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미국 정부는 북한이 6자회담 재개를 원한다면 국제사회 의무 준수와 도발적 행동 중단 등 행동으로 입증해야 할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 이춘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는 북한과 중국의 정상회담에서 6자 회담 재개 문제가 논의된데 대해 북한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이를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크롤리(미 국무부 차관보) : "미국은 북한의 행동에 따라 움직일 것입니다. 북한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리한 여건 조성을 희망한 것과 관련해 북한이 먼저 책임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녹취> 크롤리(미 국무부 차관보) : "북한은 국제 비확산 의무와 2005년 공동 성명 약속을 이행하고 한반도 불안을 초래하는 도발 행위를 중단해야 합니다."
미국은 중국 정부로부터 회담 결과를 전달받았지만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진전에 협력하고 싶다는 김위원장의 언급이 어떤 의미인지는 알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북한에 도발 행위 중단을 요구한 것은 천안함 사건에 연루된 것이 입증될 경우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에둘러 표명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주요 안보 정책으로 규정하고 있는 미국정부지만 천안함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6자회담이 상당기간 공전되는 것도 감수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6자회담 재개를 원한다면 국제사회 의무 준수와 도발적 행동 중단 등 행동으로 입증해야 할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 이춘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는 북한과 중국의 정상회담에서 6자 회담 재개 문제가 논의된데 대해 북한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이를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크롤리(미 국무부 차관보) : "미국은 북한의 행동에 따라 움직일 것입니다. 북한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리한 여건 조성을 희망한 것과 관련해 북한이 먼저 책임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녹취> 크롤리(미 국무부 차관보) : "북한은 국제 비확산 의무와 2005년 공동 성명 약속을 이행하고 한반도 불안을 초래하는 도발 행위를 중단해야 합니다."
미국은 중국 정부로부터 회담 결과를 전달받았지만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진전에 협력하고 싶다는 김위원장의 언급이 어떤 의미인지는 알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북한에 도발 행위 중단을 요구한 것은 천안함 사건에 연루된 것이 입증될 경우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에둘러 표명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주요 안보 정책으로 규정하고 있는 미국정부지만 천안함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6자회담이 상당기간 공전되는 것도 감수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정부 “북, 말 아닌 행동 보여야”
-
- 입력 2010-05-08 08:45:38
<앵커 멘트>
미국 정부는 북한이 6자회담 재개를 원한다면 국제사회 의무 준수와 도발적 행동 중단 등 행동으로 입증해야 할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 이춘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정부는 북한과 중국의 정상회담에서 6자 회담 재개 문제가 논의된데 대해 북한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이를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크롤리(미 국무부 차관보) : "미국은 북한의 행동에 따라 움직일 것입니다. 북한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리한 여건 조성을 희망한 것과 관련해 북한이 먼저 책임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녹취> 크롤리(미 국무부 차관보) : "북한은 국제 비확산 의무와 2005년 공동 성명 약속을 이행하고 한반도 불안을 초래하는 도발 행위를 중단해야 합니다."
미국은 중국 정부로부터 회담 결과를 전달받았지만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진전에 협력하고 싶다는 김위원장의 언급이 어떤 의미인지는 알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북한에 도발 행위 중단을 요구한 것은 천안함 사건에 연루된 것이 입증될 경우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에둘러 표명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주요 안보 정책으로 규정하고 있는 미국정부지만 천안함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6자회담이 상당기간 공전되는 것도 감수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
-
이춘호 기자 psh@kbs.co.kr
이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