 불구, 어엿한 틈새 산업으로 인정되는 분위깁니다.
지금까지 런던에서 KBS 뉴스 김태선입니다.
-
-
김태선 기자 tskim0369@gmail.com
김태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