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한국 산악, 도전의 33년 역사
입력 2010.04.28 (08:22) 수정 2010.04.28 (09:35) 뉴스광장
<앵커 멘트>
오은선 대장의 세계 최초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한국 산악은 세계 산악계에 또 한번의 큰 획을 그었습니다.
지난 33년의 한국 산악사는 도전의 역사였습니다.
권재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 산악계에 남긴 한국인의 첫 이정표는 지난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입니다.
세계에서 8번째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한 한국 산악.
도전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허영호는 1987년 에베레스트 최고의 난이도의 겨울 등정에 성공해 한국 산악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엄홍길과 박영석 두 맞수 경쟁은 또 한 번의 신기원으로 이어졌습니다.
아시아 최초의 히말라야 8천미터급 14좌 완등입니다.
특히 2005년 박영석은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7대륙의 최고봉과 남북극을 모두 정복하는 세계 최초의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습니다.
<당시 인터뷰>박영석 : "90이 찍혔다. 서로 부등켜 안고 그랬죠"
한국 산악의 도전은 여성 산악인들이 이어받았습니다.
드디어 오은선 대장이 여성 세계 첫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인터뷰>엄홍길( 산악인) : " 세계 등반사, 한국 산악사에 큰 업적이다"
또 하나의 큰 기념비를 세운 한국 산악의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KBS 뉴스 권재민입니다.
오은선 대장의 세계 최초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한국 산악은 세계 산악계에 또 한번의 큰 획을 그었습니다.
지난 33년의 한국 산악사는 도전의 역사였습니다.
권재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 산악계에 남긴 한국인의 첫 이정표는 지난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입니다.
세계에서 8번째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한 한국 산악.
도전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허영호는 1987년 에베레스트 최고의 난이도의 겨울 등정에 성공해 한국 산악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엄홍길과 박영석 두 맞수 경쟁은 또 한 번의 신기원으로 이어졌습니다.
아시아 최초의 히말라야 8천미터급 14좌 완등입니다.
특히 2005년 박영석은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7대륙의 최고봉과 남북극을 모두 정복하는 세계 최초의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습니다.
<당시 인터뷰>박영석 : "90이 찍혔다. 서로 부등켜 안고 그랬죠"
한국 산악의 도전은 여성 산악인들이 이어받았습니다.
드디어 오은선 대장이 여성 세계 첫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인터뷰>엄홍길( 산악인) : " 세계 등반사, 한국 산악사에 큰 업적이다"
또 하나의 큰 기념비를 세운 한국 산악의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KBS 뉴스 권재민입니다.
- 한국 산악, 도전의 33년 역사
-
- 입력 2010-04-28 08:22:10
- 수정2010-04-28 09:35:55

<앵커 멘트>
오은선 대장의 세계 최초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한국 산악은 세계 산악계에 또 한번의 큰 획을 그었습니다.
지난 33년의 한국 산악사는 도전의 역사였습니다.
권재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 산악계에 남긴 한국인의 첫 이정표는 지난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입니다.
세계에서 8번째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한 한국 산악.
도전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허영호는 1987년 에베레스트 최고의 난이도의 겨울 등정에 성공해 한국 산악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엄홍길과 박영석 두 맞수 경쟁은 또 한 번의 신기원으로 이어졌습니다.
아시아 최초의 히말라야 8천미터급 14좌 완등입니다.
특히 2005년 박영석은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7대륙의 최고봉과 남북극을 모두 정복하는 세계 최초의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습니다.
<당시 인터뷰>박영석 : "90이 찍혔다. 서로 부등켜 안고 그랬죠"
한국 산악의 도전은 여성 산악인들이 이어받았습니다.
드디어 오은선 대장이 여성 세계 첫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인터뷰>엄홍길( 산악인) : " 세계 등반사, 한국 산악사에 큰 업적이다"
또 하나의 큰 기념비를 세운 한국 산악의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KBS 뉴스 권재민입니다.
오은선 대장의 세계 최초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한국 산악은 세계 산악계에 또 한번의 큰 획을 그었습니다.
지난 33년의 한국 산악사는 도전의 역사였습니다.
권재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 산악계에 남긴 한국인의 첫 이정표는 지난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입니다.
세계에서 8번째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한 한국 산악.
도전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허영호는 1987년 에베레스트 최고의 난이도의 겨울 등정에 성공해 한국 산악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엄홍길과 박영석 두 맞수 경쟁은 또 한 번의 신기원으로 이어졌습니다.
아시아 최초의 히말라야 8천미터급 14좌 완등입니다.
특히 2005년 박영석은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7대륙의 최고봉과 남북극을 모두 정복하는 세계 최초의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습니다.
<당시 인터뷰>박영석 : "90이 찍혔다. 서로 부등켜 안고 그랬죠"
한국 산악의 도전은 여성 산악인들이 이어받았습니다.
드디어 오은선 대장이 여성 세계 첫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인터뷰>엄홍길( 산악인) : " 세계 등반사, 한국 산악사에 큰 업적이다"
또 하나의 큰 기념비를 세운 한국 산악의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KBS 뉴스 권재민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권재민 기자 jaemins@kbs.co.kr
권재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