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비만 비상…뚱뚱한 학생 성적도 ‘뚝’
입력 2010.05.11 (22:24)
수정 2010.05.11 (23: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공부에 쫓기고 맘껏 뛰놀지도 못하는 우리 아이들, 점점 체중만 불어나죠.
이렇게 비만일수록 성적도 ’뚝’ 떨어진다고 합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늘 학교 생활에 적극적인 박 성 군.
초등학교 때까지만 하더라도 몸무게 64킬로그램의 고도 비만이었습니다.
노력 끝에 정상 체중으로 돌아오면서 건강은 물론, 학교 성적까지 덩달아 좋아졌습니다.
<인터뷰> 박 성 (중학교 3학년) : "살을 빼니까 별명도 없어지고 친구들과 잘 놀고 성적도 집중이 잘 되고 학업도 좀 편하게 되는 것 같아요"
서울 시내 초.중.고교생 7명 가운데 1명은 비만.
특히 정상 체중보다 몸무게가 50% 이상 더 나가는 고도 비만은 지난해 1.2%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곽옥희(고도비만 학생 어머니) : "아이 스스로 상처를 받을 까봐. 또 자기 스스로 그것 때문에 스스로 위축이 되고 그럴까봐 걱정이 되죠."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공부 중심의 생활 때문에 불가피하게 살이 졌다는 시각이 많지만, 오히려 비만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게 학계의 정설입니다.
실제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어렵다는 학생은 고도 비만 그룹이 10.5%로,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두 배가 넘었습니다.
<인터뷰> 임경숙 (교수/수원대 식품영양학과) :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면 더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해소하려고 하니까 체형은 더 뚱뚱한 쪽으로 가게 되는 악순환이 되는 거죠."
전문가들은 식습관을 개선할때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친환경,저열량 식품 등으로 서서히 바꿔나가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공부에 쫓기고 맘껏 뛰놀지도 못하는 우리 아이들, 점점 체중만 불어나죠.
이렇게 비만일수록 성적도 ’뚝’ 떨어진다고 합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늘 학교 생활에 적극적인 박 성 군.
초등학교 때까지만 하더라도 몸무게 64킬로그램의 고도 비만이었습니다.
노력 끝에 정상 체중으로 돌아오면서 건강은 물론, 학교 성적까지 덩달아 좋아졌습니다.
<인터뷰> 박 성 (중학교 3학년) : "살을 빼니까 별명도 없어지고 친구들과 잘 놀고 성적도 집중이 잘 되고 학업도 좀 편하게 되는 것 같아요"
서울 시내 초.중.고교생 7명 가운데 1명은 비만.
특히 정상 체중보다 몸무게가 50% 이상 더 나가는 고도 비만은 지난해 1.2%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곽옥희(고도비만 학생 어머니) : "아이 스스로 상처를 받을 까봐. 또 자기 스스로 그것 때문에 스스로 위축이 되고 그럴까봐 걱정이 되죠."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공부 중심의 생활 때문에 불가피하게 살이 졌다는 시각이 많지만, 오히려 비만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게 학계의 정설입니다.
실제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어렵다는 학생은 고도 비만 그룹이 10.5%로,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두 배가 넘었습니다.
<인터뷰> 임경숙 (교수/수원대 식품영양학과) :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면 더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해소하려고 하니까 체형은 더 뚱뚱한 쪽으로 가게 되는 악순환이 되는 거죠."
전문가들은 식습관을 개선할때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친환경,저열량 식품 등으로 서서히 바꿔나가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소년 비만 비상…뚱뚱한 학생 성적도 ‘뚝’
-
- 입력 2010-05-11 22:24:59
- 수정2010-05-11 23:19:35

<앵커 멘트>
공부에 쫓기고 맘껏 뛰놀지도 못하는 우리 아이들, 점점 체중만 불어나죠.
이렇게 비만일수록 성적도 ’뚝’ 떨어진다고 합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늘 학교 생활에 적극적인 박 성 군.
초등학교 때까지만 하더라도 몸무게 64킬로그램의 고도 비만이었습니다.
노력 끝에 정상 체중으로 돌아오면서 건강은 물론, 학교 성적까지 덩달아 좋아졌습니다.
<인터뷰> 박 성 (중학교 3학년) : "살을 빼니까 별명도 없어지고 친구들과 잘 놀고 성적도 집중이 잘 되고 학업도 좀 편하게 되는 것 같아요"
서울 시내 초.중.고교생 7명 가운데 1명은 비만.
특히 정상 체중보다 몸무게가 50% 이상 더 나가는 고도 비만은 지난해 1.2%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곽옥희(고도비만 학생 어머니) : "아이 스스로 상처를 받을 까봐. 또 자기 스스로 그것 때문에 스스로 위축이 되고 그럴까봐 걱정이 되죠."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공부 중심의 생활 때문에 불가피하게 살이 졌다는 시각이 많지만, 오히려 비만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게 학계의 정설입니다.
실제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어렵다는 학생은 고도 비만 그룹이 10.5%로,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두 배가 넘었습니다.
<인터뷰> 임경숙 (교수/수원대 식품영양학과) :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면 더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해소하려고 하니까 체형은 더 뚱뚱한 쪽으로 가게 되는 악순환이 되는 거죠."
전문가들은 식습관을 개선할때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친환경,저열량 식품 등으로 서서히 바꿔나가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공부에 쫓기고 맘껏 뛰놀지도 못하는 우리 아이들, 점점 체중만 불어나죠.
이렇게 비만일수록 성적도 ’뚝’ 떨어진다고 합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늘 학교 생활에 적극적인 박 성 군.
초등학교 때까지만 하더라도 몸무게 64킬로그램의 고도 비만이었습니다.
노력 끝에 정상 체중으로 돌아오면서 건강은 물론, 학교 성적까지 덩달아 좋아졌습니다.
<인터뷰> 박 성 (중학교 3학년) : "살을 빼니까 별명도 없어지고 친구들과 잘 놀고 성적도 집중이 잘 되고 학업도 좀 편하게 되는 것 같아요"
서울 시내 초.중.고교생 7명 가운데 1명은 비만.
특히 정상 체중보다 몸무게가 50% 이상 더 나가는 고도 비만은 지난해 1.2%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곽옥희(고도비만 학생 어머니) : "아이 스스로 상처를 받을 까봐. 또 자기 스스로 그것 때문에 스스로 위축이 되고 그럴까봐 걱정이 되죠."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공부 중심의 생활 때문에 불가피하게 살이 졌다는 시각이 많지만, 오히려 비만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게 학계의 정설입니다.
실제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어렵다는 학생은 고도 비만 그룹이 10.5%로,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두 배가 넘었습니다.
<인터뷰> 임경숙 (교수/수원대 식품영양학과) :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면 더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해소하려고 하니까 체형은 더 뚱뚱한 쪽으로 가게 되는 악순환이 되는 거죠."
전문가들은 식습관을 개선할때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친환경,저열량 식품 등으로 서서히 바꿔나가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